• 제목/요약/키워드: G2.0

검색결과 30,111건 처리시간 0.059초

蔚山市 土砂中의 多環芳香族의 鹽化水素의 含量에 關한 硏究 (Studies on Polynuclear Aromatic Hydrocarbons in Soils of Ulsan City)

  • 孫東憲;金正行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22-30
    • /
    • 1990
  • The contents of benzo(a)pyrene (Bap.), Pyrene(Py) and Perylene(Pery) were determined by one-dimensional dual band thinlayer chromatogragphy and spectrofluorophotometer in soil samples from road at 36 places of Ulsan and 6 places of Seoul from April to May, 1984. The concents were as follows: 1. Ulsan city : Bap. 0.05-3.66 $\mu$g/g ; mean 1.07 $\mu$g/g Py. 0.60-11.01 $\mu$g/g ; mean 4.34 $\mu$g/g Pery. 0.94-5.48 $\mu$g/g ; mean 1.83 $\mu$g/g 1) Industrial area : Bap. 0.03-3.66 $\mu$g/g ; mean 5.28 $\mu$g/g Py. 2.34-9.07 $\mu$g/g ; mean 5.28 $\mu$g/g Pery. 1.01-3.69 $\mu$g/g ; mean 2.09 $\mu$g/g 2) Commercial area : Bap. 0.15-2.27 $\mu$g/g ; mean 0.29 $\mu$g/g Py. 0.06-11.0 $\mu$g/g ; mean 4.04 $\mu$g/g Pery. 1.03-5.48 $\mu$g/g ; mean 1.84 $\mu$g/g 3) Residential area : Bap. 0.05-0.05 $\mu$g/g ; mean 0.29 $\mu$g/g Py. 1.34-5.53 $\mu$g/g ; mean 2.74 $\mu$g/g Pery. 0.94-2.15 $\mu$g/g ; mean 1.18 $\mu$g/g 2. Commerical area in Seoul : Bap. 0.35-1.01 $\mu$g/g ; mean 0.74 $\mu$g/g Py. 9.37-24,44 $\mu$g/g ; mean 18.64 $\mu$g/g Peay. 1.47-2.24 $\mu$g/g ; mean 1.87 $\mu$g/g 3. The areas that had high contents of Benzo(a)pyrene had also high contents of Pyrene and Perylene. 4. The industrial area had the highest contents of polynuclear aromatic hydrocarbons, followed by commercial area and residential area. 5. The contents of Bap. and Pery. in the commercial area were similar in Seoul and Ulsan, while the content of Py. in Seoul was 4 times higher than in Ulsan.

  • PDF

차가버섯의 균사체 성장에 대한 배지성분의 영향 (Effect of Medium Compositions on the Mycelial Growth of Inonotus obliquus)

  • 최근호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3권3호
    • /
    • pp.419-424
    • /
    • 2005
  • 차가버섯(Inonotus obliquus) 균사체의 액체배양에서 온도($22-32^{\circ}C$)와 pH(5-7) 그리고 배지성분의 변화가 차가버섯 균사체의 성장에 미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Glucose, starch, peptone, yeast extract, $K_2HPO_4$, $MgSO_4{\cdot}7H_2O$ 그리고 $CaCl_2$를 각각 30-120 g/L, 0-10 g/L, 0-20 g/L, 0-15 g/L, 0-2 g/L, 0-1.5 g/L, 0-0.5 g/L의 범위로 변화시키면서 실험하였다. 차가버섯 균사체의 성장속도는 $26-27^{\circ}C$, pH 6, glucose 70 g/L, yeast extract 5 g/L 그리고 $CaCl_2$ 0.1 g/L일 때에 최대값을 나타났다. Starch와 peptone 그리고 $K_2HPO_4$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차가버섯 균사체의 성장속도는 증가하였으나, $MgSO_4{\cdot}7H_2O$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차가버섯 균사체의 성장속도는 감소하였다. 차가버섯 균사체의 최대 성장 속도를 위한 액체배지는 glucose 70 g/L, peptone 5-20 g/L, starch 10 g/L, yeast extract 5 g/L, $K_2HPO_4$ 2 g/L 그리고 $CaCl_2$ 0.1 g/L로 구성된다.

국내산 참나무속 수종 수피의 추출성분 (Chemical Constituents of Domestic Quercus spp. Barks)

  • 김진규;권동주;임순성;배영수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8권4호
    • /
    • pp.359-374
    • /
    • 2010
  • 국내산 낙엽성 참나무류인 신갈나무, 상수리나무, 떡갈나무, 졸참나무, 갈참나무 및 굴참나무 수피의 추출성분의 구조를 규명하고 수종 상호간 성분의 특성 및 연관성 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신갈나무에서 화합물 2(ellagic acid, 0.03 g), 4 ((+)-catechin, 4.59 g), 6 (taxifolin, 3.35 g) 및 7 (glucodistylin, 20.52 g)을 상수리 나무에서는 화합물 1 (gallic acid, 0.18 g), 4 ((+)-catechin, 8.52 g), 5 ((+)-gallocatechin, 0.09 g), 6 (taxifolin, 0.54 g) 및 7 (glucodistylin, 3.28 g)을 떡갈나무에서는 화합물 1 (gallic acid, 0.38 g), 2 (ellagic acid, 0.11 g) 4 ((+)-catechin, 2.01 g), 5 ((+)-gallocatechin, 0.12 g) 및 7 (glucodistylin, 0.39 g)을 갈참나무에서는 2 (ellagic acid, 1.51 g), 4 (+)-catechin, 21.91 g) 및 7 (glucodistylin, 3.91 g)을 졸참나무에서는 2 (ellagic acid, 0.84 g), 4 ((+)-catechin, 0.82 g), 6 (taxifolin, 4.02 g) 및 7 (glucodistylin, 21.50 g)을 굴참나무에서는 1 (gallic acid, 0.24 g), 3 (caffeic acid, 0.05 g), 4 ((+)-catechin, 0.32 g) 및 7 (glucodistylin, 0.65 g)을 분리하여 구조를 규명하였다. 국내산 참나무속 6 수종의 수피에서는 화합물 4 ((+)-catechin)와 7 (glucodistylin) 이 공통적으로 분리되었으며 두 성분 중 함유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glucodistylin은 참나무류 수피의 지표성분 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Monolithic zirconia crowns: effect of thickness reduction on fatigue behavior and failure load

  • Prott, Lea Sophia;Spitznagel, Frank Akito;Bonfante, Estevam Augusto;Malassa, Meike Anne;Gierthmuehlen, Petra Christine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13권5호
    • /
    • pp.269-280
    • /
    • 2021
  •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thickness reduction and fatigue on the failure load of monolithic zirconia crowns. MATERIALS AND METHODS. 140 CAD-CAM fabricated crowns (3Y-TZP, inCorisTZI, Dentsply-Sirona) with different ceramic thicknesses (2.0, 1.5, 1.0, 0.8, 0.5 mm, respectively, named G2, G1.5, G1, G0.8, and G0.5) were investigated. Dies of a mandibular first molar were made of composite resin. The zirconia crowns were luted with a resin composite cement (RelyX Unicem 2 Automix, 3M ESPE). Half of the specimens (n = 14 per group) were mouth-motion-fatigued (1.2 million cycles, 1.6 Hz, 200 N/ 5 - 55℃, groups named G2-F, G1.5-F, G1-F, G0.8-F, and G0.5-F). Single-load to failure was performed using a universal testing-machine. Fracture modes were analyze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a Weibull 2-parameter distribution (90% CI)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 strength and Weibull modulus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RESULTS. Three crowns (21%) of G0.8 and five crowns (36%) of G0.5 showed cracks after fatigue. Characteristic strength was the highest for G2, followed by G1.5. Intermediate values were observed for G1 and G1-F, followed by significantly lower values for G0.8, G0.8-F, and G0.5, and the lowest for G0.5-F. Weibull modulus was the lowest for G0.8, intermediate for G0.8-F and G0.5, and significantly higher for the remaining groups. Fatigue only affected G0.5-F. CONCLUSION. Reduced crown thickness lead to reduced characteristic strength, even under failure loads that exceed physiological chewing forces. Fatigue significantly reduced the failure load of 0.5 mm monolithic 3Y-TZP crowns.

Bacillus polymyxa KS-1에 의한 다당류 KS-1 생산의 발효 조건 (Cultural Conditions of Exopolysaccharide KS-1 Produced by Bacillus polymyxa KS-1)

  • 권기석;윤병대주현규
    • KSBB Journal
    • /
    • 제10권4호
    • /
    • pp.441-448
    • /
    • 1995
  • 토양으로부터 분리 동정된 균주인 Bacillus polymyxa KS-1을 이용하여 이들이 생산하는 미생물 생 다당듀 KS-1의 생산을 위한 배지 및 배양조건을 조사하였다. 다당류 KS-1의 생산을 위한 애지의 조성은 증류수 1 liter당 glucose 30g, yeast extract $2.5g, KH_2PO_4 2.5g, NaCl 0.5g, MgSO_4.7H_20 0.3g, CaC0_3 0.05g, FeSO_4.7H_2O 0.05g, 그리고 MnS0_4 . 4H_20 0.05g$ 이 첨가된 배지에서 높은 정성 벚 다탕류 생산 을 얻을 수 있었으며, 이때 배양조건은 초기 pH와 배양온도는 각각 7.0과 $30^{\circ}C$, C에서 다당류 생산이 가 장 좋은 갯으로 조사되였다. 또한 이상의 최적조건 에서 발효조를 이용한 경우 통기량 빛 교반속도를 각각 2vvm과 400rpm으로 조절하여 배양한 경우 생산량은 liter당 약 10.3g의 다당류 KS-1이 얻어졌다.

  • PDF

이중 에너지 X선 흡수 계측법을 이용한 BMD 검사 시 발생할 수 있는 기술적인 오류 분석 (The Study of Technical Error Analysis on BMD Using DEXA)

  • 강영한;조광호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29권4호
    • /
    • pp.229-236
    • /
    • 2006
  • 연구목적: 이중 에너지 X선 흡수 계측법(DEXA, 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을 이용한 골다공증 진단 시 발생할 수 있는 기술적인 오류의 유형을 분석하고, 골밀도(BMD, bone mineral density) 값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 및 방법: 환자 정보(연령, 체중, 신장, 폐경연령) 입력 오류와 관심영역(ROI, region of interest) 설정에 대한 오류로 나누어 연구하였다. 환자정보 입력 오류는 연령과 폐경연령을 5살, 10살 많게 또는 적게 입력하고, 신장과 체중도 동일한 조건으로 증감하며 입력하여 척추팬텀으로 각각 10회씩 스캔하였다. ROI 설정 오류는 폐경기 여성 10명을 대상으로 스캔을 실시하여 요추부, 고관절부, 전완으로 나누어 ROI를 변화시키며 $BMD(g/cm^2)$, T-score 값을 얻었고, 각각의 결과 값으로 정밀도 1%를 적용하여 평균에 대한 차이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 과: 연령과 신장, 체중 폐경연령에 대한 환자 정보 입력 오류는 정밀도 1%에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ROI 설정 오류는 요추부 ROI 설정 시 ROI 기준선을 좌우 1 cm, 2 cm 좁혔을 때 평균 $0.006\;g/cm^2$, 0.1 그리고 $0.021\;g/cm^2$, 0.15 감소하였다. 제 12흉추를 포함하였을 때 $BMD(g/cm^2)$와 T-score는 평균 $0.063\;g/cm^2$, 0.3 감소하였고, 제 5번 요추를 포함하였을 때 각각 $0.077\;g/cm^2$, 0.5 증가하였다. 고관절 관심영역을 대퇴골두 위쪽 또는 좌측으로 0.5 cm 이동하였을 때의 결과 값은 평균에 대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소전자 아래쪽 0.5 cm, 1 cm 이동하였을 때의 $BMD(g/cm^2)$와 T-score는 $0.031\;g/cm^2$, 0.3 그리고 $0.094\;g/cm^2$, 0.65로 증가하였다. 전완의 관심영역을 수근부 아래쪽, 위쪽으로 1 cm으로 이동하였을 때 $BMD(g/cm^2)$와 T-score는 $0.042\;g/cm^2$, 0.9 감소 또는 $0.096\;g/cm^2$, 0.40 증가하였다. 좌우 기준선이 1 cm, 2 cm 넓어질 때 $BMD(g/cm^2)$, T-Score는 평균 $0.008\;g/cm^2$, 0.1 증가 또는 $0.021\;g/cm^2$, 0.3으로 증가하였다. 결 론: 골밀도 측정 시 발생할 수 있는 기술적인 오류는 다양하며, 오류에 따라 정상 BMD 값과 T-score에 변동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환자정보 입력과정에 발생할 수 있는 연령과 체중, 신장, 폐경 연령에 따른 입력오류는 BMD와 T-score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일반적 골밀도 검사 시에는 중요한 요소이다. ROI 지정 오류 시에는 BMD 값과 T-score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정확한 골밀도 검사를 위해서는 환자 정보에 대해서도 자세한 파악이 있어야 하겠지만 검사자의 기술적 지식이 결과 값에 영향을 미치게 됨을 충분히 인지하고 검사에 임하여야 하겠다.

  • PDF

수종의 CLEAN-UP technique이 법랑질 표면거칠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various CLEAN-UP techniques on enamel surface roughness)

  • 조상완;권오원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791-800
    • /
    • 1997
  • 교정치료를 목적으로 발거한 소구치 60개를 4군으로 나누고 치과용 저속 절삭기에서 $18,500{\pm}300rpm$으로 회전속도를 일정하게 하여 4가지 회전 마무리 기구(G1; No. 169L carbide fissure bur, G2; No.2 round bur, G3; No.4 round bur, G4; No.8 round bur)로 잔여 레진을 제거하고 러버컵과 pumice로 법랑질을 5초간 마무리하였을 때 법랑질 손상에 미치는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브라켓 부착전 러버컵과 pumice로 전처치한 후(P1), 각 군에 해당하는 방법으로 잔여 레진을 제거한 후(P2), 러버컵과 pumice로 마지막 마무리 후(P3)의 법랑질 표면거칠기를 표면거칠기 측정기에서 각각 측정하고 주사전자현미경하에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P2에서 법랑질의 표면거칠기는 G1군의 경우 $2.60{\pm}0.55{\mu}m$으로 가장 매끄럽게 나타났고 G2군의 경우 $3.24{\pm}0.80{\mu}m$, G3군의 경우 $3.44{\pm}0.94{\mu}m$으로 나타났고 G4군의 경우 $3.89{\pm}0.54{\mu}m$으로 가장 거칠게 나타났으며 G2군과 G3군은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이 없었다(p>0.05). 2. P3에서 법랑질의 표면거칠기는 G1군의 경우 $2.29{\pm}0.47{\mu}m$으로 가장 매끄럽게 나타났고 G2군의 경우 $2.44{\pm}0.56{\mu}m$, G3군의 경우 $2.44{\pm}0.58{\mu}m$으로 나타났고 G4군의 경우 $2.92{\pm}0.43{\mu}m$으로 가장 거칠게 나타났으며 G1군은 G2군, G3군과, G2군은 G3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이 없었다(p>0.05). 3. 모든 군에서 P2, P3는 P1보다. P2는 P3보다 표면거칠기가 거칠게 나타났다(p<0.01). 4. 아무 처치도 하지 않은 정상 법랑질에 러버컵과 pumice로 5초간 전처치한 경우 주사전자현미경관찰에서 미세한 긁힘을 발견할 수 있었고 네군 모두에서 러버컵과 pumice로 연마 후에도 제거할 수 없는 흠을 남기며 러버컵과 pumice로 마무리 후 육안관찰시 잔여 레진을 발견할 수 없었으나 주사전자현미경하에서는 레진 잔사 등을 관찰할 수 있었다.

  • PDF

금호강 오염의 종합적 조사 (A Survey of the Kumho River Pollution)

  • 배준웅;이상학;이성호
    • 분석과학
    • /
    • 제15권1호
    • /
    • pp.54-66
    • /
    • 2002
  • 금호강 수계의 수질판정과 낙동강 본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2000년 5월부터 2001년 2월까지 5월, 8월 및 12월 3회에 걸쳐 16개 지점에서 BOD 등 총 24개 항목의 수질을 측정하였다. 각 지점별 항목별 대표적인 특징을 조사기간 전 3년간의 연구결과("전 연구결과")와 비교하여 다으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조사기간의 금호강 전 지점에 대한 각 항목의 평균값은 다음과 같다. 수온 $17.71^{\circ}C$, pH 8.06, BOD $2.26{\mu}g/mL$ COD $5.58{\mu}g/mL$, DO $7.13{\mu}g/mL$ SS $4.73{\mu}g/mL$ 전기전도도 $570.0{\mu}S/cm$ 유지류 $0.20{\mu}g/mL$ ABS $0.016{\mu}g/mL$ Phenol $0.29{\mu}g/mL$ 영양염류인 Total-N $5.03{\mu}g/mL$ Total-P $0.27{\mu}g/mL$ 이 었다. 중금속류인 Cu $0.005{\mu}g/mL$, Zn $0.007{\mu}g/mL$ Fe $0.044{\mu}g/mL$, Mn $0.001{\mu}g/mL$ 이었다. 한편 As, Cd, Cr 및 Pb는 불검출되었다. 금호강 전 지점에서 평균값으로 "전 연구결과" 와 비교할 때에 오염이 증가된 항목은 페놀 $NH_3-N$$NO_2-N$이며, 감소된 항목은 BOD, COD, SS, 유지류 ABS 등이고, 기타 항목은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금호강 수질이 낙동강의 수질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는 다음과 같다. 금호강 하천수의 유입 전 지점 14와 유입 후 지점 16의 평균값으로서 BOD 1.07 에서 $1.42{\mu}g/mL$ COD 1.99에서 $2.44{\mu}g/mL$ 전기 전도도 221에서 $392{\mu}S/cm$ 총질소 2.21에서 $2.81{\mu}g/mL$ 총인 0.08에서 $0.19{\mu}g/mL$ 유지류 0.15에서 $0.16{\mu}g/mL$ ABS 0.006에서 $0.015{\mu}g/mL$ 페놀 0.06에서 $0.07{\mu}g/mL$으로 변화를 보였다.

우리나라 농경지토양(農耕地土壤)의 지형별(地形別) 이화학적(理化學的) 특성(特性)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ils Developed on the Different Topographies in Korea)

  • 현근수;박창서;정석재;문준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71-279
    • /
    • 1989
  • 토양환경(土壤環境) 개량(改良)의 기초자료(基礎資料)인 토양(土壤)의 입경분포(粒徑分布) 및 몇가지 화학성(化學性)에 대(對)한 대표(代表)값을 지형별(地形別)(용암류태지(熔岩流台地) 제외(除外))로 파악(把握)하기 위하여 5,216개(個)(답(畓)3.075 그리고 전(田)2,140)의 시(市) 군(郡) 대표토양(代表土壤) 분석치(分析値)를 이용(利用) 전산(電算)처리하였다. 1. 논토양(土壤) 표토(表土)에서 대표(代表)값은 점토(粘土) 20.4%, pH 5.8, 유기물(有機物) 2.6%, CEC 10.4me/100g, 치환성(置換性) K 0.26me/100g 그리고 유효린산(有效燐酸) 89ppm이었다. 밭토양(土壤)에선 각각(各各) 17.3%, 5.5, 1.8% 9.1, 0.29me/100g 그리고 103ppm이었다. 2. 토양특성(土壤特性)은 지형(地形)에 따라 큰 차리(差異)를 나타내었다. 논토양(土壤) 표토(表土)에서 하해혼성평탄지(河海混成平坦地)는 점토(粘土) 21.4%, pH 6.0, 유기물(有機物) 2.2%, CEC 10.8me/100g, 치환성(置換性) K 0.39me/100g 그리고 유효인산(有效燐酸) 57ppm, 하성평탄지(河成平坦地)는 각각(各各) 15.3%, 5.7, 2.0%, 8.6me/100g, 0.17me/100g 그리고 76ppm, 곡간(谷間).선상지(扇狀地)는 각각(各各) 18.8%, 5.9, 2.7%, 10.4me/100g, 0.19me/100g 그리고 80ppm, 홍적태지(洪積台地)는 각각(各各) 20.0%, 5.7, 2.5%, 11.5me/100g, 10.26me/100g 그리고 91ppm, 산록경사지(山麓傾斜地)는 각각(各各) 21.5%, 5.7, 3.4%, 10.6me/100g, 10.27me/100g 그리고 141ppm이었다. 3. 밭토양(土壤) 표토(表土)의 경우(境遇) 하해혼성평탄지(河海混成坪坦地)는 점토(粘土) 5.5%, pH 5.7, 유기물(有機物) 1.1%, CEC 4.7me/100g, 치환성(置換性) K 0.17me/100g 그리고 유효린담(有效燐談) 50ppm, 하성평탄지(河成平坦地)는 각각(各各) 10.3%, 5.5, 1.4%, 7.6me/100g, 0.26me/100g, 그리고 160ppm, 곡간선상지(谷間扇狀地)는 각각(各各) 13.9%, 5.4, 1.8%, 9.3me/100g, 0.34me/100g 그리고 184ppm, 홍적태지(洪積台地)는 각각(各各) 29.87%, 5.3, 2.1%, 11.2me/100g, 0.40me/100g 그리고 58ppm, 산록경사지(山麓傾斜地)는 각각(各各) 20.0%, 5.7, 2.7%, 11.4me/100g, 0.32me/100g, 그리고 116ppm, 구릉지(丘陵地)는 각각(各各) 24.6%, 5.3, 1.8%, 10.2me/100g, 0.28me/100g, 그리고 51ppm 이었다. 4. 토양중(土壤中) 점토(粘土)을 제외(除外)하고는 pH, 유기물(有機物), CEC, 치환성(置換性) K 및 유효린산(有效燐酸)의 함양(含量)은 개량목표치(改良目標値)에 미달(未達)하였고 지형(地形)에 따라 큰 차리(差異)를 보였다. 5. 토양중(土壤中) 유기물(有機物), 치환성염기(置換性鹽基) 및 유효린산(有效燐酸)의 함양(含量)은 정규분포(正規分布)하지 않았으며, 토양특성(土壤特性)이 정규분포(正規分布)한다는 가정하(假定下)에 평균(平均)값의 68 및 95% 구간(區間)이 계산(計算)되었다.

  • PDF

현사시나무 추출물의 항산화활성과 성분분석 (Antioxidant Activity and Component Analysis of Populus Tomentiglandulosa Extract)

  • 최선일;황석준;이옥환;김종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119-124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현사시나무 추출물에 대한 일반성분, 무기질, 비타민, 유리당, 총 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HPLC을 이용하여 페놀성 화합물을 분석하였으며 DPPH, ABTS 라디칼 소거능을 통하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추출물의 일반 성분 분석결과, 탄수화물, 수분, 조단백질, 회분, 조지방은 각각 88.6, 5.11, 2.5, 2.3, 1.5%로 확인되었다. 무기질 분석결과, Ca (77.5 mg/100 g), Mg (85.0 mg/100 g), Na (23.4 mg/100 g), K (907.5 mg/100 g), P (93.8 mg/100 g), Fe (1.4 mg/100 g), Zn (2.6 mg/100 g), Cu (0.6 mg/100 g), Mn (2.9 mg/100 g)을 함유하고 있었다. 비타민의 경우, vitamin C (6.1 mg/100 g), vitamin B2 (0.3 mg/100 g), vitamin B6 (0.01 mg/100 g), nicotinic acid (3.1 mg/100 g)가 확인되었다. 유리당 조성은 glucose 1.6%, fructose 2.2%였고 총 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115.4±0.85 mg GAE/g, 20.9±1.14 mg QE/g으로 나타났다. HPLC 분석결과 catechin (9.1±0.27 mg/g), caffeic acid (4.1±0.57 mg/g), p-coumaric acid (2.1±0.47 mg/g), chlorogenic acid (1.6±0.86 mg/g), gallic acid (1.4±0.35 mg/g)가 주요 성분으로 확인되었다. 현사시나무 추출물은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을 보였고 이는 추출물에 함유된 항산화성분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현 사시나무 추출물의 일반성분, 무기질, 비타민, 총 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주요 페놀성 화합물 및 항산화활성을 평가하였지만 향후 현사시나무 추출물이 식품소재 또는 건강기능식품 소재로서 활용 가치를 높이기 위해서는 세포 및 동물모델에서의 바이오마커 평가 및 작용기전 연구가 추가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