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10 adhesive

검색결과 153건 처리시간 0.021초

도교(桃膠)를 이용한 바이오 접착제의 합성 및 물성 평가 (Synthesis and Property Evaluation of Bio-adhesives Using Peach Gum(桃膠))

  • 박민선;오승준;위광철
    • 보존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82-288
    • /
    • 2021
  • 복숭아나무 진액인 도교를 기반으로 한 목공예용 바이오 접착제 개발의 기초 연구로 144 가지 합성 조건 중 가장 우수한 물성을 나타내는 조성을 선택하여 천연 접착제 3 종, 합성 접착제 4 종과 비교 물성 평가를 진행해 적용 가능성을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최적의 합성 조건은 탈이온수 80 mL, NaOH 1.5 g, H2O2 1.65 g, pH 8.0 ~ 9.0, NaClO 0.5 g, H2BO2 0.5 g을 혼합하였을 때 가장 우수한 접착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물성 평가 결과, 도교 접착제가 125.39 kgf/cm2의 접착 강도를 나타내었으며, 자외선에 의한 열화에서 △E*ab 2.75로 가장 낮은 변화와 우수한 가역성, 유해성 및 총호기성생균 시험 결과 불검출로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도교 기반의 목공예용 바이오 접착제의 적용과 공예품 제작, 복원, 문화재 보존 시 사용되고 있는 천연 및 합성 접착제의 대체 재료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 단계 자가 산부식 접착제의 적용 방식이 미세인장 결합강도에 미치는 효과 (Influence of application methods of one-step self-etching adhesives on microtensile bond strength)

  • 최철규;손성애;하진희;허복;김현철;권용훈;박정길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6권3호
    • /
    • pp.203-210
    • /
    • 2011
  •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방식의 한 단계 자가 부식 접착제의 적용이 직접 복합 레진 수복의 미세 인장 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었다. 연구 재료 및 방법: 36개의 발거된 대구치를 사용하여, 3종류의 한 단계 자가 부식 접착제(Clearfil Tri-S Bond, Adper Prompt L-Pop, G-Bond)와 적용 방식에 따라 12개의 군으로 나누었다. 접착제를 다음의 방식으로 상아질에 적용하였다. 1) single coating, 2) double coating, 3) manual agitation, 4) ultrasonic agitation. 접착제 적용 후, 광중합 복합 레진으로 수복하였다. 24시간 동안 실온의 증류수에 보관한 후, 각 군당 15개의 시편을 준비하여 미세인장 결합 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Manual agitation, ultrasonic agitation군은 single coating, double coating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미세인장 결합 강도를 보였다. Double coating군은 single coating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미세인장 결합 강도를 보였으며, manual agitation군과 ultrasonic agitation군 간에는 미세인장 결합 강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접착제 종류에 따라 미세인장 결합 강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그 중 Clearfil Tri-S Bond가 가장 높았다. 결론: 한 단계 자가 산부식 접착제의 적용 방법과 재료에 따라 미세인장 결합 강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접착제 종류에 관계없이 manual agitation과 ultrasonic agitation은 유의하게 높은 미세인장 결합강도를 보였다.

Effect of ascorbic acid, ethanol and acetone on adhesion between the treated fiber posts and composite resin cores

  • Zahra, Khamverdi;Reza, Talebian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4권4호
    • /
    • pp.187-191
    • /
    • 2012
  • PURPOSE.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 of ascorbic acid, ethanol and acetone on microtensile bond strength between fiber posts pre-treated with hydrogen peroxide and composite resin cores. MATERIALS AND METHODS. Twenty four fiber posts were pre-treated with 24% hydrogen peroxide and divided into 4 groups as follows: G1: no treatment, as control group; G2: treatment with10% ascorbic acid solution for 5 minutes; G3: treatment with 70% ethanol solution for 5 minutes; and G4: treatment with 70% acetone solution for 5 minutes. Each fiber post was surrounded by a cylinder-shaped polyglass matrix which was subsequently filled with composite resin. Two sections from each sample were selected for microtensile test at a crosshead with speed of 0.5 mm/min.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one-way ANOVA and a post hoc Tukey HSD test. Fractured surfaces were observed under a stereomicroscope at ${\times}20$ magnification. The fractured surfaces of the specimens were observed and evaluated under a SEM. RESULTS. Means of microtensile bond strength values (MPa) and standard deviations in the groups were as follows: G1: $9.70{\pm}0.81$; G2: $12.62{\pm}1.80$; G3: $16.60{\pm}1.93$; and G4: $21.24{\pm}1.95$. G4 and G1 had the highest and the lowest bond strength values, respectively. A greater bond strength value was seen in G3 compared to G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ll the groups (P<.001). All the failures were of the adhesive mode. CONCLUSION. Application of antioxidant agents may increase microtensile bond strength between fiber posts treated with hydrogen peroxide and composite cores. Acetone increased bond strength more than ascorbic acid and ethanol.

Identification and Screening of Gene(s) Related to Susceptibility to Enterotoxigenic Escherichia coli F4ab/ac in Piglets

  • Li, Hejun;Li, Yuhua;Qiu, Xiaotian;Niu, Xiaoyan;Liu, Yang;Zhang, Qi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1권4호
    • /
    • pp.489-493
    • /
    • 2008
  • In 2004, Jorgensen and coworkers proposed the MUC4 gene as a candidate gene of enterotoxigenic Escherichia coli (ETEC) F4ab/ac receptor in piglets and a mutation of $G{\rightarrow}C$ in intron 7 of MUC4 was identified to be associated with the ETEC F4ab/ac adhesion phenotypes. In this study, we used 310 piglets of three breeds (Landrace, Large White and Chinese Songliao Black)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is mutation and the F4ab/ac adhesion phenotype. The results show that the genotypes at this site and the ETEC F4ab/ac adhesion phenotypes were not completely consistent, although they are very strongly associated. Among the individuals with genotype CC, which was identified as a resistant genotype to F4ab/ac adhesion, only 72.1% (124/172) were non-adhesive to ETEC F4ab and 77.9% (134/172) were non-adhesive to ETEC F4ac infections. This suggests that this mutation may not be the causative mutation for ETEC F4ab/ac adhesion, rather, the actual causative mutation may be in another gene closely linked to MUC4, or at aother site within the MUC4 gene. Our results also suggest that the receptors of F4ab and F4ac may be determined by two different but closely linked loci. In order to screen other genes related to F4ab/ac adhesion in piglets, the mRNA profiles from six full sib piglets, of which three were adhesive to ETEC F4ab/ac and three non-adhesive, were analyzed by suppression subtractive hybridization (SSH). One up-regulated gene, Ep-CAM, was selected for further analysis based on its role in the intestinal epithelial cells adhesion. Using real-time RT-PCR, we found that the Ep-CAM gene was significantly up-regulated in the piglets adhesive to F4ab/ac. It was mapped to SSC3q11-q14 by radiation hybrid mapping.

관능성 단량체 종류에 따른 4원 용액형 아크릴계 점착제의 합성과 물성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Functional Monomers on the Synthesis andPhysical Properties of Solution Type Quaternary Polymer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s)

  • 김남석;김성훈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525-532
    • /
    • 2008
  • To prepare a solution type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quarter polymers were synthesized from butyl acrylate(BA), 2-ethylhexylacrylate(2-EHA) as a base monomer, methyl methacrylate(MMA) as a comonomer, each of methacrylic acid(MAA), acrylic acid(AA) as a functional monomer. Acrylic solution type pressure-sensitive adhesives(PSA's) of isocyanate derivative crosslinking PSA's were prepared by crosslinking of BEMM, BEMA with toluene-2,4-diisocyanate. The structure of adhesive was identified by FT-IR. The viscosity was measured by using Brookfield DV-III and molecular weight was measured by using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The physical properties of polyethylene film coated with BEMMT, BEMAT were measured as a function of the concentration. As the result, BEMMT(0.6, 0.8), BEMAT(0.6) showed peel adhesion of $160{\sim}180\;g_f$/25 mm width and shear adhesion of more than 24 hours, and tackiness of $4/32{\sim}6/32$ which was relevant to commercial usage.

바이오 코팅 재료의 습윤 안정성에 대한 카테콜 작용기의 역할 (Role of Catechol in the Stability of Biocoating Materials in Wet Environment)

  • 이담정;이규의
    • 공업화학
    • /
    • 제33권2호
    • /
    • pp.216-221
    • /
    • 2022
  • 생체친화성 다당류 코팅은 금속류의 생체재료 자체 염증 반응으로 의한 합병증(예: 스텐트 재협착 등) 문제를 해결하는 데 활용될 수 있지만, 자체적인 친수성으로 인해 체내의 습윤 환경에서 코팅층이 오랫동안 유지되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히알루론산 상에 접착성 카테콜 작용기를 도입하여 습윤 환경에서도 강한 부착력을 유지하는 다당류 기반의 바이오코팅 소재를 합성하고, 폴리젖산으로 구성된 스텐트 상에서의 수중 안정성 테스트를 통해 그 기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1.26%의 낮은 카테콜 작용기 도입만으로도 수중 안정성이 크게 증대되었음을 모세관 실험 및 분광학적 분석 방법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바이오 코팅 재료의 생채 내 안정성 증대를 위해 카테콜 작용기 도입이 유용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The effect of individualization of fiberglass posts using bulk-fill resin-based composites on cementation: an in vitro study

  • Lins, Rodrigo Barros Esteves;Cordeiro, Jairo Matozinho;Rangel, Carolina Perez;Antunes, Thiago Bessa Marconato;Martins, Luis Roberto Marcondes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44권4호
    • /
    • pp.37.1-37.10
    • /
    • 2019
  • Objectives: This study evaluated the bond strength of various fiberglass post cementation techniques using different resin-based composites. Materials and Methods: The roots from a total of 100 bovine incisors were randomly assigned to 5 treatment groups: G1, post + Scotchbond Multi-Purpose (SBMP) + RelyX ARC luting agent; G2, relined post (Filtek Z250) + SBMP + RelyX ARC; G3, individualized post (Filtek Z250) + SBMP; G4, individualized post (Filtek Bulk-Fill) + SBMP; G5, individualized post (Filtek Bulk-Fill Flow) + SBMP. The samples were subjected to the push-out (n = 10) and pull-out (n = 10) bond strength tests. Data from the push-out bond strength test were analyzed using 2-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with the Bonferroni post hoc test, and data from the pull-out bond strength test were analyzed using 1-way ANOVA. Results: The data for push-out bond strength presented higher values for G2 and G5, mainly in the cervical and middle thirds, and the data from the apical third showed a lower mean push-out bond strength in all group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ed for pull-out bond strength among all groups. The most frequent failure modes observed were adhesive failure between dentine and resin and mixed failure. Conclusions: Fiberglass post cementation using restorative and flowable bulk-fill composites with the individualization technique may be a promising alternative to existing methods of post cementation.

중합방법에 따른 여러 이중중합 레진 시멘트의 기계적 성질 평가 (Evaluation of mechanical properties of several dual-cure resin cements by curing modes)

  • 김수연;박세희;김진우;조경모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1권1호
    • /
    • pp.1-9
    • /
    • 2015
  • 목적: 중합방법 및 측정시기에 따른 여러 이중중합 레진 시멘트의 기계적 성질인 압축강도와 간접인장강도를 비교 평가하는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1개의 레진강화형 글래스아이오노머 시멘트인 FujiCEM 2, 2개의 전통적인 이중중합 레진 시멘트인 RelyX ARC와 Multilink N, 2개의 이중중합 자가접착 레진 시멘트인 RelyX U200과 G-CEM LinkAce를 사용하였다.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시멘트를 혼합하여 압축강도와 간접인장강도 측정을 위한 시편을 제작하였다. 중합방법 및 측정시기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시멘트에 따라 4가지 실험 조건으로 나눴고, 만능시험기로 압축강도와 간접인장강도 측정하였다. 각각의 강도 값을 계산 후 통계처리 하였다. 결과: 압축강도에서는 RelyX ARC의 광중합과 Multilink N의 광중합, 간접인장강도에서는 RelyX ARC의 광중합을 제외하고 모든 중합방법에서 24시간 뒤 측정된 강도가 즉시 측정한 강도보다 더 높은 값을 보여주었다. FujiCEM 2는 시멘트간 비교에서 가장 낮은 강도 값을 보였다(P < 0.05). 결론: 치과용 시멘트 중에서 최근 출시된 이중중합 자가접착 레진 시멘트는 기존의 레진 시멘트와 비교시 제품별로 차이가 있었으나, 압축강도와 간접인장강도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두부비지 가수분해물과 페놀수지로 조제한 마루판 화장용 접착제의 접착성능 (Bonding Quality of Adhesives Formulated with Okara Hydrolyzates and Phenol-formaldehyde Resins for Bonding Fancy Veneer onto High-density Fiberboard)

  • 양인;안세희;최인규;최원실;김삼성;오세창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7권4호
    • /
    • pp.388-396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두부비지 가수분해물과 페놀수지로 조제된 마루판 화장용 접착제의 접착성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먼저 두부비지를 황산과 수산화나트륨으로 화학적으로 개량한 후 가교제로 phenol formaldehyde (PF) prepolymer와 혼합하여 접착제를 조제하였는데, 이 접착제는 고형분 함량을 기준으로 35%의 황산 가수분해물(AC), 35%의 수산화나트륨 가수분해물(AK) 그리고 30%의 PF로 조제하였다. 이렇게 조제된 접착제를 고밀도섬유판에 $300g/m^2$의 비율로 도포한 후 참나무 무늬목을 접착시켜 $7kg/m^2$의 압력으로 $120^{\circ}C$에서 열압하여 마루판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마루판에 대하여 formaldehyde/phenol 몰비(1.8, 2.1, 2.4), 퇴적시간(0분, 10분, 20분), 열압시간(90초, 120초)이 평면인장강도, 준내수 박리율, 포름알데히드 방산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두부비지 접착제를 이용하여 제조된 목질마루판의 평면인장강도는 KS 규격의 최소값을 상회하였으며, 대부분의 포름알데히드 방산량 값은 KS 규격의 E0 기준에 근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두부비지 접착제가 마루판 화장용 접착제로 사용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 주었으나, 상용화를 위하여 내수성의 향상과 포름알데히드 방산량의 저감을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콘크리트 피착체의 표면수율에 따른 단면복구용 고유동성 SBR 개질 모르타르의 부착특성 (Adhesive Properties of High Flowable SBR-modified Mortar for Concrete Patching Material Dependent on Surface Water Ratio of Concrete Substrate)

  • 도정윤;김두기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7권2호
    • /
    • pp.124-134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고유동성의 SBR 개질 시멘트 모르타르의 기초적 성능을 바탕으로 콘크리트의 보수용 재료에 매우 중요한 요구성능인 부착강도에 대한 피착체의 표면에 존재하는 표면수량의 영향을 검토하는 연구가 수행하였다. 고유동성 SBR 개질 시멘트 모르타르의 기초적인 성능을 토대로 부착강도, 잔갈림성, 재료분리 저항성이 좋은 시험체를 선택하였다. 시험체는 C:F=1:1인 경우 P/C=20%, 30%의 시험체 2개, C:F=1:3인 경우 P/C=50%의 시험체 1개, 총 3개가 선택되었으며 이 3개의 배합에 대하여 피착체의 표면수량에 따른 고유동성 SBR 개질 시멘트 모르타르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표면수는 콘크리트 피착면의 단위 면적 ($cm^2$) 당 각각 0, 0.006, 0.012, 0.017, 0.024 g이 균등하게 살포되었으며, 이에 따른 연도변화, 플로우값, 부착강도, 부착파괴형상, 내균열성 및 재료분리여부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콘크리트 피착체에 살포된 표면수는 고유동성 SBR 개질 시멘트 모르타르의 부착강도를 증진하는 효과가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