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1000

검색결과 1,130건 처리시간 0.025초

인체 페암세포주 NCI-H1299에 대한 당근 추출물의 항암효과 (Anti-tumor Effect of Carrot(Docus carota L.) Extracts in the Human Lung Cancer Cell Line NCI-H1299)

  • 노숙령;김도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89-298
    • /
    • 2002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anti-tumor effects of fresh carrot juice, methanol-extracts, and $\beta$-carotene on the human lung cancer cell line NCI-H1299. The anti-tumor effect was evaluated by the MTT assay in vitro. The anti-tumor effect of fresh carrot juice against NCI-H1299 lasted up to 96 hours after exposure; the viability rate of lung cancer cells decreased below 50% after 48 hours, and further after 72 hours. The strongest propagation inhibition effect of fresh carrot juice was shown at the concentration of 2000 $\mu\textrm{g}$/$m\ell$ after 72 hours and the viability rates was 45.98% even at the concentration of 25 $\mu\textrm{g}$/$m\ell$. The value of $IC_{50}$/ was 23.1$\mu\textrm{g}$/$m\ell$ when the elapsed time was 72 hours. The viability rate of methanol-extract was 52.4% under the concentration of 2000 $\mu\textrm{g}$/$m\ell$ and the elapsed time of 72 hours. Under the concentration of 1000 $\mu\textrm{g}$/$m\ell$ and the elapsed time of 48 hours, $\beta$ -carotene decreased the viability rate to 29.99%. The $IC_{50}$/ value of $\beta$-carotene was 691.2$\mu\textrm{g}$/$m\ell$ after 72 hours.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the anti-tumor effect arose in NCI-H1299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fresh carrot juice or the $\beta$-carotene was more than 25 $\mu\textrm{g}$/$m\ell$ or 1000 $\mu\textrm{g}$/$m\ell$,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the methanol-extracts showed a weak anti-tumor effect even at a concentration as high as 2000 $\mu\textrm{g}$/$m\ell$.

  • PDF

Effects of the Dietary Microbial Phytase Supplementation on Bioavailability of Phosphorus in Juvenil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Fed Soybean Meal based Diets

  • Yoo, Gwangyeol;Bai, Sungchul C.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7권3호
    • /
    • pp.319-324
    • /
    • 2014
  • An 8 weeks feeding trial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effects of dietary microbial phytase (P) supplementation on nutrient digestibility, and body composition in juvenil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fed soybean meal-based diets. Seven experimental diets were formulated to be isonitrogenous and isocaloric to contain 50.0% crude protein (CP) and 16.7 kJ of available energy/g with or without dietary phytase supplementation. White fish meal (FM) provided 92.4% of the total protein in the basal diet ($S_0$), in the other 6 diets, 30% or 40% FM protein was replaced by soybean meal: 70% FM + 30% soybean meal ($S_{30}$); 70% FM + 30% SM + 1000 U phytase/kg diet ($S_{30}P_{1000}$); 70% FM + 30% SM + 2000 U phytase/kg diet ($S_{30}P_{2000}$); 60% FM + 40% SM ($S_{40}$); 60% FM + 40% SM + 1000 U phytase/kg diet ($S_{40}P_{1000}$); and 60% FM + 40% SM + 2000 U phytase/kg diet ($S_{40}P_{2000}$). After two weeks of the conditioning period, triplicate groups of 25 fish initially averaging $6.15{\pm}0.04g$ ($mean{\pm}S.D.$) were randomly distributed into the aquarium and were fed one of the experimental diets for 8 weeks. After feeding trial, supplementation of phytase significantly improved the apparent digestibility coefficients of phosphorus in flounder diets (P<0.05) containing 30% and 40% soybean meal regardless the levels. However, phytase had no significant influence on growth performance and whole body composition of fish.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we conclude that dietary supplementation of phytase could improve the apparent digestibility coefficient of phosphorus in olive flounder.

실리사이드를 이용한 새로운 고내구성 실리콘 전계방출소자의 제작 (Fabrication of New Silicided Si Field Emitter Array with Long Term Stability)

  • 장지근;윤진모;정진철;김민영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24-127
    • /
    • 2000
  • Si FEA로부터 tip의 표면을 Ti 금속으로 silicidation한 새로운 3극형 Ti-silicided Si FEA를 제작하고 이의 전계 방출특성을 조사하였다. 제작된 소자에서 단위 pixel(pixel area : $1000{\mu\textrm{m}}{\times}1000{$\mu\textrm{m}}$, tip array : $200{\mu\textrm{m}}{\times}200{$\mu\textrm{m}}$)을 통해 측정된 전계 방출 특성은 $10^8Torr$의 고진공 상태에서 turn-on 전압이 약 70V로, 아노드 방출전류의 크기와 current degradation이 $V_A=500V,\;V_G=150V$ 바이어스 아래에서 각각 2nA/tip와 0.3%/min로 나타났다. 3극형 Ti-silicided Si FEA의 낮은 turn-on 전압과 높은 전류안정성은 Si tip 표면에 형성된 실리사이드 박막의 열화학적 안정성과 낮은 일함수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양이온성 수분산 폴리우레탄의 물성에 대한 중화제와 사슬연장제의 영향 (Effects of Neutralizers and Chain Extenders on the Properties of Cationic Polyurethane Water Dispersions)

  • 신은영;김형중
    • 폴리머
    • /
    • 제35권2호
    • /
    • pp.171-175
    • /
    • 2011
  • Isophorone diisocyanate(IPDI), polytetramethylene glycol 1000(PTMG 1000), 그리고 N-methyl diethanol amine(MDEA)을 사용하여 양이온성 수분산 폴리우레탄을 제조하였다. 중화제와 사슬연장제의 구조변화에 따른 입도, 점도, $T_g$, 인장강도 그리고 수 팽윤도와 같은 물성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여러 가지 중화제와 사슬연장제를 도입하였다. Acetic acid(AA)를 사용하여 중화한 수분산 폴리우레탄은 전형적인 elastomer의 거동을 보이는 반면, hydrochloric acid (HCI)로 중화한 경우에는 crystalline polymer의 거동을 보였다. 사슬연장제 중에서는 isophorone diamine(IPDA)이 가장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나타내었다. HCl로 중화하였을 경우 acetic acid로 중화하였을 때보다 압도가 감소함을 확인하였는데 이는 중화제의 반대이온(counter ion) 크기 차이 때문으로 여겨지며 hydrazine으로 사슬연장하였을 때 가장 작은 입도값을 나타내었다.

폴리우레탄/유기화 점토 나노복합체의 모폴로지와 기계적 물성 (Morphology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Polyurethane/Organoclay Nanocomposites)

  • 박규남;윤관한;방대석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2권4호
    • /
    • pp.224-231
    • /
    • 2007
  • 분자량이 다른 polytetramethylene glycol (PTMG, 분자량: 250, 1000 g/mol)의 조성에 따라 polyurethane(PU)를 제조하였고 PTMG 250/1000의 비율이 60/40인 조성의 기계적 성질이 가장 우수하였다. 최적 조성의 PU에 다양한 종류의 organoclay를 첨가하여 PU/organoclay 나노복합체를 제조하였다. PU/organoclay 나노복합체의 인장강도와 신장율을 고려할 때 organoclay 93A가 가장 우수하였다. 초음파를 사용하여 organoclay를 분산시킨 나노복합체의 경우 초음파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보다 인장강도 및 탄성율은 1.2배 증가하였고 경도는 90에서 95로 증가하였으며 신장율은 600% 이상 얻어졌다. 나노복합체의 열 안정성은 PU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X선 회절 (XRD, X-ray diffraction)을 통하여 나노복합체내에 있는 organoclay의 층간 판상거리가 2.5 nm에서 3.3 nm로 증가함을 관찰하였다. 이는 organoclay가 PU 내에서 완전 박리가 안되고 삽입된 것을 의미하며 TEM (transmission electron micrograph)에 의해 확인되었다.

GaAs Scrap으로부터 熱分解法에 의한 갈륨 回收 (Recovery of Gallium from GaAs Scraps by Thermal Decomposition)

  • 최영윤;남철우;유연태;김완영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4권2호
    • /
    • pp.28-32
    • /
    • 2005
  • 화합물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발생하는 GaAs scrap으로부터 열분해법을 이용하여 갈륨을 회수하기 위한 기초 실험으로 200 g/batch 규모의 진공 열분해 실험을 수행하였고, 이 결과를 이용하여 30 kg/batch 용량의 Packed Tower가 부착된 열분해 장치를 제작하였다. 기초실험 결과 GaAs의 열분해속도는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커지지만, 특히 1000$^{\circ}C 이상에서는 갈륨의 증기압 또는 증가하므로 갈륨의 회수율이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노 내 압력이 2~2.5${\times}10^{-2} mmHg일 때 1000~1050$^{\circ}C에서 가장 좋은 결과를 보였고, 이때 89% 정도의 갈륨 회수율을 나타내었다. GaAs의 열분해 시 비소의 분압은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고 융점인 1237$^{\circ}C를 전환점으로 온도는 낮아져도 증기압은 높은 이력현상(Hysteresis)을 보이는데, 이와 같은 특성을 이용하여 산업 생산에 적용한 열분해장치 제작에서는 반응기 위에 충진탑을 설치하였다. 그 결과, 열분해 반응기 내의 온도가 융점 이상의 고온에서도 99% 정도의 높은 회수율을 얻을 수 있었다.

20세 이상 일부 성인남녀의 망간 섭취상태 평가 (Evaluation of Dietary Manganese Intake in Korean Men and Women over 20 Years Old)

  • 최미경;김은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447-452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정상 성인의 일상적인 망간 섭취량과 주요 급원식품을 제시하여 망간의 영양섭취기준 마련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20세 이상 성인남녀 354명을 대상으로 신체 계측과 24시간 회상법에 의한 식사섭취 조사를 실시한 후 망간의 섭취상태를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남자 54.6세, 여자 53.8세이었으며, 신장, 체중 및 체질량지수는 남자 165.7cm, 67.2kg, $24.5kg/m^2$, 여자 153.7cm, 59.1kg, $24.9kg/m^2$로 남자대상자의 신장과 체중이 여자대상자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나(p<0.001, p<0.001) 체질량지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1일 평균 에너지 섭취 량은 남자 1740.9kcal, 여자 1432.6kcal이었으며, 망간섭취량은 남녀 각각 3.7mg과 3.2mg으로 남자대상자가 유의하게 높았다(p<0.001, p<0.01). 그러나 섭취 에너지 1000kcal당 망간 섭취량으로 산출한 망간 밀도는 남녀 각각 2.2mg/1000kcal와 2.3mg/1000kcal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남자대상자의 총 식품섭취량은 1219.1g으로 여자대상자의 1071.3g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전체대상자의 식품군별 망간의 섭취량과 섭취 에너지 1000kcal당 섭취량은 곡류(1.9mg, 1.3mg/1000kcal), 채소류(0.5mg, 0.3mg/1000kcal), 두류(0.4mg, 0.2mg/1000 kcal), 조미료류(0.2mg, 0.1mg/1000kcal) 순위로 높은 섭취를 보였다. 1일 망간 섭취량에 기여한 20순위 식품은 쌀, 대두, 수수, 김치 두부, 밀가루, 고춧가루, 팥, 차조, 된장, 감자, 라면, 풋고추, 국수, 메밀 냉면, 콩나물, 김, 수박, 들깨, 간장이었으며, 20가지 식품을 통해 전체 망간 섭취량의 74%를 섭취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할 때, 전체대상자의 1일 망간 섭취량은 3.4mg(2.2mg/ 1000kcal)로 충분섭취량 수준이었으며 쌀, 대두, 수수, 김치, 두부와 같은 곡류, 두류, 채소류가 망간의 주요 급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느타리버섯 푸른곰팡이병에 대한 Thiabendazole의 방제효과 (Effects of Thiabendazole on Green Mold, Trichoderma spp. during Cultivation of Oyster Mushroom, Pleurotus spp.)

  • 전창성;유창현;차동열;김광포
    • 한국균학회지
    • /
    • 18권2호
    • /
    • pp.89-96
    • /
    • 1990
  • Thiabendazole이 느타리버섯 재배에서 발생하는 푸른곰광이병에 방제약제로서의 가능성을 조사한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한천배지상에서 원제농도가 50ppm 처리구에서는 ASI 2001, 2072, 2016, 100 ppm에서는 ASI 2018, 500 ppm에서는 ASI 2070호가 균사생장이 억제되었다. 2. 볏짚의 침수시 처리된 약제의 농도 중 0.2g/1000ml 이상의 처리구에서 느타리버섯 균사생장이 억제되기 시작하였다. 3. 공시약제의 모든 처리는 푸른곰광이 병원균의 처리구와 푸른곰팡이 병원균과 느타리버섯균의 혼합처리구에서도 컬럼의 하단부에 푸른곰장이병의 발생을 발견할 수 없었다. 4. 살균 전 균상표면에 약제를 농도별로 표면살포한 결과 방제효과는 $2g/m^2$$5g/m^2$의 처리구에서 병해가 발생하지 않았으며, 수량성은 $5g/m^2$ 처리구에서 가장 수량이 높았다.

  • PDF

고추 풋마름병에 대한 살균제의 방제 효과 (Control Efficacy of Fungicides on Pepper Bacterial Wilt)

  • 이수민;곽연수;이경희;김흥태
    • 농약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23-328
    • /
    • 2015
  • 식물세균병 방제에 사용되는 3종의 동 살균제, 3종의 항생물질계 살균제, 그리고 1종의 quinolone계 살균제를 선발하여 풋마름병균인 Ralstonia solanacearum에 대한 생장 억제 효과와 고추 유묘에서의 병 방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NA배지 상에서 실시한 생장 억제 실험에서 oxytetracycline은 가장 우수한 효과를 보였는데, $1000{\mu}g\;mL^{-1}$ 처리에서 저지원의 크기가 14.95 mm로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8.0{\mu}g\;mL^{-1}$ 처리구에서도 0.91 mm 크기의 저지원을 확인할 수 있었다. Validamycin은 병원균 생장에 대한 억제효과가 전혀 없었다. 동 살균제들은 copper hydroxide, copper oxychloride+dithianone, copper sulfate의 $1000{\mu}g\;mL^{-1}$ 처리구에서 각각 2.19, 1.30, 1.48 mm의 저지원이 나타났을 뿐 큰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유묘 검정을 위해서 토양에 살균제를 관주처리하였을 때, 실내 검정에서 가장 효과가 우수하였던 oxytetracycline이 병원균을 접종하고 7일 후까지 모든 처리 농도에서 시들음 증상이 전혀 관찰되지 않아 100%의 아주 우수한 방제효과를 보였으나, 14일 후에는 $5000{\mu}g\;mL^{-1}$의 처리구에서부터 효과가 감소하였다. 3 종의 동 살균제는 7일 후에 $2000{\mu}g\;mL^{-1}$에서 90%의 효과를 보여 다른 살균제보다 낮은 효과를 보였으며, 14일후에는 copper sulfate를 제외한 2종의 살균제에서는 $500{\mu}g\;mL^{-1}$ 처리구에서 효과가 40% 이하로 감소하였다. 결과적으로 R. solanacearum에 의한 풋마름병의 방제를 위해서는 동 살균제보다는 항생물질계 살균제 또는 quinolone계 살균제 중에서 선발하여 사용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생각된다.

생체외(生體外) 알츠하이머병 실험(實驗) 모델에서 성향정기산가포공영(星香正氣散加蒲公英)의 효과(效果)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Effects of Sunghyangjungkisan-ga-pogokyoung on In vitro Alzheimer's Disease Experimental Model)

  • 강형원;유영수;박진성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57-171
    • /
    • 2001
  • Astrocytes are glial cells that play a major role in the inflammation observed in Alzheimer's disease (AD). Upon stimulation from various agents, these cells adopt a reactive phenotype, a morphological hallmark in AD pathology, during which they themselves may produce still more inflammatory cytokines. Substance P (SP) can stimulate secretion of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from astrocytes stimulated with lipopolysaccharide (LPS). Here I report that Sunghyangjungkisan- ga- pogokyoung(Sgp) can modulate cytokines secretion from primary cultures of rat astrocytes. Sgp $(10\;to\;1000\;{\mu}g/ml)$ significantly inhibited the $TNF-\;{\alpha}$ secretion by astrocytes stimulated with LPS and SP. Interleukin-1 (IL-1) has been shown to elevate $TNF-\;{\alpha}$ secretion from LPS-stimulated astrocytes while having no effect on astrocytes in the absence of LPS. Treatment of Sgp $(10\;to\;1000\;{\mu}g/ml)$ to astrocytes stimulated with both LPS and SP decreased IL-1 secretion significantly. The secretion of $TNF-\;{\alpha}$ by LPS and SP in astrocytes was progressively inhibited with increasing amount of IL-1 neutralizing antibody. Neurodegenerative processes in AD are thought to be driven in part by the deposition of ${\beta}\;-amyloid\;(A\;{\beta})$, a 39- to 43-amino acid peptide product resulting from an alternative cleavage of amyloid precursor protein. Sgp $(10\;to\;1000\;{\mu}g/ml)$ significantly inhibited the $TNF-\;{\alpha}$ secretion by astrocytes stimulated with $A-{\beta}-$and IL-1. These results suggest that Sgp may inhibit $TNF-\;{\alpha}$ secretion by inhibiting IL-1 secretion and that Sgp has an antiinflammatory activity in AD brai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