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 Mendel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19초

Gregor Mendel and the Seven Genes (1)

  • Tateno, Yoshio
    • Interdisciplinary Bio Central
    • /
    • 제5권4호
    • /
    • pp.7.1-7.3
    • /
    • 2013
  • This essay describes G. Mendel's life and his law of inheritance. He was born in a poor family in 1822 in a hamlet in Czechs. At that time the Habsburg Empire dominated over the East Europe in which Vienna was the capital. Vienna had thus been the center of culture and learning, and attracted many artists and scholars such as W. Mozart (1756- 1791), L. Beethoven (1770-1827), C. Doppler (1803-1853), S. Freud (1856-1939), G. Mahler (1860-1911), G. Klimt (1862-1918) and E. Schiele (1890-1918). Beethoven came to Vienna to learn from Mozart. Klimt was influence by Schilele. When Mahler consulted Freud about his mental problem, Freud said to him "Your mental condition was not normal, but the condition made you creative. So, do not worry too much about it." Like that, there were many interactions among them, and Mendel was no exception. Though Mendel was poor, he was fortunate in his education and scientific research, because he could have excellent supporters in his family and out of it. He learned mathematics and physics at Vienna University under the guidance of C. Doppler. He was not totally alone when he discovered his law of inheritance. It may not be true either that his law was neglected and rediscovered in the year of 1900. As his one and only paper indicates, he was one of the earliest interdisciplinary scientists.

Gregor Mendel and the Seven Genes (2)

  • Tateno, Yoshio
    • Interdisciplinary Bio Central
    • /
    • 제5권4호
    • /
    • pp.8.1-8.3
    • /
    • 2013
  • Unlike the traditional view, it is not mysterious about how G. Mendel chose the seven characters of the pea, Pisum sativum, that he studied. He first chose the pea that met three conditions he set up and repeated experiments for two years. Apparently, he knew that those characters were controlled by countable elements. Then, he derived the prediction on the basis of his idea about the elements, and selected the seven characters that satisfied the prediction. He knew "no prediction no science". In population genetics the Hardy-Weinberg principle is well known and cited in many papers and books. However, Mendel already derived the same principle in his paper, because he was acquainted also with physics and mathematics. Actually, the principle was trivial when they derived, but not at all when Mendel did. It is also well known that Mendel's laws were forgotten and rediscovered at the term of the 19th century. That may not be true either. His laws were internationally well known before the rediscovery. In fact, the 1881-year version of the Encyclopedia Britannica contains his laws.

Development of Information Biology (II)

  • Tateno, Yoshio
    • Interdisciplinary Bio Central
    • /
    • 제5권2호
    • /
    • pp.4.1-4.3
    • /
    • 2013
  • A history of discoveries of a gene and DNA was viewed with respect to people, time and places. It started with G. Mendel and J. Meisher, who discovered a gene in a plant species in 1866 and DNA in animals in 1869, respectively. With recognition that DNA was a chemical substance, A. Kossel identified the four chemical components of DNA without knowing their biological function around the turn of the 19th century. On the other hand F. Griffith found a peculiar activity in a bacterial species in 1928, but victimized by the war before understanding what it was. Those discoveries were made in Europe, but they were still fragmentary. Then, in USA, O. T. Avery, A. Hershey, M. Nirenberg and other scientists organized the European discoveries and elucidated their coordinated biological functions in 1950's and 1960'.

형질전환 닭에서 GFP 유전자 전이 연구 (Analysis of the Foreign Gene Transmission in the GFP Transgenic Chickens)

  • 장예진;지미란;전미향;김점순;김경운;한덕우;정학재;양병철;류재규;박진기;김태완;변승준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41-244
    • /
    • 2012
  • 본 연구는 형질전환 닭에서 주입한 외래 유전자의 세대간 전이와 발현 양상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외래 유전자 전이 양상 조사는 제3세대(G2) GFP 형질전환 수탉을 최초 부계로 사용하여 최종적으로 제9세대(G8) 형질전환 닭을 연속적으로 생산하면서 GFP 유전자 전이 양상을 조사하였다. 형질전환 병아리 유전 분석은 자외선 램프 아래에서 부화한 병아리들의 날개, 부리와 다리에서 녹색형광단백질을 발현하는 병아리들만을 형질전환으로 선발하였다. 형질전환 닭에서 외래 유전자 전이율은 대략 38~58%이었다. 이는 유전자 전이가 멘델의 유전 법칙을 따르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연구 결과는 GFP 유전자가 유전자 침묵 없이 멘델의 유전 법칙에 따라 다음 세대로 계속 전이와 발현된다는 것을 보여 주고 있다.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KASP Markers Targeting the Lipoxygenase Gene in Soybean

  • Seo-Young Shin;Se-Hee Kang;Byeong Hee Kang;Sreeparna Chowdhury;Won-Ho Lee;Jeong-Dong Lee;Sungwoo Lee;Yu-Mi Choi;Bo-Keun Ha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8권4호
    • /
    • pp.294-303
    • /
    • 2023
  • Lipoxygenase gives soybeans their grassy flavor, which can disrupt food processing efficiency.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soybean genotypes with lipoxygenase deficiency among 1,001 soybean accessions and to develop kompetitive allele specific PCR (KASP) markers that can detect lipoxygenase mutations. Three lipoxygenase isozymes (Lox1, Lox2, and Lox3) were analyzed using a colorimetric assay based on a substrate-enzyme reaction. Among the 1,001 accessions examined, two (IT160160 and IT276392) exhibited a deficiency solely in Lox1, and one (IT269984) lacked both Lox1 and Lox2. IT160160 had a 74-bp deletion in exon 8 of Lox1 (Glyma13g347600), whereas IT276392 displayed a missense mutation involving the change of C to A at position 2,880 of Lox1. Moreover, we successfully developed four KASP markers that specifically target Lox1, Lox2, and Lox3 mutations. To validate the Lox1 KASP markers, we used two F2:3 populations generated through a cross between Daepung 2 (lipoxygenase wild type, maternal parent), IT160160, and IT276392 (null Lox1, paternal parent).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Daepung 2 × IT160160 group followed the expected 3:1 ratio according to Mendel's law, whereas the Daepung 2 × IT276392 group did not. Furthermore, a comparison between the colorimetric and KASP marker analyses results revealed a high agreement rate of 96%. KASP markers offer a distinct advantage by allowing the distinction of heterozygous types independent of other variables. As a result, we present an opportunity to expedite the lipoxygenase-deficient cultivar development.

잘 알려진 창의적 과학자들의 과학적 문제 발견 패턴 분석 (An Analysis on Problem-Finding Patterns of Well-Known Creative Scientists)

  • 김영민;서혜애;박종석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3권7호
    • /
    • pp.1285-1299
    • /
    • 2013
  • 우리나라 과학교육에서는 과학 창의성의 계발을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 창의성으로서 과학자들의 문제 발견에서 나타나는 패턴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사례별 당시의 과학사적 상황, 문제 발견의 과정 및 문제 해결에 대한 내용을 구체적으로 논의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자 10명이 과학사적 사건을 발견할 때 특징적으로 나타내는 문제 발견의 패턴은 다음과 같은 5가지 패턴으로 발견되었다. 패턴 1의 경우는 당시의 이론이나 설명이 불충분하거나 모순 또는 오류를 발견함에 의해 과학적 문제를 발견하는 것으로, 여기에는 라부아지에, 멘델, 왓슨의 문제 발견이 포함되었다. 패턴 2의 경우는 당대의 지식으로는 설명되지 않는 이상한 현상을 관찰함에 의해 문제를 발견하는 것으로, 여기에는 러더퍼드와 뢴트겐의 문제 발견이 포함되었다. 패턴 3의 경우는 비유 추론에 의해 문제를 발견하는 것으로, 카르노와 영의 문제 발견이 포함되었다. 패턴 4의 경우는 새롭게 발명된 관찰 또는 측정 기구를 사용하여 새로운 현상을 관찰함으로써 문제를 발견하는 것으로, 갈릴레이의 문제 발견이 포함되었다. 패턴 5의 경우는 연구 프로젝트 수행 중에 그 연구와 관련된 새로운 문제를 발견하는 것으로, 패러데이와 케플러의 문제 발견이 포함되었다.

섬유용양마의 육종에 관한 연구 -단일반응성과 섬유종의 유전 및 연소 (Studies on the Breeding of the Response to short photoperiod, Fiber weight, and Qualitative characters and of the Associations Among these characters in Kenaf)

  • 박종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15-124
    • /
    • 1968
  • 1. 양마의 섬유중 단일반응성 엽형 경색 엽병색 삭과색에 관한 제형질에 대하여 개개의 질적형질의 유전 및 그들의 연소를 연구하였다. 량적형질의 유전은 통계유전학적방법을 이용하여 유전인자분석을 하였다. 또 이들 양적형질의 질적형질과의 연소 및 양적형질상호간의 연소를 조사하여 얻어진 지견을 응용하여 선발의 효과를 높이려고 하였다. 2. 본실험에는 양마의 품종 Dashkent, G38F-1의 1교잡을 사용하였다. Dshkent는 우리나라 재래품종으로 경색은 녹색이고 열핵엽형 녹색엽병색 개화일수는 10시간 단일처리하에서 106.9222일이고 호외 포장조건에서 105.8234일이었고 개체당 섬유중은 26.4922 gr였다. G38F-1은 Guatemala에서 도입하여 계통선발된 품종로서 적색경 수원엽형 적색엽병색 개화일수는 10시간단일처리하에서 62.3784일이고 호외포장조건에서 148.8921일였고 개체당 섬유중은 37.1591 gr.였다. 본교잡에 사용된 실험재료는 P, $P_2$, $F_2$, $F_2$, $BC_1$,($F_2$ ${\times}$ Dashkent), $BC_2$($F_2$ ${\times}$ G38F-1)의 각집단이며 1965년 수원작물시험장 포장에 재식하였다. 3. 엽형 엽병색 경색 삭과색 등 제형질의 유전은 수원엽형 녹색엽병 녹색경 녹색삭과등의 제인자가 단인자로서 그의 대립형질인 열각엽형 적색엽병 적색경 황색삭과에 대하여 각각 열성으로서 3:1의 Mendel성단순분리비를 나타내었다. 또 $F_1$과 열성형질과의 여교잡은 각각 1:1의 분리비가 인정되었다. 엽병색(G)과 엽형유전자(L)와의 조환가는 11.9565의 상인연소현상을 보였다. 삭과색(Y) 경색(R) 유전자간에는 어느것이나 연소현상이 보이지 않았다. 4. 단일반응성의 변이는 연소적이며 우성은 거의 인정되지 않았고 인자간의 상호작용도 인정되지 않았으며 상가적 유전을 보였다. 광의와 협의의 유전력은 각각 89.50%로서 실용적으로 대단히 높은 것으로 생각되었으며 단일반응성에 관여하는 유전자수는 2대의 인자로 추정하였고 다시 양친의 유전자형을 aabb AABB라고 측정하여 각인자의 작용가는 11.136일로 산출되었고 분해법에 의한 유전분석결과 유전자형의 관찰빈도분포와 이론빈도분포는 서로 잘 적합되었다. 단일반응성에 있어서 유전력이 대단히 높았으므로 비교적 초기세대에서 본 형질의 선발이 가능할 것 같았다. 5. 단일반응성과 엽형 및 엽병색 유전자와의 사이에 $F_2$, $BC_1$$BC_2$에서 각각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볼 수 있었으므로 이들 형질간에 연소가 있는 것으로 인정되었다. 더욱 엽형과 엽병색과의 연소가 있는 것으로 인정되는 이상단일반응성 유전자와의 사이에 연소군이 인정된다. 6. 섬유중 유전자와 엽병색 및 엽형유전자와의 사이에 $F_2$$BC_1$$BC_2$에서 각각 유의적 상관관계를 볼 수 있었으므로 이를 형질간에 연소가 있는 것으로 인정되었다. 더욱 엽형과 엽병색과의 연소가 있는 것으로 인정되는 이상 섬유중 유전자와의 사이에 연소군이 인정된다. 7. 경장 경경 개화일수와 주당섬유중의 유전상관과 표현형상관에 있어서 전반적으로 표현형상관보다도 유전상관의 절대치가 크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식물체의 크기에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경장 개화일수와 섬유중 형질상호간의 상관이 높은 치를 보였다. 8. 이상의 유전분석 결과 엽형 및 엽병색과 단일반응성경장 섬유중 형질간에는 연소 혹은 다면발현(pleiotropic effect)이 관여하는 것으로 이해하드라도 대과없는 것으로 생각되었고 양마에 있어서 고섬유중을 위한 선발은 엽병색 및 경장의 선발과 엽형 및 개화일수로서 선발을 함께 하면 그 효율이 높아질 것으로 믿어졌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