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Future Career

검색결과 586건 처리시간 0.031초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청소년의 문화프로그램 몰입이 진로인식 및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지지에 의해 조절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The Influence of Cultural Program Commitment on Career Perception & Development of Children and Adolescents Using Local Children Centers' Services -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Moderated by Social Support)

  • 장선화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4호
    • /
    • pp.193-204
    • /
    • 2021
  • 본 연구는 취약계층 아동·청소년이 이용하는 지역아동센터 문화프로그램 몰입이 진로인식과 진로발달에 주는 영향을 사회적 지지에 의해 조절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N시 지역아동센터 22개소에 다니는 190명의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문화프로그램 몰입, 진로인식, 진로발달,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통계처리를 위해 SPSS PC+ 25.0의 SPSS MACRO가 사용되었다. 본 연구결과 첫째, 문화프로그램 몰입은 자기효능감, 사회적지지, 진로인식, 진로발달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문화프로그램 몰입이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진로인식과 진로발달에 영향을 주며, 문화프로그램 몰입이 진로인식과 진로발달에 주는 영향을 매개하는 자기효능감을 사회적지지가 조절하는 것이 검증되었다. 지역아동센터에 다니는 아동·청소년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가 커지고, 문화프로그램몰입이 진로인식과 진로발달에 주는 긍정적 영향이 촉진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과제가 논의되었다.

일반고 학생의 자아인식 및 수업태도와 진로성숙의 관계에 대한 연구: 부모와 대화에 의한 진로탐색효능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awareness and Class Attitude and Career Maturity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Verification of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n Career Exploration Efficacy through Conversation with Parents)

  • 유현경;남정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490-504
    • /
    • 2021
  • 본 연구는 일반고 학생들의 진로성숙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사회인지진로이론에 근거하여 자아인식과 수업태도가 진로성숙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부모와 대화 빈도에 의한 진로탐색효능감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일반고 2학년에 대한 연구를 위해, 한국교육고용패널(KEEP) II의 1차년도 설문 결과에서 일반고(자율고 포함) 5943명의 자료를 SPSS 22와 PROCESS macro의 모델 7번을 사용하여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적인 자아인식과 수업태도는 진로성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진로탐색효능감은 자아인식 및 수업태도와 진로성숙을 매개한다. 셋째, 자아인식과 진로성숙의 관계에서 부모와 대화의 빈도에 의한 진로탐색효능감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는다. 넷째, 수업태도와 진로성숙의 관계에서 부모와 대화 빈도에 의한 진로탐색효능감의 대립조절된 매개효과가 나타난다. 이러한 연구에 기반하여 일반고 학생들의 진로성숙을 위한 시사점과 향후 과제를 제안하였다.

상호협조적-독립적 부모자녀관계와 진로정체감과의 관계에서 부모자녀진로합치과정의 매개효과 (The Parent-adolescent Career Congruence Process as a Mediator between Independent vs Interdependent Parent-adolescent Relationships and Career Identity)

  • 손영미;박정열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7권3호
    • /
    • pp.325-350
    • /
    • 2021
  • 본 연구는 한국대학생의 부모자녀관계와 진로정체감의 관계에서 부모자녀진로합치과정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구체적으로, 정서적으로 끈끈한 유대감(부자유친성정)과 권위적 효의식을 지지하는 상호협조적 부모자녀관계와 자녀의 독립성과 자율성을 지지하는 독립적 부모자녀관계가 어떠한 부모자녀진로합치과정을 거칠 때 진로정체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4년제 대학생 509명의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병렬다중매개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부자유친성정은 보완합치와 조정합치과정을 완전매개하여 진로정체감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드러났다. 권위적 효의식은 진로정체감에는 부정적인 직접 영향을 미치지만 보완합치와 조정합치과정을 매개하면 진로정체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자녀의 자율성을 지지하는 부모자녀관계는 보완합치와 조정합치과정을 완전매개하여 진로정체감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드러났다. 가족침입성은 진로정체감에 부정적인 직접 효과만을 갖는 것으로 드러났다. 한편 유사합치과정은 상호협조적 부모자녀관계와 독립적 부모자녀관계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매개효과를 갖지 않았으며, 진로정체감과는 부적인 직접효과를 갖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부모자녀관계와 진로정체감의 관계에 대한 문화보편적 특성과 문화특수적 특성을 논의하였으며,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방향을 제언하였다.

호텔 직원의 경력개발이 개인직무적합성 및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Employees' Career Development upon Person-Job Fit and Job Satisfaction in the Hotel Industry)

  • 정효선;윤혜현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5-38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특급 호텔 직원을 대상으로 경력개발이 개인직무적합성 및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고찰하였다. 총 353부의 표본을 가지고, 3개의 가설을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하여 검증하였으며, 최종 모형의 적합도지수는 ${\chi}^2$=563.417 (p<.001), df=236, CMIN/DF=2.387, RMR=.070, GFI=.881, AGFI=.848, NFI=.921, CFI=.952, RMSEA=.065로 조사되었다. 가설 검증 결과, 호텔 직원의 경력개발 중 경력동질성(${\beta}$=.437), 경력 계획(${\beta}$=.284), 경력관리(${\beta}$=.138)는 직원의 개인직 무적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직무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경력개발 요인으로는 경력관리(${\beta}$=.238)인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직원의 개인직무적합성(${\beta}$=.637)은 직무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

문화예술분야의 진로선택요인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Factors of Career Choice in Culture Arts)

  • 정재엽;최명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8호
    • /
    • pp.383-390
    • /
    • 2017
  • 본 연구는 문화예술 전공자를 대상으로 진로선택요인이 무엇인지 규명하고 이중 가장 영향력이 높은 요인이 무엇인지 연구하였다. 또한 진로선택의 요인과 진로장벽으로의 외부환경요인이 취업자와 창업자에 따라 다르게 인지되는지, 성별에 따라 다르게 인지되는지 연구하였다. 경기도 소재 문화예술 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불성실 응답을 제외한 233부를 분석하였다. 통계분석은 t-test, MANOVA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문화예술전공자의 진로선택요인을 규명하였으며 취창업 선택 시 고려하는 진로선택요인을 서열 순으로 확인하였다. 문화예술 전공자들의 취창업그룹간, 성별간에 진로선택요인의 차이가 있었으며 두 요인간의 상호작용효과도 일부 요인에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문화예술분야 전공자의 진로선택에 대한 이해를 높여주어 향후 진로교육과 상담 등의 기초자료로 사용가능하며 취창업교육에 활용이 가능하다.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현장실습 전·후에 대한 만족 정도와 실습 후 진로의사 및 행동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cision/ behavior and the pre-/post satisfaction of dental hygiene students in field practice)

  • 성미경;황세현;장경애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71-281
    • /
    • 2017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mote the value of field practice courses by installing an efficient field practice program through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cision/ behavior and the pre-/post satisfaction of dental hygiene students in field practice. Method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students in Gyeongnam and Busan majoring in dental hygiene, from which 218 questionnaires were obtained from 23 November 2015 to 30 July 2016. Results: In terms of career decision/ behavior, the post-satisfaction scores in ideas about their major, about whether it was helpful to selecting their speciality and positive impression of dental hygienists, interest and understanding in training course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pre-satisfaction scores (p<0.05).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in field training and career decision/ behavior following the field training, pre-/post-satisfaction on site-training content (r=0.371, p<0.01), pre-/post satisfaction in training instructions (r=0.267, p<0.01), and pre-/post-satisfaction in the training sites (r=0.436, p<0.01) were all proportionally correlated to the after-training career decision and behavior. Conclusions: It is necessary for training instructors to maintain close relationships with the students in field practice program courses. In advance, it is expected to promote students' satisfaction in field practice and serve as a starting point where students can build self-esteem as a future dental hygienist by positively influencing their career decisions and behaviors.

어머니의 가정내 변혁적리더십이 청소년자녀의 심리적복지감 및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Moth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the Family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Adolescents)

  • 김경아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5권4호
    • /
    • pp.149-167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famili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e samples were randomly selected from high school students studying liberal arts in Seoul. 400 surve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March 11 through 18, 2010. Among them, 386 completed surveys were utilized as the data for the statistic analyses. SPSS were applied.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dolescent children of mothers with leadership have higher psychological well-being than those from families of mothers without leadership. This has been determined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adolescent children according to their moth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the family. Second, the adolescent group with mothers who show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managing the home have higher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an the group without such mothers. This was determined as a result of reviewing adolescent children'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ccording to moth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level in the family. Thir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ccording to adolescents' psychological well-being show positive relations by group. That is, adolescents living table lives are more positive about their future. Lastly, when comparing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the moth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the famil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t has gained more credibility as stage ads. Based on the results, when mothers nurture children with a affection-based autonomy, children gain higher psychological well-being, which leads to firm beliefs about constructive futures. Therefore, for successful and systematic career development, CEO moth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hould serve as its foundation.

  • PDF

고등학생이 인식하는 학업적 그릿과 진로개발역량 관계에서 학습전략 수준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 of Learning Strategy Level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Grit an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e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 김규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6호
    • /
    • pp.27-33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이 인식하는 학업적 그릿과 진로개발역량 관계에 대한 학습전략 수준의 조절효과를 탐색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D 광역시 소재 고등학생 573명이었으며, 주요 분석 방법은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K-평균 분석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이었다. 연구결과, 학업적 그릿은 진로개발역량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또한, 학업전략수준은 학업적 그릿과 진로개발역량의 관계를 조절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고등학생에게 진로개발역량 향상을 위해서는 학습전략 수준을 고려한 학업적 그릿 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학업적 그릿과 진로개발역량 관계에 대한 개인배경이나 관련 변수를 활용한 조절 및 매개효과 분석, 이들 관계에 대한 이론적, 논리적 구조 관계를 밝히는 문헌연구, 학업적 그릿의 진로개발역량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맥락과 관련 변인 간 이론적 구조를 밝히는 질적 연구 등이 요청된다.

치기공과 학생들의 진로준비행동에 대한 자기주도학습의 중요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ortance of Self-directed Learning on Career-preparation Behavior of Department of Dental Technology Students)

  • 나정숙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33-244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learn the importance of self-directed learning about career-preparation behavior of department of dental technology students. Methods: Using the questionnaire, the department of dental technology in Gyeongnam Province conducted a survey of students of department of dental technology at A and B college for one month from May 15, 2019 through June 15, 2019, and finally 204 students were surveyed for Self-esteem, Self-determination, Self-efficacy, Internal control, College life adaptation, Self-directed learning, and Career-preparation behavior. Results: Self-esteem among students has been shown to improve self-directed learning by increasing the stress of college life, and self-efficacy has only a direct effect on self-directed learning. In addition, self-determination and internal control of department of dental technology students were found to be variables that have a common positive effect on college life adapt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In addition, college life adaptation gives direct positive effect to self-directed learning, but indirect effect through self-directed learning was found to be stronger than direct effect on career-preparation behavior, and the career-preparation behavior of students was further strengthened through self-directed learning. Conclusion: The changes in college restructuring and various policies also suggest that students should actively seek ways to instill certainty about their major's vision and career path within the college rather than deciding their future through extreme measures such as academic secession at a time when anxiety and uncertainty about their career is strong.

대학생의 감성지능과 인지정서조절전략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on Career Maturity in College Students)

  • 한미희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503-508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취업이 점차 심각해지는 이 시기에 대학생들의 감성지능과 인지정서조절전략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충남에 위치한 4년제 N 대학교의 교양수업을 수강한 348명의 학생들로 구성되었으며, 분석방법으로는 SPSS 26.0을 사용하였고 기술통계량,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들의 감성지능과 인지정서조절전략은 진로성숙도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감정이나 정서들도 긍정적 사고와 동기유발 등을 통하여 진로성숙도를 높일 수 있다는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도 진로성숙도를 높이는 다양한 연구 및 프로그램이 확산되기를 기대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가 진로 및 취업분야에 구체적이고 실행가능한 방안들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