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sarium roseum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초

한국에서의 Fusarium균에 의한 보리의 토양전염성병 (Soil-borne Diseases of Barley in Barley in Korea Caused by Fusarium spp.)

  • 성재모;;정봉구;정봉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15-119
    • /
    • 1977
  • Fusarium spp가 1976년 포장에서 채집한 벼밀 보리에서 분리되었다. 병원성이 있는 것은 Fuarium(Calonectria) nivale, F.(Gibberella) moniliforme와 F.(Gibberella) roseum 'Graminearum'과 'Avenaceum'이었다. 부생균가운데 F.(Nectria) episphaeria가 분리되었다. F. nivale와 F. episphaeria의 완전시대인 Calonectria Nectria가 발견되었고 이것들은 한국에서 보고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분리된 Fusaria는 벼에서 $66.3\%$가 F. moniliforme 이고 보리, 밀에서$68.2\%$가 F. roseum 'Graminearum 이었다. 자낭각은 실험실 조건하에서 형성되었고 F. moniliforme는 밀이삭, 보리씨에 접종한 결과 병원성이 나타났다.

  • PDF

포장(圃場)에서 Fusarium속균(屬菌)의 종자(種子) 감염(感染)과 소독제(消毒劑)의 선발(選拔) (Rice Seed Infection of Fusarium spp. at Paddy Field and Selection of Seed Disinfectants)

  • 성재모;이종은;양성석
    • 한국균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99-103
    • /
    • 1985
  • 품종(品種)별로 포장(圃場)에서 임의(任意)로 채집(採集)하여 병원균(病原菌)을 분리(分離)한 결과(結果) Fusarium moniliforme와 F. roseum 'Graminearum' 품종(品種)에 따라 분리(分離) 비율(比率)이 다르나 공시(供試)한 품종(品種)에서 거의 다 분리(分離)되었다. 특(特)히 F. roseum 'Graminearum'은 현미(玄米)에서도 높은 분리비율(分離比率)을 보였다. 참새 피해(피해)를 받은 이삭에서 F. moniliforme의 Sporodochia가 많이 형성(形成)되었으며 벼 별구에서도 . F. moniliforme등 많은 병원균(病原菌)이 분리(分離)되었다. 저지원 시험결과 P242가 F. moniliforme에 대하여 저지비교(效果)가 가장 좋았으나 소독(消毒)후 종피(種皮)에서는 병원균(病原菌)이 거의 분리(分離)되지 않았으나 현미(玄米)에서는 키다리병원균(病原菌)인 F. moniliforme가 많이 분리(分離)되었다. 소독시간별(消毒時間別) 약효(藥效)를 보면 4시간 동안 처리하면 12시간 24시간 36시간 보다 약효가 띨어졌으며 $30^{\circ}C$에서 36 시간 처리한것이 가장 종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각종 작물로부터 분리한 Fusarium속 균의 RAPD 기법을 이용한 유전분석 (RAPD Analysis for the Evaluation of Genetic Diversity Among the Fusarium Species from Various Sources)

  • 최혜선;김경수;김명조;심재욱;김병섭;이민웅;이윤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25권3호통권82호
    • /
    • pp.202-208
    • /
    • 1997
  • Fusarium을 간단한 방법으로 DNA를 추출한 후, 유전적 다형성을 검출하는 방법인 RAPD(Randomly Amplified Polymorphic DNA)를 이용하여 Fusarium균의 유전적 다형성과 계통분류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20개의 분리균을 배양하여 얻어진 균사체로부터 genomic DNA를 추출하여 PCR을 실시 15개의 primer에서 $0.2{\sim}3\;Kb$ 크기의 band를 총 180개 얻었다. 180개의 band 중 다형화 현상을 보이는 band는 126개로 이를 이용하여 bionominal matrix code(0,1)을 작성한 후 UPGMA법을 이용하여 각 균주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Fusarium oxysporum 균주중 355번(F. oxysporum)과 358번(F. oxysporum)은 0.9603의 높은 상동성을 보인 반면, F. roseum (87번)과 F. oxyspoyum (358번), 69번 (F. o. f. sp. lycopersici)과 68번(F. o. f. sp. melongena)은 0.3809의 낮은 상동성을 보였다. 361번 (F. oxysporum)과 218번 (F. o. f. sp. ruphani)은 0.8730의 유사도를 354번(F. oxysporum), 228번(Fusarium sp.)은 0.7936의 유사도, 87번(F. roseum)과 57번(F. o. f. sp. raphani)은 0.5873 유사도를 가진다.

  • PDF

인삼 뿌리썩음병(根 病) 관련 Fusarium species와 그 병원성 (Fusarium species Associated with Ginseng (Panax ginseng) and Their Role in the Root-Rot of Ginseng Plant)

  • 이순구
    • 식물병연구
    • /
    • 제10권4호
    • /
    • pp.248-259
    • /
    • 2004
  • 1982년부터 1885년 동안, 인삼뿌리썩음병 및 근권 토양에서 분리한 Fusarium균(115균주)을 Snyder-Hansen 방식(주로 F. solani 및 F. oxysporum의 동정에 적용) 및 Gerlach-Nirenberg 방식(주로 F. moniliforme[Liseola section]의 균주 동정 및 F. roseum[Snyder-Hansen 분류개념에 의한]에 속하는 균주 동정에 적용), 그리고 Cylindrocarpon균은 Booth 방식으로 분류 동정한 결과, 11개의 종으로 나눌 수 있었다. 가장 많이 분리된 균은 Fusarium solani(55균주), F. oxysporum(35균주), 그리고 F. moniliforme(10균주) 등이었다. Snyder와 Hansen(1945) 분류방식에 의해 F. roseum으로 불리우는 나머지 균주들(15균주)은 매우 드물게 분리되었으며, 8개의 종으로 다시 분류할 수 있었다. 이들은 F. equiseti, F. avenaceum, F. graminum, F. arthrosporioides, F. sambucinum, F. reticulatum, F. semitectum and F. poa 등이었다. 1985년 6월 이들 Fusarium 균주들과 Cylindrocarpon destructans 균주들 및 주요 인삼의 토양전염성 병원균 균주들을 증평인삼시험장 3년생 격리포장에서 균총 절편으로 뿌리 상부에 접종시켜 그 병원성을 검정한 결과, Phytophthora cactorum과 Pythium ultimum은 접종 12일 만에 지상부 위조 및 뿌리의 물렁썩음을 일으키는 높은 병원성을 나타내었다. 접종 후 77일경에 뿌리를 채굴하여 뿌리의 마른 썩음을 조사한 결과, Fusarium solani 균은 34 균주 중 1개 균주만이 병원성을 보였으나, Cylindrocarpon destructans는 12개 접종 균주 모두 인삼의 뿌리썩음에 높은 병원성을 나타내었다 . Fusarium solani 및 Cylindrocarpon destructans는 전형적인 기주-위주의 인삼 토양병원균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Fusarium속의 염색체 분석 (Chromosomal Studies on the Genus Fusarium)

  • 민병례
    • 미생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42-347
    • /
    • 1989
  • Fusarium 속의 20균주를 PDA 배지에서 배양하고. HCI-Giemsa 염색법을 이용하여 균사 내에서의 영양핵의 핵분열을 관찰하였고, 염색체 수를 세었다. 관찰한 모든 Fusarium 속의 균주들익 염색체 수는 4-8개 사이에 있었다. 그 중에서 3균주인 F. solari S Hongchun D4. F. moniiforme(from banana), F. raphani (from radish)는 n=8개이고, F, solani 7468(from Sydney), F, solani 7475 (from Sydney), F, oxyporum (from tomato), F, oxyporum(from tomato). F F. roseum(from rice), F, sporotrichioides C. Jungsun 1, F. avenaceum C Kosung 6. F, avenaceum46039 등의 7균주에서는 n=7개였다 F. monilzfonne (from rice), F. graminellrum, F. probiferatum 6787(from Sydney), F. anguioides ATCC20351의 5균주는 n=6개 F. moniliforme NRRL2284. F. poae NRRL3287. F. tricintum NRRL 3299의 3균주는 n=5개였고 가장 적은 수의 n=4개인 균주로는 F. sporotrichioides NRRL3510과 F. equiscli KFCC 11843 IFO 030198의 3균주였다. 이상의 균주들의 염색체 수를 비교 고찰할 때 Fusarium 속의 기본 염색체 수는 반수체가 4개이며 종 분화과정에서 이수체와 배수체가 되었을 것으로 추론된다.

  • PDF

감자 건부(乾腐) Fusarium roseum ‘Sambucinum’ 변이체(變異體)의 균사생장(菌絲生長) 및 분생포자(分生胞子) 형성(形成)에 미치는 아미노산(酸) 영양(營養) (Amino Acid Nutrition on Growth and Reproduction of Potato Dry Rot Fusarium roseum ‘Sambucinum' Variants)

  • 이창은
    • 한국균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187-192
    • /
    • 1982
  • 감자 건부병균(乾腐病菌) Fusarium roseum ‘Sambucinum'의 병원성(病原性) 감소(減少) 및 증가(增加) 변이체(變異體)의 균사생장(菌絲生長)과 분생포자(分生胞子) 형성(形成)에 미치는 각종(各種) 아미노산(酸)의 효과를 시험(試驗)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았다. 병원성(病原性) 증가(增加) 변이체(變異體) Ic52 및 Ic116은 병원성(病原性) 감소(減少) 변이체(變異體) Dc14 및 Dc91 보다 모든 공시(供試) 아미노산(酸)에서 균사생장(菌絲生長)이 더큰 경향(傾向)을 보여 leucine에서 최고(最高) 67mg까지 생장(生長)하였으며 분생포자(分生胞子) 형성(形成)은 $25{\times}10^{4}/ml$ 이하로 감소(減少) 또는 완전(完全)히 소실(消失)하였다. Methionine은 변이체(變異體) 및 야생형(野生型)에 대(對)하여 $14{\sim}20mg$의 가장 적은 균사생장(菌絲生長)을 보였으며 분생포자(分生胞子)는 전연형성(全然形成)시키지 않았다. Cystine은 병원성(病原性) 감소(減少) 변이체(變異體) Dc14 및 Dc91의 균사생장(菌絲生長) 30mg 및 19mg를 보여 asparagine과 같이 중정도(中程度)였고 분생포자(分生胞子) 형성(形成)에는 효과가 없었다. 모든 공시(供試) 아미노산(酸)에서 병원성(病原性) 감소(減少) 변이체(變異體) Dc14의 균사생장(菌絲生長)은 Dc91보다 큰 경향(傾向)을 보였으며 분생포자(分生胞子) 형성(形成)도 Dc91에서 최고(最高) $195{\times}10^{4}/ml$를 보인 glutamic acid를 제외(除外)한 아미노산(酸)에서 Dc14 현저(顯著)하게 많았으며 lysine HCI은 이들 양변이체(兩變異體)의 분생포자(分生胞子)를 형성(形成)시키지 않았다.

  • PDF

저장미곡중의 균류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Fungi in Stored Rice)

  • Mheen, T.I.;Cheigh, H.S.;Ragunathan, A.N.;Majumder, K.S.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91-196
    • /
    • 1982
  • 미곡저장중 균류에 의한 미곡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1978년 12월 부터 1979년 6월까지 7개월간 싸일로, 평창고 및 통가리에 저장한 미곡시료(밀양23호)에서 균류를 분리, 동정하였다. 한국산 벼 및 현미에서 분리된 30종의 균류중, Aspergillus속 11종(A. caespitosus, A. condidus, A. chevalieri, A fischeri, A. fumigatus, A. fiavus, A. nidulans, A. oryzae, A. ruber, A. sydowii, A. versicolor), Penicillium 속 5 종 (P. atramentosum P. chrysogenum, P. cyaneofulvum, P. nototum, P. steckii), Alternaria 속 2종 (Al. faesiculata, Al. grisea) Curvalaria 속 2종 (C, interseminata, C. tetromea), Trichothecium roseum, Nigrospora sphaerica, Rhizopus nigricans, Fusarium spp., Mucor spp., Helminthosporium spp., 및 Gliocladiopsis spp. 각 1종, 총 27종이 동정, 확인되었다. 한국산 벼에서 분리된 표면균류는 A. flavus와 A. candidus가 대부분이었으며, 현미에서는 A. sydowii가 많이 출현하였다. 또한 저장중 변질미에는 A. candidus, A. versicolor 및 A. glaucus group들이 주로 많았다.

  • PDF

동충하초 재배상 내 기형균 및 오염균의 발생현황 및 특성 (Occurrence and Characteristics of other Fungi in the Artificial Cultivation Farms of Paecilomyces tenuipes)

  • 남성희;윤철식;정이연;지상덕;조세연;한명세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32-36
    • /
    • 2002
  • 7개도 22개 재배농가로 부터 수집한 시료는 총 529점이었으며, 수집균은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되며 생육장애에 의한 기형균은 23.2%, 오염균은 50.9%였다. 생육장애는 C-1, C-2, C-3 및 C-4의 4가지 유형이 있으며 이들 분생자병속은 20∼70 개가 발생되는데 회색, 순백색 또는 등황색을 떤다. 분생자병속 말단은 분지하지 않고 솜털형태로 뭉치거나, 발생 도중 쉽게 시들어 버린다. 분리된 오염균은 5종으로 Beauveria bassiana, Fusarium sp., Pacilomyces fumosoroseuse, Tricothecium roseum, Aspergiilus parasiticus이며, 이들은 분생자병속을 형성하지 않고 기주 표피에 각각 고유색상을 띠며 PDA 배지상에서 균사생장량은 14일간 43∼75 m 범위로 눈꽃동충하초균보다 빠른 생장을 보인다.

벼종자수반진균의 검정 및 종자발아에 따른 깨씨무늬병균의 전염경로 (Detecting Seed-Borne Fungi of Rice and Transmission of Helminthosporium oruzae in Germinating Seed)

  • 이창은;정후섭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19-126
    • /
    • 1979
  • 깨씨무늬병에 심하게 이병된 병팔굉 공시종자는 배양 $5\~7$일에 호영, 내외영 및 주병의 $86\~92\%$ 그리고 과피의 $74\~83\%$가 Helminthosporium oryzae에 감염 되어 있음을 보였다. 동균은 종립전면에 분생포자를 형성하였으며 배유의 약10여세포층까지 감염되어 있었으나 배조직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Fusarium moniliforme는 과피, 경유 및 배조직에서 검출되었으며 F. roseum, Trichoconis padwicku, Curvularia spp., Alternaria tenuis, Cladosporium cladosporoides 및 Phoma sp.는$ 3\%$ 이하의 영 및 과피에서 검출되었다. 배양일주일에 $60\~87\%$가 깨씨무늬 병징을 나타냈으며 $13\~40\%$는 외관상 건전하였다. 깨씨무늬병균은 감염된 종자의 제점으로부터 과피를 거쳐 시아및 유근에 전염 발병케 하였다.

  • PDF

수확전(收穫前) 논의 벼줄기에 감염(感染)된 Fusarium moniliforme에서의 Gibberella 자낭각(子囊殼)의 발생(發生) (Before Harvest Occurrence of Gibberella Perithecia of Fusarium moniliforme on Infected Rice Stems In field)

  • 성재모;스나이더
    • 한국균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33-37
    • /
    • 1977
  • 포장(圃場)에서 키다리병(病)에 걸린 줄기와 종자(種子)로 부터 얻은 자낭각이 어느 종류(種類)의 Gibberella에 존재(存在)하며, 수확후(收穫後)에 얻은 자낭각의 생존(生存)여부를 조사(調査)하기 위하여 처리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종자소독(種子消毒)을 하지 않은 포장(圃場)에서 키다리병(病)의 이병율(罹病率)은 평균(平均) 12%이었다. 2. 수확전(收穫前)에 얻은 자낭각은 키다리병의 자낭각이 적미병의 자낭각보다 많았으나 종자(種子)나 봄에 채집한 자낭각은 거의 적미병에 있었다. 3. 키다리병에 이병된 벼에서 채종한 종자(種子)에서 키다리병, 적미병, Ophiobolus sp.는 10, 25, 8%로 나타났으며 이병(罹病)된 줄기로부터 얻은 포자(胞子)로 접종(接種)한 종자(種子)에서는 3, 10, 2%로 나타났다. 4. 적미병자낭각을 야외 땅속 실내 집눌속에 놓고 5개월이 지난다음 생존(生存)여부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야외에 놓은 것만 발아하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