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ngiform Papillae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8초

뒤쥐(Sorex caecutiens) 혀유두의 형태학적 연구 (Morphological Study on the Dorsal Lingual Papillae of Sorex caecutiens Laxmann)

  • 박지원;이정훈
    • Applied Microscopy
    • /
    • 제39권2호
    • /
    • pp.101-106
    • /
    • 2009
  • 뒤쥐(Sorex caecutiens) 혀유두의 형태적 특징을 알아보기 위해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혀유두는 실유두, 버섯유두 그리고 성곽유두의 세 가지 유형으로 관찰되었다. 실유두는 혀측면을 제외하고는 혀의 전역에 걸쳐 분포하고 있었으며, 형태와 구조적 특징을 기초로 하여 세 가지의 유형으로 구분되어졌다. 다수의 버섯유두는 혀 전체에 걸쳐 분포하였으며, 특히 혀의 양 측면에 걸쳐 존재하고 있었으며, 혀의 앞쪽보다는 뒤쪽으로 갈수록 크기가 더 컸었다. 버섯유두는 쌍을 이루며 분포하지는 않았지만, 대부분 일정하게 분포하였다. 큰 2개의 성곽유두는 혀의 후방부의 끝 가까이에 존재하고 있었다. 성곽유두는 바깥쪽(측면)이 두꺼운 두겹의 pad가 둥글게 둘러싸고 있었으며, 중앙에는 2개 혹은 3개 정도의 돌출된 둥글게 둘러싼 pad가 존재하고 있었다. 본 연구 종은 일반적인 뒤쥐류에서 볼 수 있는 혀의 형태와 거의 흡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었음을 알 수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 성곽유두는 Sorex 종과는 차이가 있었다. 즉, 박쥐류와 Sorex 종에서와 같이 바깥쪽의 pad가 환상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는 점에서는 동일하나 박쥐류와 Sorex 종의 경우는 바깥쪽의 pad가 한 겹인데 반해 본 연구 종은 두 겹의 환상 구조를 취하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었다.

젊은 성인에서 심상유두개수와 전기미각역치의 상관성 (The Cor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Fungiform Papillae and Electrogustometric Thresholds in Adults)

  • 한동훈;박지일;임회순;김재형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6권1호
    • /
    • pp.1-10
    • /
    • 2011
  • 본 연구는 성별과 연령에 따른 심상유두수와 전기미각역치 그리고 심상유두수와 전기미각역치 상관성 등을 알아보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실험을 시행하였다. 20-30대 젊은 성인 62명을 대상으로 성곽유두를 경계로 하는 혀의 전방 2/3 를 혀 종축의 가상 중앙선과 혀 횡축의 가상 중앙선을 그린 후 횡축 중앙선 앞과 뒤 그리고 종축 중앙선 좌측과 우측의 내측 1 cm 부위를 첨부(anterior), 좌측방부(left lateral) 우측방부(right lateral), 후방부(posterior)그리고 횡축 과 종축 중앙선이 만나는 중앙부(center)를 혀 측정부위로 정하고 메틸렌 블루로 음성 염색을 실시하여 $1\; cm{\times}1\; cm$ 눈금자를 측정부위에 올린 상태로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한 후 심상유두 를 2회 측정하여 평균을 구하였다. 또한 전기미각계를 이용하여 동일한 부위의 미각역치를 3회 측정하여 평균을 구하였다. 1. 심상유두수는 혀 위치에 따라 첨부에서 가장 많고, 우측방부, 좌측방부, 후방부 그리고 중앙부 순으로 많았고, 성별에 따라서는 첨부, 우측방부, 중앙부에서 여자가 더 많은 심상유두를 보였고 그리고 연령에 따라서는 첨부, 우측방부, 그리고 좌측방부에서 20대가 더 많은 심상유두를 보였다. 2. 전기미각역치는 혀 위치에 따라 첨부에서 가장 낮게 측정되었고, 좌측방부, 우측방부, 후방부, 그리고 중앙부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성별에 따라서는 첨부와 우측방부에서 남자가 더 높게 나타났고, 그리고 연령에 따라서는 단지 우측방부에서만 30대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3. 첨부와 후방부에서는 심상유두수와 전기미각역치 사이에 역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여 주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성별, 연령, 그리고 혀 위치에 따라 심상유두수 와 전기미각역치가 다르며, 심상유두수와 전기미각역치는 역상관관계가 있음을 시사하였다.

한국재래산양의 태아 및 신생아 혀유두 발달에 관한 주사전자현미경적 연구 (Scanning electronic microscopical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the tongue in fetuses and neonates of Korean native goats)

  • 김종섭;조규현;이종환;곽수동;송치원;원청길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439-450
    • /
    • 2000
  • The morphological development of lingual papillae in fetuses between 60, 90, 120 days gestation and neonates of Korean native goat were investigat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In 60 day old fetuses, the primordia of lingual papillae were observed on the dorsal surface epithelium and those of papillae were primordial fungiform, vallate and conical papillae. The many of microridges and microplicae were observed on the surface of those epithelial cells. In 90 day old fetuses, the rudiment of lentiform and filiform papillae were appeared. There were microplicaes on the surface of the conical papillae epithelium. In the 120 day old fetuses, the lingual papillaes were well developed. The taste bud were opened on the top of vallate papillae that were compactly many of short microvilli. Moreover, secondary papillae partially were observed on top of vallate papillae. In neonate, the fungiform, vallate and lentiform papillae were similar to the adult lingual papillae, but filiform and conical papillae were different from the mature lingual papillae. The outline of filiform papillae were irregularly in indented, but those of conical papillae were regularly. The diameters of filiform, fungiform, conical, vallate and lentiform papillae were about 80~100, 190~250, 230~470, 360~670 and $730{\sim}1,140{\mu}m$, respectively. The height of filiform and conical papillae were about $130{\sim}140{\mu}m$ and $145{\sim}250{\mu}m$.

  • PDF

긴가락박쥐(Miniopterus schreibersi fuliginosus)와 검은집박쥐(Pipistrellus savii) 혀의 비교형태 (Comparative Morphology of the Tongue of Miniopterus schreibersi fuliginosus and Pipistrellus savii)

  • 박지원;이정훈
    • Applied Microscopy
    • /
    • 제39권3호
    • /
    • pp.267-276
    • /
    • 2009
  •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한국산 긴가락박쥐(Miniopterus schreibersi fuliginosus)와 검은집박쥐(Pipistrellus savii)의 혀유두의 형태를 관찰하였다. 본 연구에서 두 종 모두 세 가지의 혀유두, 즉, 실유두, 버섯유두 그리고 성곽유두가 관찰되었다. 실유두는 다시 두 종류로 세분화되어졌으며, 침상의 돌기물을 갖는 유형1은 혀의 전반부의 1/2 지점까지 분포하며, 유형2는 밋밋하고 두꺼운 돌기물을 갖고 있으며 혀의 후반부의 1/2에 분포한다. 두 종 모두 35~45개의 버섯유두가 혀의 표면에서 관찰된다. 이들 버섯유두는 혀의 측면과 혀의 전반과 후반부의 끝 쪽에서 나타난다. 두 종의 버섯유두는 각각 두 개 혹은 세 개의 매우 큰 유두로 혀의 후반부 중앙에 일직선으로 배열되어 있다. 두 개의 성곽유두는 혀의 후반부 끝쪽 가까이에 분포하고 있다. 이들 성곽유두는 크고 둥글며 각각은 두 층의 pad를 갖고 있다. 긴가락박쥐와 검은집박쥐의 혀유두의 전체적인 형태는 다른 익수류와 유사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종 사이에 드물지만 주목할 만한 차이점이 실유두와 버섯유두에서 나타났다. 검은집박쥐와는 달리 긴가락박쥐의 유형2의 실유두는 두 개 혹은 세 개의 돌기를 가지고 있었다. 혀의 후반부 중앙에 위치하고 있는 큰 버섯유두의 경우, 긴가락박쥐에서는 3개, 검은집박쥐에서는 단지 2개만 관찰되었다.

구강작열감증후군 환자에서 심상유두 수 측정의 진단적 가치 (Diagnostic Values of the Measurement of Fungiform Papillae in Patients with Burning Mouth Syndrome)

  • 이엄지;박재우;김진성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978-989
    • /
    • 2016
  • Objectives: This study evaluated the diagnostic values of measuring the number of fungiform papillae in patients with burning mouth syndrome (BMS). Methods: Seventy participants (35 BMS patients and 35 Healthy control)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number of fungiform papillae (FP) was measured on the anterior part of the tongue within an area of $9mm^2$ using a digital camera. The subjects were evaluated on their yin deficiency and blood stasis conditions using the Yin-Deficiency Questionnaire (YDQ) and Blood Stasis Questionnaire (BSQ). Moreover, the severities of subjective tongue pain in the BMS patients were assessed using Visual Analog Scale.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FP and the YDQ and BSQ scores between the two groups. The number of FP and the YDQ scores in the BMS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he VAS score of tongue pain. In the b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factor that most strongly contributed to BMS was the number of FP. The optimal cut-off value of the number of fungiform papillae was calculated as 5.5 with 71.4% sensitivity and 82.9% specificity.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FP and the YDQ or BSQ score. Conclusions: According to these findings, measuring the number of FP could be a valuable evaluation indicator of BMS.

소아 및 청소년에서 버섯 유두 개수로 산출한 설 미뢰 밀도와 식습관의 상관성 연구 (A Study on the Correlation of Fungiform Papillae (Taste Bud) and Eating Behavior of Children and Adolescents)

  • 최현;배선재;이상용;이은혜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8
    • /
    • 2010
  • Objectives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fungiform papillae count, which represents the density of taste buds, is related to eating behavior of children and adolescents. Methods The authors measured fungiform papillae count, height, and weight of 50 healthy children aged from 2 to 15. To evaluate the severity of anorexia, parents of the subjects answered modified version of Korean Children's Eating Behaviour Questionnaire (K-CEBQ). Children with weight of less than 50th percentile were assigned to low-weight group, while the others to high-weight group. Pearson's correlation test was conducted in order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odified K-CEBQ score and fungiform papillae count. Results Low-weight children scored $29.8{\pm}9.1$, while high-weight children scored $24.5{\pm}7.1$. (p<0.05) on modified K-CEBQ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modified K-CEBQ score and fungiform papillae count was 0.503 (p<0.05) in low-weight group, 0.260 in high-weight group, and 0.339 (p<0.05) in total. However, there were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correlations between modified K-CEBQ score and percentile of weight, height, or BMI. Conclusions Severity of anorexia was correlated to the density of taste buds, especially in children who weighed less than average. The analysis on each single question indicated that children with high taste bud density had poor appetite not because of their inadequate digestive function, but because of their fastidious eating habit. Further study should be focused on finding out which specific aspect of appetite is related to the taste bud density.

한국재래산양 혀에 관한 형태학적 연구 (Morphological study on the tongue of Korean native goat)

  • 이흥식;이인세;강태천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255-264
    • /
    • 1996
  • This studies were carried out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tongue of Korean native goat(Capra hircus) by macroscopy, microscopy and scanning microscopy. Korean native goat had torus linguae, median lingual sulcus, lingual fossa and ventral median fissure but did not have glossoepiglottic fold and terminal sulcus in the tongue. The whole length of tongue was $11.51{\pm}0.76cm$. The length of tongue apex, tongue body, tongue root and the torus linguae were $2.62{\pm}0.28$, $7.39{\pm}0.27$, $1.56{\pm}0.26$ and $6.37{\pm}0.29cm$, respectively. The width of tongue apex, torus linguae and tongue root were $3.41{\pm}0.24$, $3.74{\pm}0.29$ and $3.68{\pm}0.11$, respectively. The thickness of tongue apex was $1.60{\pm}0.10$, and the height of torus linguae was $1.52{\pm}0.15cm$. Filiform papillae were present at the tongue apex and the tongue body rostral to torus linguae. Fungiform papillae were scattered from tongue apex to rostral portion of torus linguae, being in abundance at the tongue apex. Vallate papillae were showed at the lateral portion of torus linguae, while lentiform papillae were present at its central portion. Conical papillae were located between vallate and lentiform papillae. The numbers of filiform, fungiform, conical, vallate and lentiform papillae were $46,980{\pm}1070.98$, $446.8{\pm}36.97$, $818.4{\pm}43.99$, $34.8{\pm}2.77$, and $255.6{\pm}39.30$, respectively. The average numbers of taste bud were $8.3{\pm}2.04$ in a fungiform papilla and $247.3{\pm}37.44$ in a vallate papilla. The filiform papilla had secondary and tertiary papillae. The height of filiform papilla was about $150{\mu}m$ and the diameter was $100{\mu}m$. The diameters of fungiform papillae were 350 to $550{\mu}m$. The long and short diameters of maximum-sized lentiform papilla were 4000 and $3000{\mu}m$, respectively, while those of minimum-sized papilla were 700 and $600{\mu}m$, respectively. The height of conical papillae was 450 to $600{\mu}m$ and diameter was 250 to $450{\mu}m$. The vallate papilla was round or oval in shape and its diameter was 500 to $850{\mu}m$. It had well-developed papillary groove around itself. The modified conical papillae were not observed in the tongue of Korean native goat.

  • PDF

Differential Expression of Taste Receptors in Tongue Papillae of DBA Mouse

  • Choi, Ha-Jung;Cho, Young-Kyung;Chung, Ki-Myung;Kim, Kyung-Nyun
    • International Journal of Oral Biology
    • /
    • 제41권1호
    • /
    • pp.25-32
    • /
    • 2016
  • The tongue has 4 kinds of papillae, which are filiform, fungiform (FU), foliate (FO) and circumvallate papilla (CV). Tongue papillae except filiform papilla include taste buds. The papillae differ in taste sensitivities, likely due to differential expression of taste receptors. In this study, we evaluated differences in the expression levels of taste receptors in FU, FO and CV. Male DBA2 mice, 42-60 days old, were used in the study. Messenger RNAs were extracted from the murine epithelial tissues including FU, FO and CV. Cloned DNAs were synthesized by reverse transcription. Quantitative PCRs (qPCRs) were performed to determine mRNA expression levels of taste receptors. Results of qPCR revealed that the relative expression levels and patterns were different among FU, FO and CV. All three type 1 taste receptors were expressed FU, FO and CV at varying relative expression levels. All 35 kinds of type 2 taste receptors showed higher expression in FO and CV than in FU. Tas2r108 and Tas2r137 showed the two highest expression levels in all tested papillae. The differential expression levels and patterns of taste receptors among the three papillae could contribute to the different physiological sensitivities by tongue areas. Additional studies such as in situ hybridization or taste receptor cell activity recording is necessary to elucidate the functional relationship between expression levels of taste receptors and taste sensitivity.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에서 로마기준 III 아형분류 및 脾氣虛證과 심상유두 수의 상관성 분석 (Fungiform Papillae and its Correlation with Rome III Classification and Spleen Qi Deficiency in Functional Dyspepsia)

  • 최제인;김진성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308-322
    • /
    • 2015
  • Objectives: Whether there exists a distinct pathogenesis in subgroups of functional dyspepsia (FD), the classification of epigastric pain syndrome (EPS), and postprandial distress syndrome (PDS) remains controversial. We aimed to investigate the number of fungiform papillae (FP) in the subgroups of FD and its correlation with the severity of dyspepsia symptoms and spleen qi deficiency. Methods: Patients with FD were enrolled from August to November 2014. All patients were evaluated using a questionnaire and divided into 2 groups according to the Rome III criteria for FD. The severity of dyspepsia symptoms and spleen qi deficiency were separately assessed by Nepean Dyspepsia Index-Korean (NDI-K) version and Spleen qi deficiency questionnaire (SQDQ). The number of FP was measured on the anterior part of tongue, within an area of 9 mm 2, using a digital cam Results: The NDI-K score, SQDQ score, and number of FP in the EPS group were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ose in the PDS group. Also, the EPS group had more patients diagnosed with spleen qi deficiency. The number of FP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epigastric pain and burning. Furthermore, the number of FP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score of some items in NDI-K and SQDQ, even though not with the total score. Conclusions: Thus, measurement of the number of FP could be a new evaluation indicator for allocation into FD subtypes and to investigate the severity of dyspepsia symptoms and spleen Qi deficiency reflecting visceral hypersensitivity.

큰발윗수염박쥐(Myotis macrodactylus)의 혀 유두의 형태학적 연구 (Morphological Study on the Dorsal Lingual Papillae of Myotis macrodactylus)

  • 황현숙;이정훈
    • Applied Microscopy
    • /
    • 제37권3호
    • /
    • pp.147-156
    • /
    • 2007
  • 본 연구는 큰발윗수염박쥐(M. macrodactylus)의 혀유두의 형태적 특징을 알아보기 위하여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큰발윗수염박쥐의 혀 유두는 3가지 유형으로 관찰되었다. 사상유두는 혀의 전역에 걸쳐 분포하고 있었으며, 유두의 크기와 모양 및 돌기 수에 따라 5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어졌다. 유형 1은 혀의 전단부의 앞쪽에 위치하며 $10{\sim}15$개 정도의 침상돌기를 갖는 왕관형의 모양을 취하고 있었다. 유형 2는 혀 전단부의 뒤쪽에 위치하며, 유형 1보다 폭이 좁고 길이가 짧은 $8{\sim}10$개 정도의 가시모양의 침상돌기를 가지고 있었다. 유형 3은 혀의 중앙부에 위치하며, 5개 정도의 비늘모양의 침상돌기를 가지고 있었다. 유형 4는 혀 후단부의 중앙부위의 양 측면에 위치하며, 침상돌기가 없는 작은 원뿔형이었다. 유형 5는 혀 후단부의 양 측면에 위치하며 침상돌기가 없는 큰 원뿔형이었다. 융상유두는 대부분 혀의 양 측면과 혀 후단부의 중앙부위에 위치하며, 약 $40{\sim}45$개 정도로서 원형 또는 타원형의 유두였다. 혀 전단부의 끝에는 소형(직경 $65{\mu}m$), 혀의 양 측면에는 중형(직경 $75{\mu}m$) 그리고 혀 후단부의 중앙에는 대형(직경 $120{\mu}m$)의 융상유두가 존재하고 있었다. 유곽유두는 타원형의 형태로서, 혀 후단부의 중앙부위에 2개가 존재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혀 유두의 형태는 Myotis 종 사이에서 종의 관계를 결정하는데 유용하여, 이러한 다양한 유형의 혀 유두와 수적인 차이는 식이습성에 따른 차이라고 여겨진다.에서 얻은 시험 결과가 굴착 중 지중연속벽의 변형을 예측하는데 사용될 수 있음을 보였다.AFM)과 Scanning Electron Microscopy(SEM)을 통해 관찰한 GST 다층박막시료의 고온 열처리 전후 표면미시거칠기 변화도 PRAM 기록기를 사용할 때에는 in-situ 타원계를 사용할 때보다 1/10 정도의 크기를 보여주어 PRAM 기록기와 분광타원계를 사용하여 결정한 GST의 고온광학물성의 신뢰성을 확인하여 주었다.>, 여자 $179.1{\pm}37.2%$이었다. 평균필요량에 비해 가장 낮은 양을 섭취한 영양소는 엽산으로서 남자 $60.1{\pm}10.8%$, 여자 $54.6{\pm}9.9%$로 조사되었다. 칼슘의 섭취량은 평균필요량에 비해 전체 $74.9{\pm}31.9%$로 나타났다. 에너지 섭취량에 있어서 남자 노인들은 모두가 필요추정량의 75% 미만을 섭취하고 있었고 여자 노인의 경우에도 97%가 필요추정량의 75% 미만을 섭취하여 에너지 섭취량이 매우 낮았다 반면에 단백질 섭취량에 있어서는 남자 노인의 경우 100%가 평균필요량의 125%를 초과하였고, 여자 노인의 경우에는 91%가 평균필요량의 125%를 초과하여 대조적이었다. 비타민 A와 E는 각각 평균필요량과 충분섭취량의 125%를 초과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난 반면에 비타민 $B_2$는 특히 남자 노인에서 평균필요량의 75%미만을 섭취한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엽산 섭취량에 있어서는 평균필요량의 75% 미만을 섭취한 비율이 전체 96%로 나타나 심각한 부족상태로 조사되었다 반면에 철의 섭취량은 남녀 모두 100%가 평균필요량의 125%를 초과하여 섭취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