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Fungal host

검색결과 246건 처리시간 0.027초

Sclerotium rolfsii 에 의한 섬쑥부쟁이 흰비단병 발생 (Occurrence of Stem Rot of Aster glehni Caused by Sclerotium rolfsii)

  • 권진혁;이찬중;박창석
    • 식물병연구
    • /
    • 제11권1호
    • /
    • pp.85-87
    • /
    • 2005
  • 2003년 6월에 경상남도 농업기술원 함양 약초시험포장에 재배중임 섬쑥부쟁이에서 Sclerotium rolfsii에 의한 흰비단병이 발생되였다. 병징은 줄기와 지제부위가 수침상으로 물러지고 부패하면서 암갈색으로 변하고 그 위에 흰색의 곰팡이가 솜털처럼 생기고, 병반부와 지제부위의 토양 표면에 갈색의 둥근 균핵을 많이 형성되었다. 병원균은 감자한천 배지상에서 왕성하게 생장하였으며 균사생장 중에 특유의 clamp connection이 관찰되었다. 균사의 크기는 3~$8\mu\textrm{m}$이었다. 감자한천 배지에서 갈색을 띤 구형 또는 부정형의 많은 균핵을 형성하였는데 균핵의 크기는 1~3mm였다. 균사생육 적온은 $30^{\circ}C$였다. 이상과 같이 병징과 균학적 특징 및 병원성을 검정한 결과, 이 병을 Sclerotium rolfsii에 의한 섬쑥부쟁이 흰비단병으로 명명하고자 한다.

Sclerotium rolfsii에 의한 팬지 흰비단병 (Stem Rot of Pansy (Viola tricolor) Caused by Sclerotium rolfsii)

  • 권진혁;박창석
    • 식물병연구
    • /
    • 제9권1호
    • /
    • pp.25-27
    • /
    • 2003
  • 2002년 경상남도 진주시 도로변 화단에 재배중인 팬지에서 줄기가 수침상으로 물러지고 부패하는 증상이 관찰되었다. 이 병의 병징은 지제부가 암갈색으로 변하고 그위에 흰색의 곰팡이가 솜털처럼 밀생하며, 병반 부위뿐만 아니라 지제부의 토양 표면에도 갈색의 둥근 균핵이 많이 형성된다. 병원균의 균사생장 및 균핵형성은 PDA배지에 배양시 3$0^{\circ}C$에서 가장 양호하였다. 균사에는 특유의 clamp connection이 관찰되었고 균사 폭은 3.9~10.4 $\mu\textrm{m}$이었다. 균핵은 갈색 또는 암갈색으로 크기는 1.3~4.2 mm 이었다. 이상의 특징으로 이 병원균은 Sclerorium rolfsii로 동정하였으며 팬지 흰비단병으로 명명할 것을 제안한다.

백혈병 환자의 구강악안면 증상 발현에 관한 증례보고 (Oral Chronic GVHD) (A Case Report on Oro-Facial Manifestations in Leukemia (Oral Chronic GVHD))

  • 안형준;권병기;신경진;최종훈;김종열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5권2호
    • /
    • pp.159-165
    • /
    • 2000
  • Subsequent to an allogenic stem cell transplantation(ASCT) on patients with hematologic malignancy(AML, ALL, CML, multiple myeloma, lymphoma etc.), chronic GVHD(graft versus host disease), which is an immunological reaction, occurs. With treatment results from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ALL(acute lymphocytic leukemia), undergone BMT(bone marrow transplantation) and showed oral and skin lesions due to GVHD, treatment of oral manifestations of leukemia and its general management were studied. 90% of patients with chronic GVHD show change in the oral mucosa causing oral manifestations such as leukoplakia, lichenoid change of the oral mucosa, mucosal atrophy, erythema, ulceration and xerostomia. In treating GVHD, extensive systemic immunosuppression cause bacterial, viral, fungal infection that are fatal, and even if the treatment is successful, the patient is already in a severe immunosuppressed state. Therefore, localized target therapy is preferred. In another words, topical application(rinse, cream, ointment etc.) of cyclosporin and steroid in treating oral chronic GVHD is highly recommended, and the use of PUVA(Psoralen Ultraviolet A) and thalidomide is reported to be effective. In treating such diseases, dental treatment to control pain and prevent secondary infection of oral manifestations is very important. To those patients with systemic diseases who show limited effect by general dental treatment, non-invasive treatment such as the dental laser, in addition to the use of drugs, may be necessary to actively treat pain and help the healing process. For greater results, new effective methods are to be developed for treatment.

  • PDF

고도에 따른 한라산 구상나무와 주목의 외생균근균 다양성 비교 (Ectomycorrhizal Fungal Diversity on Abies korea and Taxus cuspidata at Two Altitudes in Mt. Halla)

  • 이지은;엄안흠
    • 한국균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199-208
    • /
    • 2019
  • 한라산 상부와 하부에 서식하는 구상나무와 주목의 뿌리에서 각각 외생균근균의 군집 구조를 분석하였다. 형태적 특징과 분자적 분석을 통해 구상나무에서는 하부에서 6속 8종, 상부에서 7속 10종의 외생균근균을 확인하였다. 주목에서는 하부에서 4속 8종, 상부에서 6속 10종의 외생균근균을 확인하였다. 외생균근균의 종 다양성 지수, 종 균등도, 종 수는 숙주식물과 관계없이 상부에서 높게 나타난 반면, 균투 수는 하부에서 높게 나타났다. 하부와 상부에서 구상나무와 주목 뿌리의 외생균근균 군집 간의 유사도를 분석한 결과, 고도에 관계없이 구상나무의 뿌리에서 발견된 외생균근균 군집 간의 유사도가 주목 뿌리의 외생균근균 군집 간 유사도나 구상나무 뿌리의 외생균근균 군집과 주목의 뿌리 외생균근균 군집 간의 유사도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났다. 이는 구상나무가 주목과는 다른 특이한 외생균근균 군집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기온 상승으로 멸종 위기에 처한 구상나무의 보전과 자생지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잔디 주요 토양 병해에 대한 토양세균 Pseudomonas spp.의 길항 효과 (Antagonistic Effects of Pseudomonas spp. against Turfgrass Pathogenic Soil Fungi)

  • 장석원;장태현;최병진;송정희;박경숙;노용택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09-218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골프장에서 문제가 되는 주요 병의 방제가능한 생물학적 제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강원도 소재 골프장의 잔디 근권토양으로부터 채취한 100여개의 미생물로부터 4개의 길항 미생물을 선발하였다. 배지를 이용한 저지원 실험에서 4개의 균주는 한국 골프장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옐로우패취(Rhizoctonia cerealis), 브래운패취(R. solani AG-1(1B)), 동전마름병(Sclerotinia homoeocarpa), 그리고 설부갈색소립균핵병원균 (Typhula incarnata)에 대하여 효과적이었다. 옐로우패취, 브래운패취, 동전마름병을 대상으로 온실실험 결과, 4개의 균주는 병의 종류, 기주 식물체 및 병 발생 정도에 따라 효과가 달랐지만 한개 혹은 그 이상의 병에 대해 60% 이상을 방제가를 기록하였다. 4개의 균주는 생화학적 특성과 16S rRNA 분석을 통해 Pseudomonas spp.로 밝혀졌다. 현재 4개의 균주는 적정 배양조건과 제제화를 위한 연구 중에 있다.

Gold Nanoparticles Conjugation Enhances Antiacanthamoebic Properties of Nystatin, Fluconazole and Amphotericin B

  • Anwar, Ayaz;Siddiqui, Ruqaiyyah;Shah, Muhammad Raza;Khan, Naveed Ahmed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9권1호
    • /
    • pp.171-177
    • /
    • 2019
  • Parasitic infections have remained a significant burden on human and animal health. In part, this is due to lack of clinically-approved, novel antimicrobials and a lack of interest by the pharmaceutical industry. An alternative approach is to modify existing clinically-approved drugs for efficient delivery formulations to ensur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is achieved at the target site. Nanotechnology offers the potential to enhance the therapeutic efficacy of drugs through modification of nanoparticles with ligands. Amphotericin B, nystatin, and fluconazole are clinically available drugs in the treatment of amoebal and fungal infections. These drugs were conjugated with gold nanoparticles. To characterize these gold-conjugated drug, atomic force microscopy, ultraviolet-visible spectrophotometry and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were performed. These drugs and their gold nanoconjugates were examined for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the protist pathogen, Acanthamoeba castellanii of the T4 genotype. Moreover, host cell cytotoxicity assays were accomplished. Cytotoxicity of these drugs and drug-conjugated gold nanoparticles was also determined by lactate dehydrogenase assay. Gold nanoparticles conjugation resulted in enhanced bioactivity of all three drugs with amphotericin B producing the most significant effects against Acanthamoeba castellanii (p < 0.05). In contrast, bare gold nanoparticles did not exhibit antimicrobial potency. Furthermore, amoebae treated with drugs-conjugated gold nanoparticles showed reduced cytotoxicity against HeLa cells. In this report, we demonstrated the use of nanotechnology to modify existing clinically-approved drugs and enhance their efficacy against pathogenic amoebae. Given the lack of development of novel drugs, this is a viable approach in the treatment of neglected diseases.

Transcriptome Analysis Unveils Gln3 Role in Amino Acids Assimilation and Fluconazole Resistance in Candida glabrata

  • Santos, Francisco J. Perez-de los;Garcia-Ortega, Luis Fernando;Robledo-Marquez, Karina;Guzman-Moreno, Jesus;Riego-Ruiz, Lina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1권5호
    • /
    • pp.659-666
    • /
    • 2021
  • After Candida albicans, Candida glabrata is one of the most common fungal species associated with candidemia in nosocomial infections. Rapid acquisition of nutrients from the host is important for the survival of pathogens which possess the metabolic flexibility to assimilate different carbon and nitrogen compounds. In Saccharomyces cerevisiae, nitrogen assimilation is controlled through a mechanism known as Nitrogen Catabolite Repression (NCR). NCR is coordinated by the action of four GATA factors; two positive regulators, Gat1 and Gln3, and two negative regulators, Gzf3 and Dal80. A mechanism in C. glabrata similar to NCR in S. cerevisiae has not been broadly studied. We previously showed that in C. glabrata, Gln3, and not Gat1, has a major role in nitrogen assimilation as opposed to what has been observed in S. cerevisiae in which both factors regulate NCR-sensitive genes. Here, we expand the knowledge about the role of Gln3 from C. glabrata through the transcriptional analysis of BG14 and gln3Δ strains. Approximately, 53.5% of the detected genes were differentially expressed (DEG). From these DEG, amino acid metabolism and ABC transporters were two of the most enriched KEGG categories in our analysis (Up-DEG and Down-DEG, respectively). Furthermore, a positive role of Gln3 in AAA assimilation was described, as was its role in the transcriptional regulation of ARO8. Finally, an unexpected negative role of Gln3 in the gene regulation of ABC transporters CDR1 and CDR2 and its associated transcriptional regulator PDR1 was found. This observation was confirmed by a decreased susceptibility of the gln3Δ strain to fluconazole.

Past and Future Epidemiological Perspectives and Integrated Management of Rice Bakanae in Korea

  • Soobin, Shin;Hyunjoo, Ryu;Yoon-Ju, Yoon;Jin-Yong, Jung;Gudam, Kwon;Nahyun, Lee;Na Hee, Kim;Rowoon, Lee;Jiseon, Oh;Minju, Baek;Yoon Soo, Choi;Jungho, Lee;Kwang-Hyung, Kim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9권1호
    • /
    • pp.1-20
    • /
    • 2023
  • In the past, rice bakanae was considered an endemic disease that did not cause significant losses in Korea; however, the disease has recently become a serious threat due to climate change, changes in farming practices, and the emergence of fungicide-resistant strains. Since the bakanae outbreak in 2006, its incidence has gradually decreased due to the application of effective control measures such as hot water immersion methods and seed disinfectants. However, in 2013, a marked increase in bakanae incidence was observed, causing problems for rice farmers. Therefore, in this review, we present the potential risks from climate change based on an epidemiological understanding of the pathogen, host plant, and environment, which are the key elements influencing the incidence of bakanae. In addition, disease management options to reduce the disease pressure of bakanae below the economic threshold level are investigated, with a specific focus on resistant varieties, as well as chemical, biological, cultural, and physical control methods. Lastly, as more effective countermeasures to bakanae, we propose an integrated disease management option that combines different control methods, including advanced imaging technologies such as remote sensing. In this review, we revisit and examine bakanae, a traditional seed-borne fungal disease that has not gained considerable attention in the agricultural history of Korea.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significance and anticipated risks of the disease,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an effective response strategy to bakanae in the era of climate change.

동종골수이식 후 폐합병증 (Lung Complications After Allogenic Bone Marrow Transplantaion)

  • 제갈양진;이제환;이규형;김우건;심태선;임채만;고윤석;이상도;김우성;김원동;김동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9권2호
    • /
    • pp.207-216
    • /
    • 2000
  • 연구배경 : 동종골수이식은 난치성 혈액질환의 효과적인 치료법이나 약 40%에서 치료와 관련된 합병증으로 사망하고, 그중 10-40%가 폐합병증이 주된 사인이므로 폐합병증의 발생유무는 동종골수이식 치료성적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국내에서는 이식편대숙주질환이 서구보다 적고 CMV감염률이 높아 폐합병중이 서구와는 다른 양상으로 나타나리라 사료되어 국내에서 동종 골수이식 후 발생한 폐합병증의 임상양상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1993년 12월부터 1999년 5월까지 서울중앙병원에서 동종골수이식을 시행한 100명의 성인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코호트법으로 연구하였다. 패합병증은 발생시기에 따라 골수가 생착하는 시기인 30일 전후로 나누고 다시 병인에 따라 감염성 혹은 비감염성으로 분류하였다. 감염성 합병증은 혈액이나 BAL액, 흉막액, 객담검사등에서 병원체가 증명된 경우에서나 임상적으로 감염성 합병증이 의심되는 경우에서 항균제 혹은 항진균제를 사용하여 임상적, 방사선학적 호전이 있는 경우로 정의하였다. 결과 : 1) 폐합병증은 100명중 54명에서 83건이 발생하였다. 2) 30일 이전에는 비감염성 합병증이, 30일 이후에는 감염성 합병증이 더 많이 발생 하였고, 기저질환이 재발되거나 만성 이식편대숙주질환이 없으면 1년 이후에는 감염성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다. 3) 비감염성 합병증으로는 흉막액이 27건으로 가장 많았고, 그 외 비감염성 합병증으로는 폐부종 8건, 미만성 폐포출혈 1 건, BO 2건, BOOP 1건이 있었다. 4) 감염성 합병증은 세균성 폐렴 9 건, 바이러스성 폐렴 4건, 폐결핵 3건, PCP 1건, 진균성 폐렴 5건, 결핵성 흉막염 3건이 있었다. 5) CMV감염과 호중구 회복지연은 폐합병증과 관련된 위험인자로 확인되었다. 6) 폐합병증이 발생한 경우 동종골수이식 후 사망률이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 : 동종골수이식 후 폐합병증은 54%에서 발생하였고, 폐합병증이 발생한 경우에 이식 후 사망률이 증가하였다.

  • PDF

묘포장(苗圃場)에서 균근균(菌根菌)으로 인공접종(人工接種)한 5개(個) 소나무류(類)의 접종(接種) 10년후(年後) 조림지(造林地)에서의 생장효과(生長效果) (A Ten-Year Result of Artificial Inoculation of Pines with Ectomycorrhizal Fungi, Pisolithus tinctorius and Thelephora terrestris)

  • 이경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1권2호
    • /
    • pp.156-163
    • /
    • 1992
  • 본(本) 연구(硏究)는 묘포장(苗圃長)에서 균근균(菌根菌)으로 인공접종(人工接種)한 소나무류(類)의 수고생장(樹高生長) 촉진효과(促進效果)가 조림지(造林地)에서 계속하여 지속(持續)되는지를 구명(究明)하기 위한 것이다. Methyl bromide로 토양훈중(土壤熏蒸)한 다음, 모래밭버섯 (Pisolithus tinctonris)과 사마귀버섯 (Thelephora terrestris) 균근균(菌根菌)으로 인공접종(人工接種)하여 양묘(養苗)한 적송, 리기다, 리기테다, 해송, 잣나무 유묘(幼苗)를 조림지(造林地)에 이식(移植)하여, 접종후(接種後) 10년(年) 동안의 균근균(菌根菌)의 접종효과(接種效果)의 변화(變化)를 분석(分析)하였다. 조림직전(造林直前)까지 포지(圃地)에서 생장(生長)한 소나무류(類) 유묘(幼苗)를 대상(對象)으로 수고생장량(樹高生長量)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모래밭버섯 균근균(菌根菌)을 접종(接種)한 처리구(處理區)가 대조구(對照區)에 비하여 적송의 경우에는 75%, 해송은 46%, 리기테다소나무는 77%, 잣나무는 28%, 리기다소나무는 26% 정도 더 수고생장량(樹高生長量)이 높게 나타났으나, 사마귀버섯 균근균(菌根菌)을 인공접종(人工接種)한 처리구(處理區)는 리기테다에서만 대조구(對照區)와 비교(比較)했을 때 유의적(有意的)인 수고생장(樹高生長) 촉진효과(促進效果)가 인정(認定)되었다. 접종(接種) 10년후(年後) 잣나무와 리기테다소나무의 경우에는 모래밭버섯 균근균(菌根菌)의 접종(接種)으로 수고(樹高)가 각각 9%와 18%의 생장촉진(生長促進)을 나타냈으나, 조림당시(造林當時)에 비하여 감소(減少)한 셈이다. 리기다소나무는 조림(造林) 3년후(年後)부터 점차 다른 처리구(處理區)의 수고생장량(樹高生長量)이 증가(增加)하여 4년(年)째부터는 처리간(處理間)에 유의적(有意的)인 차이(差異)가 나타나지 않았다. 적송과 해송은 솔잎혹파리 피해(被害)로 인하여 결과(結果)를 분석(分析)할 수 없었다. 모래밭버섯 균근균(菌根菌)의 접종(接種)은 양묘시(養苗時)에 세근(細根)발달이 우수(優秀)한 건전묘생산(健全苗生産)에 효과(效果)가 인정되나, 균근(菌根)의 접종효과(接種效果)를 조림지(造林地)에서 계속(繼續)하여 유지(維持)하기 위하여는 용기(容器)에 양묘(養苗)하여, 뿌리가 손상(揚傷)되지 않는 상태(狀態)로 조림(造林)아여야 할 것이며, 조림지(造林地)에서도 계속적응(繼續適應)할 수 있는 새로운 균종(菌種)의 개발(開發)이 필요(必要)하다고 결론(結論)짓는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