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nctional cosmetics Melanin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2초

편백나무(Chamaecyparis obtusa) 추출물의 항산화, 미백효과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Antioxidant and Whitening Effects of Chamaecyparis obtusa Extract)

  • 정여원;김유미;장영아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1496-1506
    • /
    • 2020
  • 본 연구는 화장품 소재로서 편백나무(Chamaecyparis obtusa)의 부위별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잎·가지(Leaf), 수피(Bark), 목재(Wood), 뿌리(Root)로 분리하여 99.9 % 에탄올에 추출한 시료로 항산화, 미백효능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를 진행하였다. 항산화 평가는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라디칼 소거능, 2 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sulfonic acid) diammonium salt (ABTS+) 라디칼 소거능으로 확인하였다. 미백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서 mushroom tyrosinase 저해 활성 평가, MTT assay를 통한 편백나무 추출물의 세포독성평가를 진행하였으며 cellular tyrosinase 저해율 측정과 melanin 생합성량을 확인하였다. 항산화 활성 결과 편백나무 부위 중 수피(Bark) 추출물이 가장 효능이 우수하였으며 B16F10 melanoma cell내 편백나무 수피(Bark)는 tyrosinase 활성 억제 및 멜라닌 생합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편백나무 수피 에탄올 추출물의 안전하고 우수한 미백 기능성 화장품의 천연물질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뿌리 추출물의 화장품소재 특성 (Cosmetic Effect of Angelica gigas Nakai Root Extracts)

  • 박숙경;홍슬기;김희진;김보영;김타곤;강재선;김동욱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7권5호
    • /
    • pp.553-557
    • /
    • 2009
  • 참당귀 뿌리 추출물에서 기능성 화장품소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기기분석시험을 통하여 참당귀 뿌리 추출물에는 유효성분으로서 decursin과 decursinol angelate가 약 97%로 매우 고농도로 존재하였으며 그 비가 약 3:2로 나타났다. 화장품소재 시험으로는 항산화(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ssay), 미백(Tyrosinase inhibition assay, Melanogenesis inhibition assay), 주름개선(Elastase inhibition assay), 자외선 흡수 및 안전성 시험(MTT assay)이 실시되었다. 참당귀 뿌리 추출물은 $15{\mu}g/ml$의 농도에서 tyrosine에 대한 tyrosinase 저해효과가 $45.2{\pm}3.9%$, melanin 생성억제 효과가 $24.2{\pm}12.0$로 미백효과가 우수하였다. 항산화효과는 $240{\mu}g/ml$의 추출물농도에서 DPPH free radical 소거율이 $40.9{\pm}9.1%$로 비교적 우수하였다. 주름개선 효과는 $100{\mu}g/ml$의 추출물농도에서 $12.7{\pm}6.8%$로 낮았으며, 자외선 흡수효과도 거의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참당귀 뿌리 추출물은 화장품용 미백소재로서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항산화와 미백효과를 증진시킨 새로운 Sulforaphane 함유 혼합 조성의 개발 (Development of Novel Sulforaphane Contained-composition to Increase Antioxidant and Whitening Effects)

  • 이지혜;최강현;박영금;김응국;신은영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437-445
    • /
    • 2018
  • 본 연구는 새로운 항산화 및 미백 기능성 화장품 성분을 개발하기 위해 기존의 항산화와 미백 기능성 성분으로 알려진 두 가지 성분을 혼합한 새로운 조성을 개발하고, 이를 이용해 항산화 및 미백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두 가지 성분은 항산화와 멜라닌 생성억제 기능이 알려진 sulforaphane과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가 알려진 PF-3758309이다. 각 성분 및 혼합 조성에 대한 세포독성을 조사하여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는 농도를 결정하였다. 단독 처리 시 sulforaphane는 $10{\mu}M$까지, PF-3758309는 100 nM까지 세포독성이 없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두 화합물 $10{\mu}M$ sulforaphane과 1 nM PF-3758309를 병합 처리 시 세포독성은 없었다. LPS 자극에 의해 생성된 일산화질소는 sulforaphane과 PF-3758309의 병합 처리시 현저히 감소되었다. ${\alpha}$-MSH에 의한 멜라닌 생성 역시 병합 처리에 의해 억제되었다. 화장품 소재로 사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혼합 조성시료에 대한 인체적용시험을 실시하였다. 혼합조성 시료는 피부첩포에 의한 안전성 평가는 무자극으로 판정되었고, 피부밝기 증가효과와 피부 멜라닌 침착을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로 혼합 조성물이 항산화와 미백 기능이 있는 새로운 기능성 화장품 조성으로 개발될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종의 식물수출물의 항산화 및 Melanin 합성 억제효과 (Anti-Oxidant Property and Inhibition of Melanin Synthesis of Eight Plant Extracts)

  • 김재영;이진영;이위영;이용섭;임융호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414-419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식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 및 tyrosinase 활성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식물 추출물의 폴리페놀물질의 총 함량은 Acer psedo-siebolianum의 추출물이 16.4 mg/g로 가장 높은 추출량을 나타내었다. 항산화 활성 측정에서는 Acer ginnala 에서 $IC_{50}$값으로 $21.3\;{\mu}g/mL$으로 가장 좋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반면에 L-DOPA를 기질로 하여 mushroom tyrosinase의 활성 억제측정에서는 Distylum racemosum 1,000 mg에서 49.1%로 다른 추출물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Tyrosinase 활성 억제력이 가장 높은 D. racemosum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ethanol 분획과 ethyl acetate 분획으로 분리하여, 이중 D. racemosum의 ethanol 분획에서 항산화 활성 $IC_{50}$ 값은 $0.9\;{\mu}g/mL$, tyrosinase 활성억제는 $IC_{50}$값이 $118.1\;{\mu}g/mL$로 ethyl actate 분획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ethanol 분획을 이용하여 B16/F1 melanoma cell에서는 $60\;{\mu}g/mL$까지는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80\;{\mu}g/mL$의 농도에서 약간의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에탄올 분획을 이용한 세포내 melanin 색소의 생산억제 $IC_{50}$값은 $75.4\;{\mu}g/mL$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D. racemosum의 에탄올 추출물이 B16/F1 melanoma cell세포의 melanin색소합성대사에 관여하여 색소합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보인다.

Whitening effects of fermented Trigonotis radicans var. sericea with Lactobacillus brevis in α-MSH-stimulated B16F10 melanoma cells

  • Da-Eun Jeong;Byung-Oh Kim;Young-Je Cho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27-234
    • /
    • 2024
  •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the whitening effects of 60% ethanol extracts of Trigonotis radicans var. sericea (TR) and Lactobacillus brevis-fermented T. radicans var. sericea (FTR). Measurement of cytotoxicity in B16-F10 melanoma cells to confirm the whitening effect, FTR showed higher cell viability than TR. FTR showed inhibitory activity on melanin contents similar to the normal group at concentrations of 50 and 100 ㎍/mL. MITF expression was used to confirm the effect on melanogenesis-related protein expression. TR and FTR showed significant concentration-dependent decrease, and FTR showed lower expressions than the normal group at concentrations of 25, 50, and 100 ㎍/mL. Additionally, the mRNA expression of melanogenesis-related genes (MC1R, Rab27a, TGF-β1 and Myo5a) were measured by RT-qPCR to confirm the whitening effect. In MC1R expression at a concentration of 100 ㎍/mL in FTR showed effective inhibitory activities, and in TGF-β1 expression, TR and FTR both showed effective activities compared to normal groups even at low concentrations. Results of myo5a and Rab27a, a similar pattern was shown, and FTR showed effective inhibitory activities at a concentration of 100 ㎍/mL. As a result, FTR had higher whitening effects through bioconversion and is expected to be a good material for whitening functional cosmetics.

지모의 뿌리줄기로부터 분리된 nyasol의 미용효과 (Cosmetic Activities of Nyasol from the Rhizomes of Anemarrhena asphodeloide)

  • 박윤정;구창섭;김민진;이미경;김기옥;류형원;송혁환;김두영;오세량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8권1호
    • /
    • pp.31-38
    • /
    • 2015
  • 지모 뿌리를 100% EtOH로 추출, 농축하여 medium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 기반의 NO 분획물 활성 검정법을 이용하여 활성을 검정하였다. preparative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를 반복적인 칼럼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1개의 단일성분을 분리하였다. NMR, MS 등을 포함한 이화학 및 분광학적 자료에 근거하여 분리된 물질을 구조 분석한 결과 (-)-nyasol로 구조동정 하였다. 분리된 활성물질 nyasol은 NO 생성 억제, melanin과 tyrosinase를 억제하는 미백효과, thymus and activation-regulated chemokine 생성을 억제하는 활성에서 $6.25-12.5{\mu}g/mL$$IC_{50}$ 값을 가지는 강한 저해 활성을 나타냈다. 특히 nyasol은 염증에 의한 항아토피 및 항미백활성에 있어 뛰어난 효능을 나타내었다. 이 결과로 보아 nyasol은 천연 기능성 화장품으로써 이용 가능성을 넓힐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아가위 열매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및 미백 효능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Whitening Effects of Ethanol Extract from Crataegus pinnatifida Bunge Fruit)

  • 박성진;권성필;나영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10호
    • /
    • pp.1158-116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아가위 열매(Crataegi fructus)를 70% 에탄올로 추출하여 추출물의 항산화능과 미백 효과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기능성 미백 화장품의 천연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아가위 열매 에탄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61.31 mg/g,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25.42 mg/g으로 나타났으며, 전자공여능은 $1,000{\mu}g/mL$에서 85.80%, ABTS 라디칼 소거능은 17.3%, 환원력은 0.31로 나타났다. Melanoma 세포에 대한 아가위 열매 에탄올 추출물의 최대 허용농도는 $100{\mu}g/mL$으로 확인되어 세포독성이 미약함을 확인하였다. 멜라닌 생성 저해능은 $50{\mu}g/mL$에서 8.5%, 세포 내 tyrosinase 활성 저해능은 $1,000{\mu}g/mL$에서 46.83 %를 나타내었다. 아가위 열매 추출물은 약재와 식용 및 약용식물로 이용되는 여러 천연물보다 다량의 페놀화합물 및 각종 생리활성 성분을 함유하였으며 항산화 활성 및 미백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추후 용매별 분획물을 사용하여 항산화 및 미백 효능을 나타내는 지표성분의 확인의 연구가 진행된다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기능성 제품의 첨가제나 천연 항산화 소재 및 기능성 미백 화장품 소재로서 활용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화장품 소재로서 순창 베리류 유래 Sacchromyces cerevisiae FT4-4의 항산화 활성 및 미백 효과 (The Antioxidant and Skin-whitening Effects of Saccharomyces cerevisiae FT4-4 Isolated from Berries Grown in Sunchang)

  • 서지원;류명선;양희종;정수지;정도연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75-182
    • /
    • 2021
  •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 활용할 수 있는 효모의 분리를 위하여 순창군 베리류 및 과수원 토양에서 분리주 80종을 1차로 선별하였다. 80종의 분리주를 대상으로 항산화 활성 및 tyrosinase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DPPH 라디칼 소거능은 51.41%, SOD 활성은 62.23%, tyrosinase 저해 활성 64.75%로 가장 우수한 FT4-4를 최종적으로 선별하였다. 18S rR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Saccharomyces cerevisiae FT4-4로 명명하였으며, API ZYM을 이용하여 세포 외 효소 활성을 추가로 측정하였다. 발효 시간에 따른 균체 성장 및 tyrosinase 저해 활성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배양 후 16시간에 최대 균체량인 3.16 g/l와 67.68%의 tyrosinase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S. cerevisiae FT4-4의 화장품 소재로 활용하기 위한 세포 독성과 melanoma B16F10 세포 멜라닌 억제능을 확인한 결과, 세포독성은 50 mg/ml 이하의 농도에서 100% 이상의 세포 생존율을 보였으며, 시료 10 mg/ml에서의 멜라닌 생합성 저해능은 72.02%로 측정되었다. 향후 FT4-4의 화장품 소재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생산 수율을 증가하기 위한 생산조건 확립 이외에도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추가적인 독성연구 등 다양한 연구가 수반되어야 하나, 본 연구에서의 항산화 및 미백 효능만으로도 충분히 활용할 가치가 있는 소재로 사료된다.

강활과 벌사상자 추출물의 피부 미백효과 (Skin Whitening Effects of Angelica koreana and Cnidium monnieri Extracts)

  • 조완구;김청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4호
    • /
    • pp.419-425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강활과 벌사상자 추출물에 의한 피부 멜라닌 형성 저해와 안정성과 자극성 시험을 통하여 기능성 화장품의 사용 물질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추출물은 White-$AK^{TM}$이고 INCI 명칭은 Osthole이다. White-$AK^{TM}$의 주성분은 쿠마린이고 EC50 값은 마우스 멜라노마 B16 세포 시험에서 2.7ppm이였다. White-$AK^{TM}$는 알부틴보다 100배 낮은 농도에서 저해 효과를 보였다. 미백 효과의 주 기작은 티로시나제-관련 유전자 발현을 저해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White-$AK^{TM}$ 5% 용액을 함유한 기본적인 에센스 처방을 피부에 적용 시 피부자극을 경감시켰다. White-$AK^{TM}$은 불투명한 용기에서 4주간 자외선 하에서 100%의 회수율을 보였고 $50^{\circ}C$에서 4주간 97%의 회수율을 보였다. 따라서 피부 미백효과와 자극성 경감효과가 있고 자외선 조건하에서 안정한 White-$AK^{TM}$은 화장품 처방에서 기능성 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추출 온도에 따른 금불초 꽃 추출물의 항노화 효능 (Anti-aging Effect of Inula britannica var. chinensis Flower Extract According to the Extraction Temperature)

  • 전지민;유대성;천종우;권순식;전소하;박수남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09-12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추출 온도에 따른 금불초 꽃(I. britannica var. chinensis) 추출물의 항노화 효능을 알아 보았다. 추출 온도에 따른 세포독성을 살펴본 결과, 상온, $45^{\circ}C$$65^{\circ}C$ 추출물 모두 0.1% 이하의 농도에서 세포독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0.1% 이하의 농도에서 항노화 효능평가를 수행한 결과, 0.1% 농도의 상온 추출물 경우에 멜라닌 생성 억제율은 24.5%로 $45^{\circ}C$$65^{\circ}C$ 추출물과 비교하여 멜라닌 생성 억제율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0.1% 농도의 상온 추출물을 처리한 세포의 히알루론산 합성 관련 유전자 HAS-1, HAS-2 및 HAS-3의 발현율은 각각 123.3%, 137.8% 및 133.2%를 나타냈으며, 이는 비교물질인 L-ascorbic acid (115.6%, 121.0% 및 131.4%) 경우 보다 약간 크게 나타났다. 금불초 꽃 45 $^{\circ}C$ 추출물의 경우, 0.1%의 농도에서 염증유발 유전자인 TNF-${\alpha}$, COX-2 및 IL-1${\alpha}$의 발현율이 대조군 대비 각각 30.3%, 12.8%, 25.7%로 감소하였으며, 이는 상온, $65^{\circ}C$ 추출물과 비교하여 염증유발 유전자 발현 억제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로 볼 때, 금불초 꽃 추출물은 추출 온도에 따라 멜라닌 생성 억제, 히알루론산 합성 관련 유전자 발현 증가 효과, 염증유발 유전자 발현 억제 효과를 나타내며, 그로 인하여 피부에서 미백, 보습, 항염 효능을 통해 피부 항노화 효능을 가질 것으로 사료된다. 이는 금불초 추출물이 항노화 화장품 원료로서 응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