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uiting rate

검색결과 119건 처리시간 0.023초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onokaryotic Strains of Lentinula edodes Showing Higher Fruiting Rate and Better Fruiting Body Production

  • Ha, Byeong-Suk;Kim, Sinil;Ro, Hyeon-Su
    • Mycobiology
    • /
    • 제43권1호
    • /
    • pp.24-30
    • /
    • 2015
  • The effects of monokaryotic strains on fruiting body formation of Lentinula edodes were examined through mating and cultivation of the mated dikaryotic mycelia in sawdust medium. To accomplish this, monokaryotic strains of L. edodes were isolated from basidiospores of the commercial dikaryotic strains, Chamaram (Cham) and Sanjo701 (SJ701). A total of 703 matings (538 self-matings and 165 outcrosses) were performed, which generated 133 self-mates and 84 outcross mates. The mating rate was 25% and 50% for self-mating and outcross, respectively. The bipolarity of the outcross indicated the multi-allelic nature of the mating type genes. The mating was only dependent on the A mating type locus, while the B locus showed no effect, implying that the B locus is multi-allelic. Next, 145 selected dikaryotic mates were cultivated in sawdust medium. The self-mated dikaryotic progenies showed 51.3% and 69.5% fruiting rates for Cham and SJ701, respectively, while the fruiting rate of the outcross mates was 63.2%. The dikaryotic mates generated by mating with one of the monokaryotic strains, including A20, B2, E1, and E3, showed good fruiting performance and tended to yield high fruiting body production, while many of the monokaryotic strains failed to form fruiting bodies. Overall,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ertain monokaryotic strains have traits enabling better mating and fruiting.

Relationship between the sexual and the vegetative organs in a Polygonatum humile (Liliaceae) population in a temperate forest gap

  • Min, Byeong-Mee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1권9호
    • /
    • pp.256-264
    • /
    • 2017
  • Backgroun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xual reproduction and the resource allocation in a natural Polygonatum humile population grown in a temperate mixed forest gap. For this aim, the plant size, the node which flower was formed, the fruiting rate, and the dry weight of each organ were monitored from June 2014 to August 2015. Results: Firstly, in 3-13-leaf plants, plants with leaves ${\leq}8$ did not have flowers and in plants with over 9 leaves the flowering rate increased with the number of leaves. Among plants with the same number of leaves, the total leaf area and dry weight of flowering plants were larger than those of non-flowering plants. The minimum leaf area and dry weight of flowering plants were $100cm^2$ and 200 mg, respectively. Secondary, the flowers were formed at the 3rd~8th nodes, and the flowering rate was highest at the 5th node. Thirdly, cumulative values of leaf properties from the last leaf (the top leaf on a stem) to the same leaf rank were greater in a plant with a reproductive organ than in a plant without a reproductive organ. Fourthly, fruit set was 6.1% and faithful fruit was 2.6% of total flowers. Biomasses of new rhizomes produced per milligram dry weight of leaf were $0.397{\pm}190mg$ in plants that set fruit and $0.520{\pm}0.263mg$ in plants that did not,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2 plant groups was significant at the 0.1% level. Conclusions: P. humile showed that the 1st flower formed on the 3rd node from the shoot's base. And P. humile showed the minimum plant size needed in fruiting, and fruiting restricted the growth of new rhizomes. However, the fruiting rate was very low. Thus, it was thought that the low fruiting rate caused more energy to invest in the rhizomes, leading to a longer rhizome. A longer rhizome was thought to be more advantageous than a short one to avoid the shading.

저농도 액비처리에 따른 밤나무 생장 및 결실특성과 과실품질 (Growth and Fruiting Characteristics, and Nut Qualities of Castanea crenata by Low-Concentrated Liquid Fertilizer)

  • 이욱;황석인;김만조;김지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0권3호
    • /
    • pp.432-440
    • /
    • 2011
  • 밤나무의 수고와 근원경은 액비처리구와 화학비료처리구에서 가장 많은 생장량을 나타냈으며 수관폭 생장량은 동-서방향과 남-북방향에서 각각 액비처리구와 화학비료처리구에서 우수하였다. 결과지의 총 길이와 착구부~정단부의 길이생장은 액비처리구에서 가장 우수하였으며 기부~착구부의 길이는 액비처리구와 화학비료처리구에서 동일하게 가장 길게 생장하였다. 결과지의 기부직경과 착구부의 상하부직경은 모두 액비처리구에서 가장 두껍게 생장하였다. 본 연구의 5개의 생장지수(결과지발생지수, 길이생장지수, 착구부상하직경비율, 직경생장지수, 굵기지수)에서 길이생장지수만이 액비처리구에서 가장 높고 나머지 모든 지수는 화학비료처리구에서 가장 높았다. 결과모지당 가지발생수와 소약지 개수는 무처리구와 액비처리구에서 많았으며 처리간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결과모지당 결과지수는 화학비료처리구와 유기질비료처리구에서 많았으며, 결과지당 착구수는 유기질비료처리구와 액비처리구에서 많았다. 과실의 중량과 수량을 기준으로 한 상품화 비율은 무처리구(87.5%)와 화학비료처리구(84.6%)에서 높았으나 액비처리구의 상품화 비율은 각각 84.3%와 82.7%로 평균 수준이었다. 평균입중과 총착구수는 각각 액비처리구와 화학비료처리구로 가장 우수하였다. 함과수는 처리 간 차이는 없었으며 본당수확량은 화학비료처리구(8.2 kg)와 액비처리구(8.0 kg)에서 다수확성을 보였으나 처리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과실의 중량과 수량을 기준으로 등급을 구분한 결과, 액비처리구에서 대립 이상의 비율이 각각 43.5%와 34.3%로 가장 높아 액비처리에서 고부가가치의 고품질 밤이 가장 많이 생산되었다.

Artificial Cultivation Characteristics and Bioactive Effects of Novel Tropicoporus linteus (Syn. Phellinus linteus) Strains HN00K9 and HN6036 in Korea

  • Min, Gyeong-Jin;Kang, Hee-Wan
    • Mycobiology
    • /
    • 제49권2호
    • /
    • pp.161-172
    • /
    • 2021
  • Phellinus strains were collected from different areas in Korea. Of them, the fast mycelial growing strains were artificially cultivated on the oak logs to produce fruiting body. The varieties, Phellinus linteus ASI26099 (Korea Sanghwang) and P. baumii PBJS (Jangsoo Sanghwang) were grown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controls. Their cultivating characteristics including mycelial colonization, pinhead formation, and fruiting body formation rate were investigated on the logs. Basidiocarps of Phellinus strains HN00K9, HN6036, and ASI26099 were concentrically zonate and shallowly sulcate, and dark chestnut showing typical characteristics of Tropicoporus linteus (synonyum: P. linteus, Inonotus linteus, polyporus linteus), which is distinguishably different to PBJS. HN00K9 showed the highest yield of fruiting body among the mushroom strains. The β-glucan content in fruiting bodies of HN00K9 was 20% higher than those of other strains. Bioactive effects of polysaccharide samples from fruiting bodies of Phellinus strains, HN00K9, HN6036, ASI26099, and PBJS were assessed on cell viability and cytokine (IL-6 and TNF-α) inhibition and finally on anticancer to different human cancer cells.

한국산(韓國産) 자생(自生) Ganoderma lucidum의 형태적(形態的) 특성(特性) (Morphological Characters of Ganoderma lucidum(Fr.) Karsten Grown Naturally in Korea)

  • 신관철;박용환;서건식;차동열
    • 농업과학연구
    • /
    • 제13권1호
    • /
    • pp.44-51
    • /
    • 1986
  • Ganoderma lucidum (Fr.) Karsten (불로초(不老草), 영예)의 형태적(形態的) 특성(特性)을 구명(究明)하고 한국산(韓國産) 자생종(目生種)의 품질(品質)에 관계(關係)가 있는 형질(形質)을 조사(調査)하기 위하여 916점(點)의 영예를 수집(蒐集), 조사(調査)하였다. Ganoderma lucidum의 기생율(寄生率)은 참나무류가 전체의 86.2%였고 그 다음은 복사나무, 밤나무, 감나무, 아카시아나무 등(等)이었다. 기주(寄主)에 따라 자실체(字實體)의 크기, 형태, 색택에 차이가 있었다. 수집된 자실체(字實體)의 대부분(大部分)은 크기가 $40{\sim}100{\times}30{\sim}80mm$였고 자실체(字實體)의 갓의 크기는 $60{\times}45mm$ 이상(以上) 갓두께 10mm 이상(以上) 갓크기/대길이 율(率) 0.65 이상(以上) 갓두께/갓크기 율(率) 0.22 이상(以上)인 것이 상품가치가 높다. 영예자실체의 외형(外形)은 중요(重要)한 품질평가기준(品質評價基準)이다. 갓의 색택(色澤), 주연부의 모양, 갓의 윤문(輪紋), 갓의 두께 자실층형태(子實層形態), 대의 형태(形態)는 많은 변이(變異)를 보이고 있음이 관찰(觀察)되었다. 이 형질(形質)들이 유전성(遺傳性)인 것인지는 추후 구명(究明)되어야 한다.

  • PDF

단호박 착과율 향상을 위한 한라산 중산간지 육묘효과 (Raising Seedling at Hallasan Area of Sub-Alpine Improved Fruiting Rate of Squash (Cucurbita maxima))

  • 성기철;김천환;이진수;김두섭;엄영철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85-389
    • /
    • 2006
  • 단호박의 억제재배시 착과율 향상 및 유인노력 절감을 위한 한라산 중산간지(해발 600m) 육묘 효과를 검토 하였다. 정식직전 묘의 T/R율은 평지 육묘 9.5로 도장된 경향을 보였으나 중산간지 육묘에서는 5.4로 건실한 묘 생육을 보였다. 육묘 지역에 따른 1번 암꽃의 착생 위치는 평지 육묘 26.0마디에 비하여 중산간지 육묘 19.4마디로 크게 낮아졌으며 2번 암꽃 및 그 이후에 착생되는 암꽃들도 평지 육묘에 비하여 3$\sim$5마디 아래에서 착생되어 유인노력을 20% 정도 절감할 수 있었다. 2번과 착과율은 중산간지 육묘 17.2%로 평지 육묘 1.4%에 비하여 16%정도향상 되었다. 상품 수량의 경우 평지 육묘 3,500kg/10a에 비하여 중산간지 4,460kg/10a로 27%가 증가하여 한라산 중산간지를 이용한 여름철 육묘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살아있는 자작나무를 이용한 차가버섯 자실체 생산 (Fruit-body Production of Inonotus obliquus on Living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 박현;가강현;이봉훈;유성열
    • 한국균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83-84
    • /
    • 2010
  • 차가버섯(Inonotus obliquus) 종균을 살아있는 자작나무(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에 접종하여 자실체 덩어리가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형성된 자실체 덩어리는 국내에서 채집한 자실체 덩어리와 비슷한 모양이었으며 단지 그 크기가 작았다. 직경은 1.1~4.8 cm를 나타내었고, 높이는 0.5~2.0 cm이었다. 접종 후 5년 정도의 기간이면 자실체의 수확이 가능하리라고 예상되었지만, 자실체의 생장 등을 고려하여 경제적으로 적정한 수확시기 결정이 필요하다.

표고 톱밥배지 영양원, 접종 및 배양조건에 따른 균사배양 및 자실체 특성 비교 (Comparison of Mycelium Cultivation and Fruiting Body Characteristics of Lentinula edodes According to the Sawdust Media Nutrients and Inoculation and Cultivation Conditions)

  • 정연석;김민준;장영선;가강현
    • 한국균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69-80
    • /
    • 2023
  • 표고버섯의 배양조건은 버섯의 생산량과 품질에 많은 영향을 준다. 본 연구에서는 표고버섯의 배양조건을 변화시켜 생산성 및 품질을 개량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액체와 고체 두 가지 형태의 종균을 사용하였고, 톱밥배지의 영양원으로 옥수수가루를 사용하였다. 명배양 과정에서는 광조건을 청색광으로 변화시켜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험품종으로는 산백향을 이용하였다. 옥수수가루를 이용한 결과 배양 21일까지의 균사생장률이 최대 2.7배 빠른 것으로 나타났으며, 배지의 중량 감소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액체종균을 사용한 실험군에서는 톱밥종균을 이용하였을 때 보다 자실체의 생산량이 1.2배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청색광을 이용한 실험군에서는 1.1배의 생산량이 증가하였다. 자실체의 무게와 갓 크기는 톱밥종균을 사용한 경우 더 높게 나타났으며, 버섯의 무게 및 대두께는 청색광을 이용한 조건에서 더 우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자혀를 통한 맛 분석 결과 옥수수가루를 사용하였을 때 짠맛이 증가하였고, 청색광을 사용하면 시큼한 맛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신품종 표고버섯 '산장향'의 교배 육성 및 재배 특성 (Breeding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Newly Bred Lentinula edodes Strain 'Sanjanghyang')

  • 박영애;장영선;유림;이봉훈;가강현
    • 한국균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43-152
    • /
    • 2019
  • 본 실험은 '산백향'과 '장안1호'의 단포자 간 교잡에 의해 새로운 품종을 만들었으며 그 이름을 '산장향'이라 명명하였다. '산장향'의 주요 형태적 특성은 갓이 평반구형이며, 갓의 직경은 67.1 mm, 갓두께는 16.9 mm이었다. 주름살 측면 모양은 부정형이며 주름의 밀도는 조밀하고 주름살의 폭은 좁다. 인편은 흰색 또는 옅은 갈색으로 갓 전체에 분포하였다. 대조품종인 '산백향'보다 대의 길이가 길고, 갓 색깔은 갈색계열이나 적색이 진하였다. 대의 표면에는 털이 있고 대와 같은 크림색이었다. 버섯은 산발 발생으로 솎아주기 작업을 적게 할 수 있었다. 자실체의 발이온도는 평균 $15-19^{\circ}C$으로 중온성이었다. '산장향'의 발생시기는 봄, 가을 이었다. 자실체 발생은 3차까지 진행하였고, 1차(89%), 2차(4%) 및 3차(7%)의 발생비율을 보였다.

Breeding of New Strains of Mushroom by Basidiospore Chemical Mutagenesis

  • Lee, Ji-A;Kang, Hyeon-Woo;Kim, Sang-Woo;Lee, Chang-Yun;Ro, Hyeon-Su
    • Mycobiology
    • /
    • 제39권4호
    • /
    • pp.272-277
    • /
    • 2011
  • Chemical mutagenesis of basidiospores of Hypsizygus marmoreus generated new mushroom strains. The basidospores were treated with methanesulfonate methylester, an alkylating agent, to yield 400 mutant monokaryotic mycelia. Twenty fast-growing mycelia were selected and mated each other by hyphal fusion. Fifty out of the 190 matings were successful (mating rate of 26.3%), judged by the formation of clamp connections. The mutant dikaryons were cultivated to investigate their morphological and cultivation characteristics. Mutant strains No. 3 and No. 5 showed 10% and 6% increase in fruiting body production, respectively. Eight mutant strains showed delayed and reduced primordia formation, resulting in the reduced production yield with prolonged cultivation period. The number of the fruiting bodies of mutant No. 31, which displayed reduced primordial formation, was only 15, compared to the parental number of 65. Another interesting phenotype was a fruiting body with a flattened stipe and pileus. Dikaryons generated by mating with the mutant spore No. 14 produced flat fruiting bodies. Further molecular biological studies will provide details of the mechanism. This work shows that the chemical mutagenesis approach is highly utilizable in the development of mushroom strains as well as in the generation of resources for molecular genetic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