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Growth and Fruiting Characteristics, and Nut Qualities of Castanea crenata by Low-Concentrated Liquid Fertilizer

저농도 액비처리에 따른 밤나무 생장 및 결실특성과 과실품질

  • Lee, Uk (Division of Special-purpose Trees,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Hwang, Suk-In (Division of Special-purpose Trees,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Kim, Mahn-Jo (Division of Special-purpose Trees,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Kim, Ji-Hye (Division of Special-purpose Trees,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이욱 (국립산림과학원 특용자원연구과) ;
  • 황석인 (국립산림과학원 특용자원연구과) ;
  • 김만조 (국립산림과학원 특용자원연구과) ;
  • 김지혜 (국립산림과학원 특용자원연구과)
  • Received : 2011.05.03
  • Accepted : 2011.05.27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growth and fruiting characteristics (e.g., nut qualities) of chestnut (Castanea cerenata) after applying various fertilizer treatments at the cultivation site in Suncheon. Fertilizer treatments were designed as follow: liquid fertilizer, chemical fertilizer, organic fertilizer, and control. Both liquid and chemical fertilizer treatments provided the best growth in height and basal diameter. In addition, these two treatments were very effective for crown width of the trees between both east-west and north-south orientation. The liquid fertilizer treatment was effective on total length of the fruiting branch and length of the bearing to terminate part. Both liquid and chemical fertilizer treatments produced the longest length of basal to bearing part compared to the other two treatments. The liquid fertilizer treatment showed the most thickened basal diameter of the fruiting branch and the greatest diameter of above and below the bearing burr part. Elongation Index of the fruiting branch (EI) was the highest with liquid fertilizer treatment and the remaining four indices (Production Index of fruiting branch, PI; Ratio of Diameter between below and above bearing burr part, RD; Growth Index of fruiting branch diameter, GI; Thickness Index of fruiting branch or dormant branch, TI) were the highest with the chemical fertilizer treatment. Total number of produced branch per fruiting mother branch and number of small and weak branches per fruiting mother branch were highest on the control and liquid fertilizer treatment; however, all treatments produced similar numbers. The chemical and organic fertilizer treatments produced a high number of fruiting branches per fruiting mother branch, while organic and liquid fertilizer treatments produced a high number of burr per fruiting branch. The rate of commercializing on the basis of nut weight and quantity was higher on control (87.5%) than chemical fertilizer treatment (84.6%); however, the rate was even lower on liquid fertilizer treatment (84.3%) and organic fertilizer treatment (82.7%). The liquid fertilizer treatment showed the highest average of nut weight, while chemical fertilizer treatment showed the highest average number of fruiting bur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verage number of normal nuts per burr among treatments. The yield per tree was high on chemical (8.2 kg) and liquid (8.0 kg) fertilizer treatment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reatments. In the rate of nut grade on the basis of nut weight and quantity, the liquid fertilizer treatment, 43.5% and 34.3% more than large nut respectively, produced higher value chestnuts compared to other treatments.

밤나무의 수고와 근원경은 액비처리구와 화학비료처리구에서 가장 많은 생장량을 나타냈으며 수관폭 생장량은 동-서방향과 남-북방향에서 각각 액비처리구와 화학비료처리구에서 우수하였다. 결과지의 총 길이와 착구부~정단부의 길이생장은 액비처리구에서 가장 우수하였으며 기부~착구부의 길이는 액비처리구와 화학비료처리구에서 동일하게 가장 길게 생장하였다. 결과지의 기부직경과 착구부의 상하부직경은 모두 액비처리구에서 가장 두껍게 생장하였다. 본 연구의 5개의 생장지수(결과지발생지수, 길이생장지수, 착구부상하직경비율, 직경생장지수, 굵기지수)에서 길이생장지수만이 액비처리구에서 가장 높고 나머지 모든 지수는 화학비료처리구에서 가장 높았다. 결과모지당 가지발생수와 소약지 개수는 무처리구와 액비처리구에서 많았으며 처리간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결과모지당 결과지수는 화학비료처리구와 유기질비료처리구에서 많았으며, 결과지당 착구수는 유기질비료처리구와 액비처리구에서 많았다. 과실의 중량과 수량을 기준으로 한 상품화 비율은 무처리구(87.5%)와 화학비료처리구(84.6%)에서 높았으나 액비처리구의 상품화 비율은 각각 84.3%와 82.7%로 평균 수준이었다. 평균입중과 총착구수는 각각 액비처리구와 화학비료처리구로 가장 우수하였다. 함과수는 처리 간 차이는 없었으며 본당수확량은 화학비료처리구(8.2 kg)와 액비처리구(8.0 kg)에서 다수확성을 보였으나 처리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과실의 중량과 수량을 기준으로 등급을 구분한 결과, 액비처리구에서 대립 이상의 비율이 각각 43.5%와 34.3%로 가장 높아 액비처리에서 고부가가치의 고품질 밤이 가장 많이 생산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경향신문사. 경향신문(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103212135495&code=940701), 2011년 3월 22일자 15면(환경). 서울. pp. 15.
  2. 국립산림과학원. 2007. 밤나무 재배 신기술. pp. 31-37, 204-208.
  3. 권용희, 이 욱, 황석인, 백을선. 2009. SCB액비처리에 따른 밤나무 생장 및 결실특성. 한국임학회지 98(6): 676-680.
  4. 농림수산식품부. 2010. 농림수산식품 주요통계. pp. 254-379.
  5. 농촌진흥청. 2010. 가축분뇨 퇴.액비 이용기술 매뉴얼. pp. 1-19.
  6. 박무용, 강인규, 양상진, 정재권, 변재균. 2004. 사과나무의 수체생장 및 과실품질에 미치는 관비의 효과. 원예과학기술지 22(2): 195-199.
  7. 박정현, 여진기, 구영본, 이원우, 김현철, 박치호. 2008. 간척지 성토지 식재 포플러의 SCB액비 처리에 따른 클론별 생장특성. 한국토양비료학회지 41(5): 318-323.
  8. 박진면, 강윤임, 임태준, 이인복. 2009. SCB 액비 시용이 토마토 생육 및 수량과 토양화학성에 미치는 영향. 원예과학기술지 27(1): 90-91.
  9. 박치호. 2007. SCB에 의한 양돈처리 방법. 가축분뇨 자연순환 촉진을 위한 SCB액비 이용 세미나 및 연시회자료집. 농촌진흥청 축산과학원. pp. 43-65.
  10. 산림청. 2010. 임업통계연보. pp. 306-343.
  11. 산림청. 2011. 임산물 수출시책 설명회. pp. 29-77.
  12. 산림청. 2007. 산림청 고시 제2007-124호(2007.11.01.) 임산물 표준규격
  13. 유덕기. 2005. 가축분뇨공동이용을 위한 액비의 경제적 가치분석. 한국유기농학회지 13(2): 129-143.
  14. 육완방, 최기춘, 안승현, 이종감. 1999. 액상발효우분의 시용시기와 시용시준이 호밀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지학회지 17(1): 75-81.
  15. 이상복, 김종구, 이경보, 이덕배, 김재덕. 2004. 논토양에서 가축분뇨 액비시용이 볏짚 분해에 미치는 영향. 한국토양비료학회지 37(2): 104-108.
  16. 이종태, 하인복, 김희대, 문진성, 김일구, 송원구. 2006. 돈분뇨 액비시용이 양파의 생육, 양파흡수량 및 토양 화학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원예학회지 24(2): 148-156.
  17. 임태준, 홍순달, 김승희, 박진면. 2008. 고추에서 SCB액비 시용량 설정을 위한 수량 및 품질평가. 한국환경농학회지 27: 171-177.
  18. 임태준, 이인복, 강석범, 박진면, 홍순달. 2010. 돈분 액비를 이용한 관비재배가 고추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농학회지 29(3): 227-231.
  19. 전원태, 박향미, 박창영, 박기도, 조영손, 윤을수, 강위금. 2003. 돈분뇨 액비 시용이 벼의 생육 및 논 토양 환경에 미치는 영향. 한국토양비료학회지 36(5): 333-343.
  20. 정광화, 김재환, 정만순, 박치호, 곽정훈, 최동윤, 유용희. 2006. 액비저장조내 돼지분뇨슬러리의 깊이별 유기물 및 질소, 인의 농도 및 특성변화에 관한 연구. 대한환경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pp. 1413-1416.
  21. 조도현, 한심희, 김판기. 2008. 석탄폐관지에서 백합나무의 생장과 중금속 흡수에 대한 시비효과. 경북대학교 생명자연과학연구 6: 146-157.
  22. 최기준, 육완방. 2000. 발효돈분 및 화학비료 시용이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생산성과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행. 한국초지학회지 20(1): 41-48.
  23. 함선규, 김영선, 김택수, 김기선, 박치호. 2009. 저농도 SCB액비의 시용이 크리핑벤트그래스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한국잔디학회지 23(1): 91-100.
  24. Bernal, M.P. and Kirchman, H. 1992. Carbon and nitrogen mineralization and ammonia volatilization from fresh, aerobically and anaerobically treated pig manure during incubation with soil. Biology and Fertility of Soils 13: 135-141.
  25. Douglas, B.F. and Magdoff, F.R. 1991. An evaluation of nitrogen mineralization induce for organic residues. Journal of Environmental Quality 20: 368-372.
  26. Koo, Y.B., Noh, E.R., Woo, S.Y. and Lee, S.K. 1998. The effect of leachate of municipal waste landfill on poplar growth. Poplar 15. Korea National Poplar Commision, Seoul, Korea.
  27. Lakso, A.N. 2003. Water relations of apples. pp. 168-187. In: D.C. Ferree and I.J. Warrington (eds). Apples-Botany, production and uses.
  28. Woo, S.Y., Lee, D.S., Kim, D.G. and Kim, P.G. 2001. Effects of waste leachate irrigation on Populus euramericana and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seedlings(II).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0: 55-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