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uit extract

검색결과 668건 처리시간 0.027초

뽕나무 품종별 오디추출물의 섭취가 흰쥐의 지질대사 및 간장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ethanol Extract from Mulberry Fruit on the Lipid Metabolism and Liver Function in Cholesterol-Induced Hyperlipidemia Rats)

  • 김현복;김선여;류강선;이완주;문재유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04-108
    • /
    • 2001
  • 뽕나무 품종별(대륙뽕, 국상20호, 수봉뽕, 야상오디, 카타네오)오디 메탄을 추출물이 흰쥐의 지질대사 및 간장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콜레스테롤을 투여하여 고지혈증을 유발시킨 흰쥐에 뽕나무 품종별 오디의 메탄을 추출물을 경구투여한 후, 혈청 중의 콜레스테롤, 중성지질함량과 더불어 GOT, GPT, LDH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냉동건조시킨 오디의 메탄을 추출물 수율은, 대륙뽕 50.9%, 국상20호 62.0%, 수봉뽕 64.6%, 카타네오 49.8% 및 야생오디 43.5%로 수봉뽕 품종이 가장 높았고, 품종간 차이가 비교적 컸다. 2. 야상오디 메탄을 추출물 처리군은 중성지질함량을 감소시켜 정상의 85% 수준까지 회복되었고, 혈청 중 총 콜레스테를 함량은 국상20호 >카타네오 > 야삼오디 >수봉뽕 오디 메탄을 추출물 처리군 순으로 감소되었으나, 그 효과가 유의적이지는 않았다. 3.간장 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혈청 중의 GOT, GPT및 LDH활성을 측정한 결과, 야상오디 메탄을 추출물 처리군은 GOT치를 감소시켜 정상의 86% 수준으로 회복시켰고, 국상20호는 68%, 수봉뽕은 66%, 카타네오는 50% 수준으로 GOT치를 감소시켰다.

  • PDF

추출용매에 따른 산초 (Zanthoxylum schnifolium)열매 추출물의 라디칼소거능과 항염증 효과 (Radical Scavenging and Anti-inflammation Activities from Different Extracts of Zanthoxylum schnifolium Fruits)

  • 한웅;왕명현
    • 생약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250-254
    • /
    • 2010
  • This study was presented to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such as metal chelating capacity, superoxide dismutase-like activity, anti-inflammation, cytotoxicity from Zanthoxylum schnifolium fruit. The values for metal chelating capacity of 1 mg/mL of 70% EtOH and 70% MeOH extracts were 68% and 67%, respectively, it was shown that metal chelating capacity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 100% EtOH and 100% MeOH extract exhibited strong superoxide dismutase-like activity. The highest SOD-like activity obtained from 100% EtOH was 51% at a concentration of 4 mg/mL. The all extracts of Zanthoxylum schnifolium fruit except $H_2O$ extract significantly decreased the concentration of LPS-induced NO in Raw 264.7 cells. The 100% EtOH, 100% MeOH and 70% EtOH extract represented the highest activity in the anti-inflammation properties in vitro. However, the 100% EtOH and 100% MeOH extracts has cytotoxicity in Raw 264.7 cells and it may affect cell viability. Conclude that 70% EtOH extract was most suitable for anti-inflammation. Our results revealed that the Zanthoxylum schnifolium fruit expected to physiological activities.

오디 추출물이 중년 남성의 항고지혈증에 미친 효과 (Mulberry Fruit Extract Consumption is Inversely Associated with Hyperlipidemia in Middle-aged Men)

  • 김애정;박수진;노정옥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21-126
    • /
    • 2008
  • In a previous study, a mulberry fruit extract(MFE) supplement exhibited anti-inflammatory activity and improved serum lipid profiles in arthritic rat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dietary MFE could ameliorate inflammatory parameters and serum lipid levels in humans. Twenty-six middle-aged subjects(mean body mass index=27 $kg/m^2$) consumed MFE(100 $m{\ell}/day)$ after lunch for 4 wks. Anthropometric measurements, serum oxidative stress markers and serum lipid profile analyses were performed at baseline and then at 4 wk following the stud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nthropometric measurements, including BMI, WHR, and body fat composition. After the 4 wk-intervention, serum levels of C-reactive protein(CRP), ferric-reducing ability of plasma(FRAP), serum triglyceride(TG) and LDL-cholesterol had significantly decreased(p<0.05), whereas serum levels of HDL-cholesterol significantly(p<0.05) increased. These findings suggest the consumption of mulberry extract may be protective against inflammation and the atherosclerotic state in elderly obese men at high risk for cardiovascular disease(CVD).

Longan (Dimocarpus longan Lour.) Fruit Extract Stimulates Osteoblast Differentiation via Erk1/2-Dependent RUNX2 Activation

  • Park, Seoyoung;Kim, Joo-Hyun;Son, Younglim;Goh, Sung-Ho;Oh, Sangtae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6권6호
    • /
    • pp.1063-1066
    • /
    • 2016
  • Longan (Dimocarpus longan Lour.) has been used as a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 and possesses a number of physiological activities. In this study, we used cell-based herbal extract screening to identify longan fruit extract (LFE) as an activator of osteoblast differentiation. LFE up-regulated alkaline phosphatase (ALP) activity, induced mineralization, and activated Runx2 gene expression in MC3T3-E1 cells. Furthermore, treatment of MC3T3-E1 cells with LFE promoted the phosphorylation of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1/2 (Erk1/2); however, abrogation of Erk1/2 activation with PD98059 resulted in down-regulation of the phospho-SMAD1/5/8 and Runx2 levels, which in turn reduced the ALP activity. Our findings suggest that LFE exerts its osteogenic activity through activation of the ERK signaling pathway and may have potential as an herbal therapeutic or a preventive agent for the treatment of osteoporosis.

Differential role of endothelium in hawthorn fruit extract-induced relaxation of rat cerebral, coronary, carotid, and aorta

  • Chan, Hoi Yun;Chen, Zhen-Yu;Yao, Xiaoqiang;Lau, Chi-Wai;Zhang, ZeSeng;Ho, Walter Kwok Keung;Huang, Yu
    • Advances in Traditional Medicine
    • /
    • 제2권2호
    • /
    • pp.87-93
    • /
    • 2002
  • The present study was aimed to examine the role of endothelium in the relaxant effect of hawthorn fruit extract of Crataegus pinnatifida in four different types of rat arteries, posterior cerebral communicating artery, right descending coronary artery, common carotid artery, and aorta. In $9,11-dideoxy-11{\alpha}$, $9{\alpha}-epoxy-methanoprostaglandin$ $F_{2{\alpha}}$ (U46619)-preconstricted arterial rings except for aorta, the extract produced endothelium-independent relaxations with similar potency. This relaxation was unaffected by pretreatment with $100\;{\mu}M\;N^G-nitro-L-arginine$ methylester (L-NAME, the nitric oxide synthase inhibitor), $3\;{\mu}M$ 1H-[l,2,4]oxadiazolo$[4,2-{\alpha}]$quinoxalin-1-one (ODQ, the guanylate cyclase inhibitor), or $10\;{\mu}M$ indomethacin (the cyclooxygenase inhibitor). Putative $K^+$ channel blockers (charybdotoxin plus apamin or glibenclamide) did not affect the extract-induced relaxation in cerebral or coronary artery rings. In contrast, in rat aortic rings the extract produced significantly smaller relaxant response in endothelium-denuded rings than that in endothelium-intact rings. Pretreatment with L-NAME or ODQ abolished the extractinduced endothelium-dependent aortic relaxation, whilst indomethacin $(3\;{\mu}M)$ had no effect. The present results indicate that hawthorn fruit extract possesses a vasorelaxing effect in cerebral, coronary and carotid arteries and this effect is independent of the presence of a functional endothelium. However, the extract-induced endothelium-dependent relaxation in rat aorta was mediated through endothelial nitric oxide and cyclic GMP-dependent mechanisms, suggesting that active components in the extract may act on endothelium to stimulate release of nitric oxide in large conduit arteries of the rats.

오미자 열매 추출액을 첨가한 식혜의 품질특성 (Quality of Sikhe Incorporated with Hot Water Extract of Omija (Schisandra chinensis Baillon) Fruit)

  • 이준호
    • 산업식품공학
    • /
    • 제15권1호
    • /
    • pp.80-84
    • /
    • 2011
  • 오미자 열매 추출물의 첨가량을 0-50%로 달리하여 식혜를 제조한 후 물리화학적 및 관능적 품질특성을 측정하고 각 특성사이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추출물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식혜의 pH는 유의적으로 감소한 반면 가용성 고형분 함량 및 적색도 ($a^*$값)는 증가하였다(p<0.05). 한편, 밝기를 나타내는 $L^*$값과 황색도를 나타내는 $b^*$값은 추출물의 첨가량과 직접적인 관계를 나타나지 않았다. 관능적 품질특성 중 색, 신맛, 단맛은 추출물의 첨가량과 유의적인 관계를 나타내었다(p<0.05). 상관분석 결과 추출물의 첨가량은 $L^*$값과 $a^*$값을 제외한 모든 물리적 및 관능품질 특성과 유의적인 관계를 나타내었다. 소비자 기호도검사에 의하면 10% 오미자 열매 추출물을 첨가한 식혜의 전체적인 기호도가 다른 시료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음을 알 수 있었다(p<0.05).

Streptozotocin에 의해 유도된 당뇨 흰쥐의 고혈당과 고지혈에 미치는 오미자 추출물의 효과 (Effects of Schizandra Cchinensis Fruit Extract on the Hyperglycemia and Hyperlipemia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채희준;이인순;문혜연
    • KSBB Journal
    • /
    • 제26권2호
    • /
    • pp.126-130
    • /
    • 2011
  • To investigate the antihyperglycemic and antihyperlipemic effect of 80% ethanol extract of Schizandra Chinensis fruit, we induced diabetes in the rats with streptozotocin (STZ) and administered schizandra extract or Acarbose to diabetic rats for 21 days by oral administration. Consequently, the groups treated using schizandra extract decreased blood glucose levels more 39% than no treatment group and the case of Acarbose group was decreased it about 21%. The concentration of cholesterol, triglyceride and LDL-C in blood was also decreased while treating schizandra extract, on the other hand, HDL-C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t about 26%. Those results induced that anti-atherogenic index (AAI) in blood was improved more than 82% level like normal condition, especially in treatment of schizandra extract 100 mg. The lipid profiled in feces was likewise showed apparent tendency to decrease and food efficiency ratio of diabetic rats was became higher for treatment with schizandra extract, but Acarbose group had low efficiency in compared with the result of glucose level and lipid profile in blood. As a result, schizandra extract is regard a good medicine for diabetes due to improve physical constitution, blood glucose and lipid level caused hyperglycemia and suggest that schizandra extract has real effects on the diabetes complication as atherosclerosis, coronary heart disease, high blood pressure.

오미자와 뽕잎 추출물이 glucose에 의해 유도된 HIT-T15세포의 인슐린 분비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extracts from Schisandra chinensis Fruit and Morus alba Leaf on Insulin Secretion in Glucose-induced HIT-T15 Cells)

  • 정유석;홍주헌;정희경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1002-1008
    • /
    • 2011
  • 본 연구는 당에 의해 유도된 HIT-T15를 이용하여 항당뇨 소재로 잘 알려져 있는 오미자 및 뽕잎 추출물의 인슐린 분비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오미자 발효주정 추출물과 뽕잎 열수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함량은 각각 $20.11{\pm}0.35$ mg/g 및 $50.02{\pm}0.62$ mg/g이었으며, 총 플라보노이드함량은 $2.85{\pm}0.15$ mg/g 및 $8.76{\pm}0.43$ mg/g 이었다. 전자공여능은 뽕잎 열수 추출물이 $83.21{\pm}3.96%$로 오미자 발효 주정 추출물의 $60.84{\pm}1.86%$보다 높았으며 오미자 및 뽕잎 추출물의 ORAC은 각각 $32.22{\pm}1.46$, $63.54{\pm}2.52\;{\mu}moles$ TE/g였는데, 뽕잎 열수 추출물이 오미자 발효주정 추출물보다 높은 항산화능을 보여주었다. Glucose 10 mM 농도를 처리한 HIT-T15에 오미자 발효주정 추출물 $100{\mu}g/mL$ 첨가시 인슐린 생산량은 2배 정도 증가되었다. 고농도인 16.7 mM의 glucose가 처리된 HIT-T15의 인슐린 생산량($1.54{\pm}0.09{\mu}g/g$ protein)은 glucose 무첨가에서 생산되는 인슐린량($1.06{\pm}0.04{\mu}g/g$ protein)과 유사하였는데 뽕잎 열수추출물 $100{\mu}g/mL$ 첨가에 의해 인슐린 생산성은 대략 6.7배 정도 향상되었다. 따라서 오미자 발효주정 추출물과 뽕잎의 열수 추출물이 고농도의 당으로부터 유도되는 췌장세포의 인슐린 분비를 개선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비지터블 추출물 및 유산균 발효물의 진생사포닌 대사산물과 장건강 활성성분 효과 (Effects of Ginseng Saponin Metabolites and Intestinal Health Active Ingredients of Vegetables Extracts and Fermented Lactic Acid Bacteria)

  • 김현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943-951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사과, 배, 무 등 8종 과채류를 절단하고 열수추출물과 과채류 증숙열수추출물을 제조하고 실험기질로 사용하였다. 실험기질에 홍삼추출물 1%(W/V)와 유산균발효 추출물에 유산균 8종 혼합스타터를 첨가하여 발효한 결과, ginsenosides의 패턴과 함량은 과채류 추출물군과 증숙 처리군에서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유산균 발효군에서는 발효과정과 처리에 따라 TLC 패턴이 변하여 Rg3(S) 및 Rg5으로 전환되는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가하였다. 4종의 과채류추출물 모두에서 유산균 수(cfu)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유산균 CFU의 수는 과채류 추출물의 4가지 발효군에서 약간 감소하였으나 유익균의 생장 억제 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3가지 유해균의 증식억제 효과는 4가지 과채추출물에서 대장균과 슈도모나스의 증식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그러나 살모넬라균의 증식은 억제되었으며, 이는 과채류 증숙 열수추출물 및 홍삼추출물 첨가 여부에 관계없이 과채류 추출물의 생장억제효과로 확인되었다.

4배성 휘커스(Ficus-4x)오디품종의 영양성분 및 항산화능 검색 (Study on the Nutritional Composition and Antioxidative Capacity of Mulberry Fruit(Ficus-4x))

  • 김애정;김미원;우나리야;김선여;김현복;임영희;김명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995-1000
    • /
    • 2004
  • 뽕나무 가운데 가장 큰 품종인 4배성 휘커스 오디품종(Ficus-4x)의 일반성분함량을 베리류에 속하는 몇 종류의 과일과 비교시 유사한 수준이었으나, 조회분 함량은 딸기, 복분자, 블루베리 등에 비해 높은 수준을 보였다. 비타민 C함량의 경우도 복분자와 블루베리 보다 높은 수준이었다. 무기질함량 분석결과 칼슘함량은 딸기와 유사한 수준이었으나, 블루베리에 비해서는 2배 이상 높았다. 특히 철분함량은 딸기, 복분자, 블루베리에 비해 월등히 높게 나타나 한방에서 보혈제로 사용해온 근거가 본 연구를 통해 입증되었다고 볼 수 있다. 물성적 특성의 경우 응집성, 검성, 씹힘성이 딸기에 비해 높게 나타나 저장성 면에서 딸기에 비해 우수할 것으로 생각된다. 색도 분석 결과 명도가 낮게 나타나 딸기보다 비교적 어두운 붉은색을 띠었고, 적색도, 황색도 또한 딸기에 비해 다소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4배성 휘커스오디품종의 항산화능을 검색하고자 DPPH소거능 검색시 BHA를 기준(100%)으로 했을때 오디메탄올추출물은 35.7%로 cyanidin 3-glucoside의 40%의 소거능력을 보였다. 그리고 유지 저장시 항산화능을 알아본 결과 옥수수기름 저장 15일 이후부터는 오디의 에탄올추출물과 물추출물 모두에서 토코페롤과 BHA 보다도 안정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는 최근 천연물에서 추출된 유리한 성분을 첨가물로 이용하려는 목적과 잘 일치된다고 할 수 있으며 유지의 유도기간을 연장하여 장기 보존을 위한 항산화제로서의 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