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uit Size

검색결과 418건 처리시간 0.036초

과일추출물 처리에 따른 치아수복물의 색조 및 표면변화 (Color and surface change of teeth restoration result of treatment of fruit extracts)

  • 최은정;김미진;김민지;박민지;심소연;오수진;이아민;양석준;강경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1호
    • /
    • pp.449-457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과일즙이 복합레진의 표면부식과 착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일상적으로 많이 섭취하는 과일 중 산도가 높고 색깔이 있는 포도, 레몬, 오렌지, 자몽, 키위 5종을 선정하고 레진시편을 제작하여 과일즙에 침지하였다. 레진시편은 $37^{\circ}C$에서 과일즙에 3일, 7일 간격으로 침지하였다. 대조군은 과일즙에 침지하지 않은 레진으로 하였다. 시간에 따른 표면의 변화는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으며 착색정도의 변화는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주사전자현미경으로 레진의 표면변화를 관찰한 결과,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은 표면 입자간의 홈의 크기가 증가하였고 직사각형모양의 막대상의 구조가 생겨났으며 작게 돌출된 돌기상의 입자가 사라지는 양상을 보였다. 분광광도계로 레진의 착색정도를 측정한 결과, 실험군 간의 차이는 포도즙에 침지한 경우 명도가 가장 어두운 것을 볼 수 있었다.

가온재배한 한라봉감귤의 품질특성 (Quality Properties of Hallabong Tangor(Citrus Kiyomi ${\times}$ ponkan) Cultivated with Heating)

  • 이상협;김화선;조성원;이중석;고정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538-542
    • /
    • 2006
  • 가온재배한 한라봉감귤의 분포도, 물리화학적 품질특성을 검토하였다. 한라봉은 과중 $250{\sim}400g$이 90%를 차지하는데 비하여, 한라봉 변이종인 M16A 품종에서는 나무나이가 어리고 열매솎기의 영향으로 결실 정도가 낮아 $400{\sim}450g$을 중심으로 한 큰 과일의 분포가 상대적으로 많았다. M16A의 과일크기가 한라봉에 비하여 컸지만 껍질두께는 오히려 3.29mm로 한라봉의 3.51mm에 비해 얇고 과육과 밀착되어 있었다. 중간 위치에 달려있는 한라봉의 경도가 832.8 g-force에 비하여 M16A가 994.7 g-force로 높아 단단한 형태를 보였으며, 과육율도 3% 정도 높았다. 당도와 산 함량은 한라봉이 $12.20{\sim}12.98^{\circ}Brix$$1.08{\sim}1.14%$, 그리고 M16A가 $1.48{\sim}12.63 ^{\circ}Brix$$0.92{\sim}1.00%$이었다. 비타민 C 함량은 한라봉에서 $71.30{\sim}78.77mg/100g$, 그리고 M16A에서 $64.40{\sim}68.01mg/100g$이었다. 과육의 위치에 따라 성분 함량이 차이가 있었으며, 밑 부분으로 갈수록 당도가 높았다. 상부에 달려있는 과일은 크기가 컸으며 껍질이 두껍고 과육율이 낮았으며 경도도 높았다. 그리고 당도와 산 함량이 모두 높았으며, 이는 일조량이 상대적으로 많은 결과로 보인다.

토마토(Solanum lycopersicum L.) 품종 간 수용성 비타민과 폴리페놀계 성분 함량 변이 분석 (Quantitative analysis of water-soluble vitamins and polyphenolic compounds in tomato varieties (Solanum lycopersicum L.))

  • 김다은;손병구;최영환;강점순;이용재;제병일;박영훈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7권1호
    • /
    • pp.78-89
    • /
    • 2020
  • 기능성 성분이 향상된 토마토 품종 개발을 위해서는 성분 정량분석법과 토마토 유전자원 간 대사성분 변이에 대한 정보의 확보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토마토 유전자원23개 계통과 12개 상용 F1 품종을 이용하여 수용성 비타민 7종(vitamin C, B1, B2, B3, B5, B6, B9)과 폴리페놀계 성분 5종(quercetin, rutin, kaempferol, myricetin, and naringenin chalcone)에 대한 함량을 비교 분석 하였다. HPLC와 LC-MS 분석 결과, 수용성 비타민과 폴리페놀계의 주요 성분으로 vitamin C와 naringenin chalcone이 각각 검출되었으며 품종 간 높은 수준의 함량 변이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vitamin B1, quercetin 과 kaempferol은 전 품종에 있어 함량이 가장 낮았다. 대사성분 함량과 토마토 과실특성 간 상관관계에 있어 서 과크기(과중)와 높은 유의성이 관찰되었는데 대부분의 성분에 있어 방울토마토 품종이 완숙용 토마토 품종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다. 하지만 naringenin chalcone을 제외하고 대사성분과 과색 간의 상관관계는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본 결과는 토마토 육종과정에 활용될 수 있는 효율적인 대사성분 정량분석법을 제시할 뿐만 아니라 기능성 성분 고함량 육종소재 선발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Foraging behavior and pollination efficiency of honey bees (Apis mellifera L.) and stingless bees (Tetragonula laeviceps species complex) on mango (Mangifera indica L., cv. Nam Dokmai) in Northern Thailand

  • Chuttong, Bajaree;Panyaraksa, Lakkhika;Tiyayon, Chantaluk;Kumpoun, Wilawan;Chantrasri, Parinya;Lertlakkanawat, Phurichaya;Jung, Chuleui;Burgett, Michael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6권3호
    • /
    • pp.154-160
    • /
    • 2022
  • Background: The mango is one of the essential fruit trees for the economy of Thailand. Mango pollination relies primarily on insects. Other external forces, such as wind, are less efficient since pollen is sticky and aggregating. There is only one report from Thailand on the use of bees as mango pollinators. The study of the behavior and pollination efficiency of honey bees (Apis mellifera) and stingless bees (Tetragonula laeviceps species complex) was conducted in Nam Dokmai mango plantings in Phrao and Mae Taeng districts, Chiang Mai province, between February and March 2019. Results: Our results reveal that the honey bees commenced foraging earlier than the stingless bee. The number of flowers visited within 1 minute by honey bees was higher than that visited by stingless bees. The average numbers of honey bees and stingless bees that flew out of the hive per minute from 7 a.m. and 6 p.m. in the Phrao district were 4.21 ± 1.62 and 9.88 ± 7.63 bees/min, respectively, i.e., higher than those observed in Mae Taeng, which were 3.46 ± 1.13 and 1.23 ± 1.20 bees/min, respectively. The numbers of fruits per tre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oney bee and stingless bee treatments (T1 and T2) than in the open pollination treatment (T3). The number of fruits between T1 and T2 treatments was not different. In the pollinator exclusion treatment (T4), no fruit was produced. Fruit size factor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1, T2, and T3 treatments. Conclusions: Our results showed that insect pollination is crucial for mango production, especially with the Nam Dokmai variety in Northern Thailand. As pollinator exclusion treatment showed no fruit set, and pollinator treatment significantly increased the fruit sets compared to open access plots, a managed pollinator program would benefit the mango growers for better productivity. Both the honey bee and the stingless bee were shown to be effective as pollinators.

입상 암면 용량과 코이어 및 암면 배지 종류에 따른 수경재배 멜론의 생육 특성 (Growth Characteristics of Hydroponically Grown Melon according to Volume of Granular Rockwool and Substrates of Coir and Rockwool)

  • 정대호;오수환;김다미;이수오;조철희;조혜원;하철규;이현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72-80
    • /
    • 2023
  • 멜론은 풍부한 비타민과 섬유질을 제공하는 작물로 대부분 토양에서 재배하고 있다. 그러나 수경재배를 통해 생산량과 품질을 높이기 위한 시도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에 있으며, 생육을 최대화할 수 있는 배지에 대한 요구도가 높은 작물이다. 본 연구에서는 입상 암면 배지를 이용하여 근권부 용량을 다르게 수경재배한 경우와 코이어 및 암면 슬라브 배지를 활용하여 수경재배한 경우 멜론의 수체와 과실의 생육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금세계' 품종(Cucumis melo L. cv. Geumsegye)을 입상 암면 용량을 1.0, 1.5, 2.0, 3.0, 4.0L로 달리하여 수경재배하였으며, 코이어 슬라브와 암면 슬라브를 사용해 재배하였다. 작물의 초장, 엽장, 엽폭 등 생육 특성을 조사하여 로지스틱 모델을 적용하였으며, 과실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멜론의 생육 특성은 1.0L 용량의 입상 암면에서 재배한 것에 비해 4.0L 용량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코이어 슬라브와 암면 슬라브에서 가장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암면 슬라브에서 재배한 멜론에서 가장 과실 생체중과 과장, 과폭이 크게 나타났다. 수경재배 시 입상 암면 용량은 4.0L 수준에서 가장 생육이 좋으며, 코이어 슬라브와 암면 슬라브 등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좋은 생육을 보였다. 앞으로 무네트 멜론의 근권부 환경에 따른 생육을 확인하는 연구가 추가적으로 수행될 필요가 있다.

갈색무늬병의 시기별 이병 및 낙엽 정도가 '후지'/M.9 사과나무의 과실품질 및 신초생장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easonal incidence and Defoliation Degree of Marssonina Blotch on Fruit Quality and Shoot Growth of 'Fuji'/M.9 Apple Tree)

  • 박무용;사공동훈;권헌중;도윤수;송양익;이동혁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1권5호
    • /
    • pp.523-530
    • /
    • 2013
  • 본 조사연구는 갈색무늬병(Diplocarpon mali Harada et Sawamura)의 시기별 이병 및 낙엽 정도가 '후지'/M.9 사과나무의 신초생장과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2009년 군위지역에서의 갈색무늬병 발생은 7월 중에 시작되었고, 10월 말에 10% 정도 낙엽이 되었다. 2010년에는 갈색무늬병 발생은 6월 초에 시작하였다. 낙엽률은 9월 말에 20%이었고, 10월 말에 50%에 도달하였다. 2010년 정단신초의 이차생장량은 2009년보다 약 3배 더 높았다. 2009년 과실 성숙기 동안의 가용성 고형물 함량과 착색 정도(Hunter a value)는 각각 $13.8^{\circ}Brix$, 16.2까지 올라갔다. 2010년 과실 성숙기 동안의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10월초 이후로 $12.1-12.6^{\circ}Brix$ 범위에 머물렀고, 착색은 낙엽이 20%된 9월 말 이후에 높아지기 시작하였다. 낙엽 정도에 따른 과실품질에 있어, 10월 말 과대지의 낙엽율이 30% 이상이 되면 착색도가 감소되었고, 낙엽율이 50% 이상이 되면 과중과 가용성 고형물 함량이 감소되었다. 10월 말 30% 이상 낙엽구의 과실 종경과 횡경은 30% 미만 낙엽구과 비교해 볼 때, 8월 중순부터 감소되기 시작하였다. 2010년 8월말 과대지에서 이차생장한 부위 잎의 광합성 속도는 기존의 과대지 중간 부위의 잎과 비슷하였다. 그러나 과실의 크기와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과대지의 이차생장한 부위 잎의 광합성 활동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Relationships between fruit-body development of Pleurotus ostreatus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in mushroom house

  • Jhune, Chang-Sung;Kong, Won-Sik;You, Young-Bok;Chun, Se-Chul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3년도 생물공학의 동향(XIII)
    • /
    • pp.19-23
    • /
    • 2003
  • 느타리버섯은 재배사 내의 환경 즉 온도 의해서는 자실체의 갓 색과 수량성, 발이정도, 생장속도, 외형적 특징 등이 변화하며, 이는 자실체의 품질이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자실체의 생장에서 일어나는 호흡에 의해 발생하는 $CO_2$ 가스에 의해 대가 길고 갓이 작아지는 현상을 보이며, 고농도에서는 기형이거나 사멸될 수 있다. 자실체 조직을 형성하는 균사체는 부위별, 크기별로 약간의 차이를 보인다.

  • PDF

Characteristics of food purchasing depending on socio-demographic factors -Focusing on metropolitan area in South Korea-

  • Park, Seonghee;Choe, Young Chan
    • Agribusiness and Information Management
    • /
    • 제5권2호
    • /
    • pp.1-5
    • /
    • 2013
  • Demographic transition drives changes in consumer demand for food products. This study examines how rising incomes and population trends affect spending on food purchased for hom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haracterize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ected socio-demographic factors and food selection among South Korean households. Panel data from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in South Korea in 2010 was used (n=971). Household food purchases were classified into one of the five food groups from Composition of Foods of RD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effects of household size and income based on the expenditure share on each food group. All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SAS/ PC version 9.3. Results show that household soci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have a strong influence on food purchasing, with the purchase of vegetables and fruit, and processed food and pre-packaged being particularly sensitive.

안동 지역에서의 외식을 통한 소금 섭취 실태에 관한 연구 (Studies on Salt Intake Through Eat-out Foods in Andong Area)

  • 이혜상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314-318
    • /
    • 1997
  • This study was conducted over eat-nut foods in Andong area to measure the salt concentration and to compare the result with the optimum gustation of salt concentration in usual die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Mean salt concentration of eat-nut foods was similar to the optimum salt concentration by sensory evaluation. 2. The salt intake through the menu was about twice of the recommended intake by Korean Food Research. 3. The foods with a large serving size contributed to the increase of salt intake, suggesting that the serving size needs to be adjusted. 4. It is recommended that the consumption of high salt foods needs to be reduced while increasing that of fresh fruit and vegetable in the diet behavior on eat-out foods.

  • PDF

1998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를 이용한 한국인의 경제수준별 식품섭취현황 (Food Intake Patterns of Koreans by the Economic Status Using 1998 Korean National Health Examination Nutrition Survey)

  • 문현경;김유진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7권4호
    • /
    • pp.316-328
    • /
    • 2004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food intake patterns by the economic status. Data from the 1998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were used. Using the poverty line based on the 1998 Korean minimum cost of living, the subjects (n = 10400) were classified into high class (36.1%), middle class (40.7%) and low class (23.1%). Mean intakes for other food groups except grains, potatoes and vegetables became higher as the eco-nomic levels were going up. By the family size, it was found that intakes of grains and fishes were different (p<0.05). By the economic status, intakes of fruits (p<0.05), meats (p<0.05) and fishes (p<0.01) were differen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sumed types of food by the economic status. Rice was the most prevalent food in all clas-ses and its intakes increased as the economic status was going down. In the dietary patterns of main food group (GMDVF: Grain, Meats, Dairy, Vegetable and Fruit), the pattern except dairy (11011) revealed the highest proportion in high-middle class while the patterns without dairy and fruit food groups (11010) had the highest proportion in low class. The propor-tions of subjects with the low dietary diversity score (DDS) increased as economic status was going down (p<0.01). The food groups that most people do not consume were the dairy and fruit group. Proportions of people who missed one or more group increased as economic status was going down. The high dietary variety score (DVS) also was linked to a high score on the DDS and high class (p<0.01). Thus the intakes of the dairy and fruits product should be increased in all classes. The low class especially had worse quality of food intakes pattern than that of the high or middle class. The nutrition policy and education programs need to be established according to the economic stat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