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itillaria thunbergii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3초

간작물 도입이 패모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tercrops on Growth and Yield of Fritizzaria thunbergii MIQ)

  • 김민자;남상영;이철희;김홍식;김인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64-70
    • /
    • 2005
  • 부존자원의 최대생산과 농경지 활용 극대화를 위해 패모에 참깨, 들깨, 열무, 홍화 등 간작물을 도입하여 2001년부터 2003년까지 3년에 걸쳐 시험한 바, 패모의 간작물로 도입 된 홍화, 들깨, 참깨, 열무 등은 패모 생육에 지장 없이 재배가 가능하였으며, 작부 유형에 따른 패모의 지상부 생육은 차이가 미미하였으나, 지하부 수량은 단작에서 많았다. 소득은 패모 단작에 비하여 패모+열무와 패모+홍화+들깨의 작부유형에서 각각 $45\%$, $35\%$ 증대되었다.

Plant Virome Analysis by the Deep Sequencing of Small RNAs of Fritillaria thunbergii var. chekiangensis and the Rapid Identification of Viruses

  • Chen, Lu-xi;Pan, Hang-kai;Tao, Yu-tian;Yang, Dang;Deng, Hui-min;Xu, Kai-jie;Chen, Wen-bin;Li, Jun-mi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8권5호
    • /
    • pp.533-540
    • /
    • 2022
  • Thunberg fritillary (Fritillaria thunbergii), a perennial used in traditional Chinese herbal medicine, is a members of the family Liliaceae. The degeneration of germplasm is a severe problem in the production of Fritillaria thunbergii var. chekiangensis. However, no information about viral infections of F. thunbergii var. chekiangensis has been reported. In this study, we sequenced the small RNAs of F. thunbergii var. chekiangensis from leaves and bulbs, and viruses were identified using a phylogenetic analysis and BLAST search for sequence. In addition, multiplex reverse transcriptase-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was used to rapidly detect viruses in this variety. Our study first reported that five viruses infected F. thunbergii var. chekiangensis. Among them, fritillary virus Y (FVY), lily mottle virus (LMoV), Thunberg fritillary mosaic virus (TFMV), and hop yellow virus (HYV) had been reported in F. thunbergii, while apple stem grooving virus was first reported in the genus Fritillaria. A multiplex RT-PCR method was developed to rapidly test the four viruses FVY, LMoV, TFMV, and HYV in F. thunbergii var. chekiangensis. Our results provid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infection of F. thunbergii var. chekiangensis by viruses and a basic reference for the better design of suitable control measures.

천패모(川貝母)와 절패모(浙貝母)의 처방활용(處方活用)에 관한 고찰(考察) - 동의보감(東醫寶鑑)과 방약합편(方藥合編)을 중심으로 - (Study on practical usage of Fritillaria Bulb and Fritillaria Thunbergii Bulb in formulas)

  • 김안나;장현철;오용택;배순희;김상균;김진현;김철;송미영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09-124
    • /
    • 2010
  • In this study, we considered the usecase of formulas containing either Fritillaria Bulb (川貝母) or Fritillaria Thunbergii Bulb (浙貝母). These two medicinal materials are distinguished in the Korea Pharmacopoeia and circulating the market separately. But only term "貝母" is traditionally written for describing formulas, and the proper material will have to be determined by a subjective point of view. So, we have comparatively studied the nature, flavor, meridian entry, effect and indication of two materials first. Then we have chosen 54 formulas that "貝母" was used as a primary material from the Donguibogam and the Bangyachappyun, and we have compared effects, indications of two materials and indication of 54 formulas. Finally, we have suggested proper materials for each formula by referring the results above and sentences, which is explaining formulas and the roles of materials in the combination for treatment. The analysis showed that Fritillaria Bulb is proper to 15 formulas, Fritillaria Thunbergii Bulb is proper to 31 ones. This number is 85.2% of 54 formulas and this result shows that we need to distinguish between two materials for "貝母" in the formulas from old traditional literature. For the rest 8 formulas (14.8%), we could not analyze which material is proper or not.

패모(Fritillaria thunbergii Miquel)의 항균,항혈전 및 항산화 활성 평가 (Evaluation of Antimicrobial, Antithrombi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Fritillaria thunbergii Miquel)

  • 신용규;장한수;김지인;손호용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9호
    • /
    • pp.1245-1250
    • /
    • 2009
  • 패모는 한국, 일본, 중국 지역에 분포하는 백합과 인경식물로 오래전부터 진해, 거담제 및 편도염, 기관지염에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오랫동안 진행되어 온 기내배양, 휴면타파, 성분분석에 대한 연구와 달리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패모로부터 메탄올 추출물을 조제하고, 이로부터 다양한 유기용매 분획물을 조제하여 이들의 항균, 항혈전 및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였다. 패모의 메탄을 추출물은 다량의 수용성 당을 포함하고 있으며(물 잔류물 58.98%), 지용성 오일도 상당량 포함하였다(헥산 분획물 14.85%). 항균활성의 경우,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 분획물 $500{\mu}g$/disc에서 E. coli를 제외한 실험세균 모두에서 우수한 항세균 활성이 나타났으며, 항진균 활성은 모든 시료에서 나타나지 않았다. 항혈전 활성은 메탄올 추출물에서 우수하였으며, 헥산, 에틸아세테 이트 및 부탄올 분획물은 2.4 mg/ml 농도에서 모두 300초 이상의 연장된 트름빈 타임을 나타내었고, 특히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은 1.2 mg/ml 농도에서 95.4초를 나타내어 항혈전제인 아스피린 활성과 유사하였다. 메탄올 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 평가 결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및 부탄올 분획이 368.2 및 $344.0{\mu}g$/ml의 $IC_{50}$를 나타내어 우수한 DPPH 소거능을 나타내었으며, SOD 유사활성은 $55{\sim}63%$로, vitamin C의 20-25%, 환원력의 경우 BHT의 51-54%를 나타내어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MCF-7 인체 유방암 세포에서 백화사설초(白花蛇舌草), 산자고(山慈姑), 절패모(浙貝母)의 항암 효과 (Anti-cancer Effects of Oldenlandia diffusa, Cremastra appendiculata and Fritillaria thunbergii on MCF-7 Cells)

  • 진명호;홍상훈;박철;최영현;박상은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10-316
    • /
    • 2014
  • Oldenlandia diffusa, Cremastra appendiculata and Fritillaria thunbergii are widely distributed in the Korea, China and Japan, and has been used in traditional medicine for various diseases, such as pharyngolaryngitis, tonsillitis, goiter and stomach ulcer. However, the anti-cancer activities in human breast cancer have not been clearly elucidated yet. In this study, it was compared the in vitro cytotoxic effects of single and complex treatment of O. diffusa, C. appendiculata and F. thunbergii. We treat human breast cancer MCF-7 cells with O. diffusa, C. appendiculata and F. thunbergii. And we evaluated viability, growth inhibition, morphological changes, apoptotic bodies formation, measurement of the cell cycle and formation of DNA fragmentation of these cells. It was found that single treatment of O. diffusa could inhibit the cell proliferation in human breast cancer MCF-7 cells. However, complex treatment of O. diffusa, C. appendiculata and F. thunbergii is weakly or not affect the cell proliferation of MCF-7 cells. And anti-proliferative effects of O. diffusa in MCF-7 cells was associated with G1 arrest of cell cycl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O. diffusa may be a potential chemotherapeutic agent for the control of human breast cancer cells and further studies will be needed to identify the molecular mechanisms.

패모 인편 배양시 자구 형성과 비대에 미치는 배양 방법과 생장 조절제의 처리 효과 (The Effect of Culture Methods and Plant Growth Regulators on Bulblet Formation and Growth in Scale Segment Culture of Fritillaria thunbergii Miq.)

  • 백기엽;유광진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32-138
    • /
    • 1996
  • 패모의 기내 주년 생산 체계를 확립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cytokinin이 첨가된 배치에서 배양 방법의 차이가 자구 형성과 비대에 미치는 영향, 배지의 삼투 포텐셜 조절을 위한 mannitol 첨가나 활성 탄소 및 생장 억제제 처리가 기관 형성과 인편 비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0mg/L kinetin과 0. 3mg/L NAA가 혼용 처리된 MS 고체 배지에서 액체 배지나 액체 현탁배지에서보다 효과적인 자구 생장과 증식율을 나타냈으며, 액체 배지나 액체 현탁처리 배지에서는 비슷한 결과를 나타냈다. 활성 탄소의 농도는 $0.01%{\sim}0.1%$ 처리구에서 형성된 자구의 비대가 양호하였고, 0. 5% 이상 농도에서는 오히려 생장이 억제되었다. $1{\sim}2%$ mannitol이 첨가된 배지에서 인편으로부터의 자구 형성수 및 구비대가 양호하였으며,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생장에 저해적으로 작용하였다. 생장 억제제인 B-9과 Chloromequat 처리구에서는 $10{\sim}100mg/L$ 처리구에서 자구 발생 및 비대가 양호하였으나, 발생 인편의 생육 상태가 억제되었으며, ABA 처리구에서는 배양 중 인편이 모두 고사하였다.

  • PDF

Antiviral Activity of Fritillaria thunbergii Extract against Human Influenza Virus H1N1 (PR8) In Vitro, In Ovo and In Vivo

  • Kim, Minjee;Nguyen, Dinh-Van;Heo, Yoonki;Park, Ki Hoon;Paik, Hyun-Dong;Kim, Young Bo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0권2호
    • /
    • pp.172-177
    • /
    • 2020
  • Influenza viruses cause respiratory diseases in humans and animals with high morbidity and mortality rates. Conventional anti-influenza drugs are reported to exert side effects and newly emerging viral strains tend to develop resistance to these commonly used agents. Fritillaria thunbergii (FT) is traditionally used as an expectorant for controlling airway inflammatory disorders. Here, we evaluated the therapeutic effects of FT extracts against influenza virus type A (H1N1) infection in vitro, in ovo, and in vivo. In the post-treatment assay, FT extracts showed high CC50 (7,500 ㎍/ml), indicating low toxicity, and exerted moderate antiviral effects compared to oseltamivir (SI 50.6 vs. 222) in vitro. Antiviral activity tests in ovo revealed strong inhibitory effects of both FT extract and oseltamivir against H1N1 replication in embryonated eggs. Notably, at a treatment concentration of 150 mg/kg, only half the group administered oseltamivir survived whereas the FT group showed 100% survival, clearly demonstrating the low toxicity of FT extracts. Consistent with these findings, FT-administered mice showed a higher survival rate with lower body weight reduction relative to the oseltamivir group upon treatment 24 h after viral infection. Our collective results suggest that FT extracts exert antiviral effects against influenza H1N1 virus without inducing toxicity in vitro, in ovo or in vivo, thereby supporting the potential utility of FT extract as a novel candidate therapeutic drug or supplement against influenza.

$GA_3$, 온도와 상토 조건에 의한 패모의 자구 증식 효과 (Effects proliferation of Seed Bulb on GA3, Temperature and Bed Soil in Fritillaria thunbergii MIQ.)

  • 김인재;남상영;김민자;최성열;송인규;노창우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0년도 정기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11-11
    • /
    • 2010
  • 패모(貝母)는 땅속의 뿌리줄기에 있는 2매의 비늘조각(인편(鱗片))이 마치 조개처럼 합쳐 있어 패모라 불리우며, 백합과로 숙근성 다년생 초본의 절패모(浙貝母; Fritillaria thungergii) 및 동속식물의 비늘줄기를 기원으로 하며, 중국의 강소 절강 안휘 등지에서 대량으로 재배되고 있다. 패모의 줄기는 15~40cm정도로 곧게 자라며, 꽃은 4~5월에 피며, 윗부분의 엽액에 1개씩 밑을 향하여 달린다. 종자는 결실률이 매우 낮아 이용을 할 수 없어 번식은 대부분 비늘줄기의 인편이나 자구를 이용한다. 약용부위는 인경(鱗莖)(비늘줄기)이 사용되는데, 인경(鱗莖)에는 알칼로이드물질인 verticine, fritillin, peimisine, peimine 등의 주요 성분을 함유하여 약리작용으로는 중추신경마비, 혈압강하 및 진해작용이 있다. 한방에서는 진해, 거담, 배농, 폐렴, 기관지염 등으로 이용하는 중요한 약초 중의 하나이나, 값싼 중국산 패모의 수입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재배가 붕괴되어 현재는 재배면적이 거의 없는 자원고갈 약초로 재배면적 확보가 시급한 실정에 있어 이를 되살리기 위한 노력이 절실한 실정이다. 따라서 패모 자구 증식을 위하여 온도와 $GA_3$, 상토의 조건에 따른 시험을 수행한 결과 패모 자구의 증식 효과는 저장온도 온도가 낮을수록 자구의 증식이 많아 $5^{\circ}C$에서 주당 5.5개로 구수의 증식효과가 높았으며, 상토는 모래와 밭흙에서 각각 3.1개, 2.5개로 많았으나, $GA_3$과 온탕처리에 있어서는 차이가 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