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esh length

검색결과 892건 처리시간 0.032초

무경운 재배에서 찰옥수수 교잡종의 수량 및 주요형질의 반응 (Response of Yields and Major Characters of Waxy Corn Hybrids under No-Tillage Practice)

  • 이명훈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79-88
    • /
    • 2003
  • 본 연구는 찰옥수수의 무경운 재배의 가능성을 구명하고자 5개의 찰옥수수 교잡종을 공시하여 경운 재배와 무경운재배에서 풋이삭수량, 종실구량, 및 주요형질의 반응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경운 구에 비하여 무경운구에서는 출현율이 4% 정도 낮았고, 출웅일수와 출사일수가 다소 빨랐으며, 생육초기와 후기의 초장은 길었다. 2. 이삭길이 및 수량구성요소는 경운구와 무경운구의 차이가 없었으나, 교잡종간에는 유의성이 있었다. 3. 무경운구의 풋이삭수량과 종실수량은 경운구와 차이를 보이지 않아 무경운재배의 가능성을 나타내었다. 4. 출웅일수, 출사일수, 초장, 이삭길이는 풋이삭수량 및 종실수량과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 PDF

이온강도에 따른 Agar와 공정육묘용 상토에서 기내배양된 딸기 소식물체의 생육 (Growth of Strawberry Plantlets Cultured in Vitro in the Agar or Commercial Plug Medium as Affected by Ionic Strength)

  • 황승재;정병룡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0권2호
    • /
    • pp.201-207
    • /
    • 2012
  • 본 연구는 딸기 소식물체의 급속대량 증식을 위한 기내배양에서 적정한 지지물과 최적의 MS 배지 이온강도를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딸기($Fragaria$ $ananassa$ 'Houkouwase') 절편체는 지지물로 agar와 Tosilee(상업적 플러그 육묘용 배지) 배지를 사용하고, 공급된 MS 배지는 기본 MS(대조구), 1/2 MS, 1/4 MS의 강도로 공급하여 자가영양배양 하에서 미세증식하였다. Agar 배지에서 생육을 비교했을 때 1/2 MS 강도에서 초장과 근장이 가장 길었다. 또한 1/2 MS 강도에서 지상부 생체중과 건물중, 그리고 엽면적이 1/4 MS와 기본 MS 강도에서보다 우수했다. 기본 MS의 Tosilee 배지에서 딸기 소식물체를 배양했을 때 초장, 근장,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체중과건물중이 agar 배지에서 배양했을 때보다 더 양호했다. 자가영양배양을 통한 기내미세번식 딸기 소식 물체는 1/2 MS 강도의 agar 배지에서 배양하기보다는 기본 MS 강도의 토실이배지에서 가장 우수한 생육을 나타냈다.

한국산 민물 새우류에 관한 생물학적 연구 2. Palaemon modestua의 생태 (BIOLOGICAL STUDIES ON THE FRESH-WATER SHRIMPS IN KOREA 2. The Ecology of Palaemon modestua)

  • 정경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10-116
    • /
    • 1970
  • 낙동강산 민물 새우, Palaemon modestua의 성장, 산란 및 성비등의 생태에 관해 조사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산란기간은 $4\~9$월 사이이며, 주 산란기는 7월이다. 2. 만 1년만에 생식 행위를 하며, 산란 후 10월 말경까지는 대부분 사멸하는 것 같다. 3. 성비 (수컷/암컷$\times$100)는 일평균 $78.5\%(44.2\~95.5\%)$이며, 4월과 9월에는 $44.2\%,\;44.9\%$로 하락하였다. 4. 포란 개체의 최소의 크기는 체장 29mm, 체중 0.5gr, 갑장 7mm 내외였다. 5. 포란 미수의 출현이 가장 많은 체장은 $31\~41mm$ 내외이었다. 6. 체장(X)과 난수(Y)의 회귀 관계식은 $$Y=0.0000203937X^{3.5668}$$이었다. 7. 체장(X)과 체중(Y)의 회귀 관계식은 $$female\;:\;Y=0.099801X^{2.85407}$$, $$male\;:\;Y=0.004198X^{3.40614}$$이었다. 8. 두흉 갑장(X)과 체중(Y)의 회귀 관계식은 $$female\;:\;Y=5.56008X^{2.25503}$$, $$male\;:\;Y=5.09541X^{2.28875}$$이었다. 9. 두흉 갑장(X)과 체장(Y)의 회귀 관계식은 female : Y=5.07540+3.36057X, male : Y=4.90514+3.47791X이었다.

  • PDF

키토산이 캔터키 블루그래스(Poa pratensis L.) 생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Chitosan on the Growth Responses of Kentucky Bluegrass (Poa pratensis L.))

  • 윤옥순;김광식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63-175
    • /
    • 2007
  • 본 실험은 키토산의 처리가 켄터키 블루그래스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키토산은 잔디가 이식된 후 10일 후에 300, 500, 800배 희석되어 각각 처리되었다. 실험은 뿌리길이, 지상부 생채중 및 건물중, 지하부 생채중 및 건물중, 엽록소 함량변화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캔터키 블루그래스의 엽장에 대한 효과는 키토산 300배 처리 시 평균 26.2cm로 늦은 생장률을 나타내어 무처리 시 평균 17.1cm 생장률 보다 현저히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엽수에 대한 키토산 처리와 효과에 있어 캔터키 블루그래스는 키토산 500배 처리 시 31.7매로 엽수가 무처리 21.4매보다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캔터키 블루그래스의 키토산 처리에 의한 뿌리 길이의 변화는 무처리에서 16.8cm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키토산 500배 처리시 27.4cm로 뿌리 길이의 생육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엽록소 함량은 무처리 시에서 $19.9mg/100cm^2$로 나타났고, 키토산 300배 처리에서 $25.5mg/100cm^3$로 최대 증가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실험결과 엽수, 뿌리 길이의 생장, 지상부 생채중과 건물중, 지하부 생채중과 건물중은 키토산 500배 처리농도에서 가장 높은 생장 특성을 나타내었다.

고온기 야간 냉방이 절화 장미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Cut Flower Yields and Qualities of Rosa hybrid Affected by Night Cooling in High Temperature Season)

  • 김세진;김원희;이영란;정현환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5-22
    • /
    • 2023
  • 장미는 전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생산되는 화종 중 하나로, 절화 장미는 시설 내부에서 연중 생산된다. 최근 여름철 시설 내부 온도 상승으로 인해 절화장 단축 등 절화 장미의 품질 저하가 심각하게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는 계절별 절화 품질 및 수량을 비교하여 여름철 생산된 절화 장미의 품질 특성을 파악하고, 고온기 야간 냉방을 통한 온도 하강 효과와 여름철 절화 품질 개선 효과를 검정하고자 수행하였다. 'Pink Beauty'은 여름철 절화장, 화수장, 경경, 화수경경, 화폭, 생체중 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저하되었으며, 'Pink Shine'은 여름철 절화장, 경경, 화폭 및 화고, 생체중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저하되었다. 고온기 야간 냉방을 수행한 결과, 7-8월 온실 내부 평균 온도는 약 2.5℃ 저하되었으며, 배지 평균 온도는 약 3.0℃ 감소되었다. 고온기 야간 냉방 시 절화 품질 및 수량을 비교한 결과 세 품종 모두 야간 냉방 시 절화장, 생체중, 경경 등 절화 품질이 향상되었다. 이를 통해 고온기 야간 냉방이 여름철 절화 장미의 품질 저하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질소영양(窒素營養)의 효율증진(效率增進)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Nitrogen Nutrition)

  • 곽판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1권
    • /
    • pp.151-166
    • /
    • 1969
  • I. 질소시용량(窒素施用童)과 배양조건(培養條件)이 고구마의 지상부(地上部) 생육(生育) 및 괴근형성(塊根形成)에 미치는 영향(影響) 1)배양액(培養液) 1l 당(當) 3m.e. $NO_3$-N의 저수준질소구(低水準窒素區) (A구(區))에서는 괴근생성(塊根生成)이 왕성(旺盛)하였으나 1l당(當) 10 m.e. 이상(以上)의 고수준질소구(高水準窒素區)($B_1{\cdot}B_2$ 구(區))에서는 세포신장(細胞伸長)은 활발(活潑)하였지만 괴근형성(塊根形成)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고수준질소(高水準窒素)의 괴근억제효과(塊根抑制效果)는 경엽생장(經葉生長)의 촉진(促進)을 통(通)한 간접적(間接的) 영향이나 탄수화물(炭水化物)에 대(對)한 경합관계(競合關係)보다 질소(窒素)의 직접적효과(直接的效果)나 어떠한 생기적효과(生機的效果)가 개재(介在)된 것으로 추측(推測)된다. 2) 배양액(培養液) 1l당(當) 6mg의 요소가용(尿素加用)은 생장(生長)을 촉진(促進)하고 특히 지상부(地上部)의 생체중(生體重)의 증가를 초래(招來)하였으나 초장(草丈)에 대(對)해서는 오히려 억제적(抑制的)이었다. 3) 본시험(本試驗)에서 새로히 설계(設計)된 수경배양법(水耕培養法)은 식물(植物)생육(生育)을 역경배양이상(礫耕培養以上)으로 왕성(旺盛)하게 하고, 특히 저수준질소구(低水準窒素區)(A구(區))에서는 역경배양(礫耕培養)과 같이 괴근생성(塊根生成)도 상당(相當)히 이루어졌다. 4) 식물생장억제제(植物生長抑制劑)인 B-nine의 엽면살포(葉面撒布)는 초장(草丈)을 억제(抑制)하였으나 다른 효과(效果)는 일정(一定)한 경향(傾向)을 보여주지 않았다. II. 요소시용량(尿素施用量)이 고구마 생육(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 1) 배양액(培養液)을 통(通)하여 근부(根部)에 흡수(吸收)된 고수준농도(高氷準濃度)의 질소(窒素)는 경엽생장(莖葉生長) 즉, 초장(草文), 입수(數), 생체중(生體重)을 억제(抑制)하고 있다. 이것은 아마도 Ammonia화(化) 되지 않은 요소태질소(尿素態奎素)의 직접적흡수(直接的吸收)에 의(依)한것 같다. 2) 제(第) I 부(部)에서 고수준질산태질소(高水準窒酸態窒素)는 괴근형성(塊根形成)을 불가능(不可能)케 하였으나 본시험(本試險)에서의 고수준요소(高水準尿素)는 괴근형성(塊根形成)을 가능(可能)케 하고 있다. 그러나 고수준요소구(高水準尿素區)(B구(區))에서의 지상부(地上部) 대(對) 괴근비(塊根比)는 저수준요소구(低水準尿素區)(A구(區))보다 낮고, 괴근발육(塊根發育)에 대(對)한 억제(抑制)정도는 지상부(地上部)에 대(對)한 억제(抑制)정도보다 더 큰것을 볼 수 있다. 3) 고수준요소(高水準要素)의 근부흡수(根部吸收)가 경엽생장(莖葉生長)을 억제(抑制)하는데 대(對)하여 같은 양(量)의 요소엽면시용(尿素葉面施用)은 경엽생장(莖葉生長)을 촉진(促進)하고 있다 따라서 지하부(地下部) 대(對) 지상부비(地上部比)는 요소엽면시용구(尿素葉面施用區)(C구(區))에서 가장 크고, 요소(尿素)의 근부흡수(根部吸收)에 의(依)한 저수준(低水準)(A구(區)) 및 고수준요소구(高水準尿素區)(B구(區))에서는 낮다. III. 요소시용(尿素施用)과 식물생장억제제처리(植物生長抑制劑處理)가 고구마 생육(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 1) 식물생장억제제(植物生長抑制劑)의 일종(一種)인 B-nine은 고수준요소구(高水準尿素區)나 저수준요소구(低水準尿素區)에 관계(關係)없이 전반적(全般的)으로 초장(草丈)을 억제(抑制)하고 있다. Gibberellin 단용(單用)은 초장(草丈)을 현저히 촉진(促進)하고 Gibberellin과 B-nine의 혼용(混用)은 B-nine의 초장억제(草丈抑制)를 회복(恢復)시키고 있다. 2) B-nine 처리(處理)는 저수준요소구(低水準尿素區)에서 현저히 고구마의 생체중(生體重)을 특히 지상부(地上部) 생체중(生體重)이 증가(增加)되었다. 고수준요소구(高水準尿素區)에서도 B-nine 처리(處理)는 생체중(生體重)을 증대(增大) 시키고 그정도는 농도에 따라 다르며 0.15% 처리구(處理 區)($B_1$구(c))가 가장 컸다. B-nine의 생체중(生體重) 증대효과(增大效果)는 지상부(地上部)에서 가장 크고 다음은 괴근(塊根)이며, 세근(細根)에서 가장 작았다. 따라서 지상부(地上部) 대(對) 세근비(細根比)는 B-nine 처리구(處理區)로서 어느 때나 감소(減少)되고, 지상부(地上部) 대(對) 괴근부(塊根部)는 저수준요소구(低水準尿素區)에서 감소(減少)하고 고수준요소구(高水準尿素區)에서는 오히려 증가(增加)되고 있다. 3) Gibberellin 단용(單用)도 고구마의 생체중(生體重)을 증대(增大)시키고 Gibberellin과 B-nine의 혼용구(混用區)($B_3$+GA구(區))는 각단용구(各單用區)보다 더욱 현저한 증대(增大)를 가져왔다. 즉 Gibberellin과 B-nine은 초장(草丈)에 대(對)해서는 길항작용(拮抗作用) 을, 생체중(生體重)에 대(對)해서는 상승작용(相乘作用)을 나타냈다. 4) B-nine 처리(處理)는 초장(草丈)과 생체중(生體重)에 대(對)해서 현저한 선택적효과(選擇的效果)를 나타냈다. 따라서 B-nine 은 Antimetabolite라기 보다 대사조정자(代謝調整者)로써 역할(役割)하는 것으로 본다. 5) 고수준요소(高水準尿素)의 공급(供給)으로 일어나는 작물생육억제(作物生育抑制)를 B-nine 처리(處理)로 회복(恢復)되있으며 이 사실(事實)은 실용적(實用的) 전망(展望)이 크다고 본다.

  • PDF

성숙정도에 따른 풋찰옥수수의 수분, 전당함량 및 맛의 변화 (Maturity Effects on Moisture, Total Sugar Contents and Flavor of Fresh Waxy Corn)

  • 강영길;차영훈;김수동;박근용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70-73
    • /
    • 1988
  • 풋찰옥수수의 수확적기를 구명하기 위하여 1984년 수원과 청주에서 홍천재래을 공시하여 출사(수원에서는 수분)후 15일부터 40일까지 5일 간격으로 6회에 걸쳐 수확하여 종실의 발육, 수분 및 전당함량, 삶은 옥수수의 맛, 찰기, 경도 등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입장과 입폭은 출사후 15일부터 30일까지 크게 증가하였고 그 후 다소의 증가에 그쳤으며 입후는 출사 20일 이후 거의 증가되지 않았다. 2. 생체 100립중은 출사후 30일까지 크게 증가된 반면 그 후에는 다소의 증가에 그치였고 건물 100립중은 출사후 15일부터 40일까지 거의 직선적인 증가를 보였다. 3. 종실의 수분함량은 성숙정도가 진전됨에 따라 직선적인 감소를 보였다. 전당함량은 출사후 20일에 가장 않았고 그 후 감소되었다. 4. 맛과 찰기는 출사후 15일부터 30일까지 크게 증가되었고 맛은 그 후 감소되었으나 찰기는 출사후 35일까지 같은 수준을 유지하였다가 그 후 다소 감소되었다. 식용에 알맞는 경도는 출사후 30∼35일 이었다.

  • PDF

Enhancing Effect of Shimizuomyces paradoxus on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Canola, Plant Growth of Cucumber, and Harvest of Tomato

  • Sung, Gi-Ho;Shrestha, Bhushan;Park, Ki-Byung;Han, Sang-Kuk;Sung, Jae-Mo
    • Mycobiology
    • /
    • 제39권1호
    • /
    • pp.7-11
    • /
    • 2011
  • Shimizuomyces paradoxus showed no inhibitory effect against plant pathogen fungi, such as Fusarium oxysporum f. sp. lycopersici and Alternaria solani. The S. paradoxus culture filtrate showed higher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rates in canola than distilled water and potato-dextrose broth. A conidial suspension of $1.0{\times}10^4/mL$ resulted in the highest growth stimulating effects on total plant length, and fresh and dry weight of shoots and roots in cucumber, when compared to the highest suspension concentration. Total plant length and shoot weight increased with the foliar spray treatment, and root length and root weight increased by simultaneous treatments of soil drenching and foliar spray in cucumber. Lower concentrations of the S. paradoxus conidial suspension increased the harvest of tomato fruit.

제주지역에서 지렁이분 시비량 차이가 식용 Canna의 생육특성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orm Casting level on Growth Characteristics and Yield of Food Canna in Jeju Island)

  • 송창길;조남기;조익환;강봉균;고미라;박성준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93-99
    • /
    • 2004
  • This study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optimum warm casting rate(0, 100, 200, 300, 400, 500kg/10a) for the yield of food canna in jeju island. The plant height was ranged from 109.4 to 1347cm as organic fertilizer of worm casting increased from 0 to 500kg/10a, but it was no significance between 400 to 500kg/10a. Leaf length, leaf width, number of leaves, number of tillers and bulb per plant were shown higher as the amount of worm casting was increased. Stem diameter were the same trend with plant height response. Fresh yield of food canna increased significantly 134 to 22.6MT/ha as fertilizer rate increased from 0 to 500kg/10a. Fresh weight of above-ground pan and blub were shown the same trend with fresh yield of food canna.

  • PDF

어름치(Hemibarbus mylodon)에서 Clinostomum complanatum 감염증 (Infection of Clinostomum complanatum in Korean Barbel (Hemibarbus mylodon))

  • 김지형;김경연;오태엽;장환;조성준;데니스 고메즈;카시아노 허모피아;박세창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07-309
    • /
    • 2008
  • The metacercariae species have often been isolated from fresh water fish in Korea. In this study, we reported Clinostomum complanatum, a species of metacercariae isolated from gill and muscle of Korean barbel (Hemibarbus mylodon), a natural monument fresh water fish in Korea, by morphological observation. The excysted metacercariae, tongue-shaped and progenetic, were 3.11-4.62 mm in length and 0.90-1.43 mm in width. Fresh water fishes are known as the second intermediate hosts of C. complanatum. This is the first isolation report from Korean barb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