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Chitosan on the Growth Responses of Kentucky Bluegrass (Poa pratensis L.)

키토산이 캔터키 블루그래스(Poa pratensis L.) 생장에 미치는 효과

  • Yoon, Ok-Soon (Dept. of Environmental Science Keimyung University) ;
  • Kim, Kwang-Sik (Dept. of Well Being Horticultre & Maintenance of Golf college, Keimyung College)
  • 윤옥순 (계명대학교 대학원 환경과학과) ;
  • 김광식 (계명문화대학 웰빙원예 골프코스관리과)
  • Published : 2007.12.31

Abstract

This study was initia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hitosan on Kentucky bluegrass growth. Chitosan was applied rates of 300, 500, and 800 times dilution at ten-day intervals after transplanting. We observed such growth characteristics asleaf length, root length, numbers of leaves, fresh weight and dry weight, and chlorophyll content. Treatment of 300 X diluted chitosan resulted in the longest leaf length of 26.2cm comparing with the 17.1cm average leaf length of control. Leaf numbers were 21.4 and 31.7 for the control and the 500 X dilution treatment. The root length in control was 16.8cm while the treatment of 500 X diluted chitosan increased root length to 27.4cm. Chlorophyll content resulted 19.9mg/$100cm^2$ for the control and 25.5mg/$100cm^2$ for the treatment of 300 X diluted chitosan. In general, we found that the treatment of 500 X diluted chitosan resulted higher leaf number, chlorophyll content, fresh and dry weight.

본 실험은 키토산의 처리가 켄터키 블루그래스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키토산은 잔디가 이식된 후 10일 후에 300, 500, 800배 희석되어 각각 처리되었다. 실험은 뿌리길이, 지상부 생채중 및 건물중, 지하부 생채중 및 건물중, 엽록소 함량변화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캔터키 블루그래스의 엽장에 대한 효과는 키토산 300배 처리 시 평균 26.2cm로 늦은 생장률을 나타내어 무처리 시 평균 17.1cm 생장률 보다 현저히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엽수에 대한 키토산 처리와 효과에 있어 캔터키 블루그래스는 키토산 500배 처리 시 31.7매로 엽수가 무처리 21.4매보다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캔터키 블루그래스의 키토산 처리에 의한 뿌리 길이의 변화는 무처리에서 16.8cm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키토산 500배 처리시 27.4cm로 뿌리 길이의 생육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엽록소 함량은 무처리 시에서 $19.9mg/100cm^2$로 나타났고, 키토산 300배 처리에서 $25.5mg/100cm^3$로 최대 증가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실험결과 엽수, 뿌리 길이의 생장, 지상부 생채중과 건물중, 지하부 생채중과 건물중은 키토산 500배 처리농도에서 가장 높은 생장 특성을 나타내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동찬, 심재성, 정해준, 정원일 1992. Peat 및 화학비료 사용이 금잔디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한국잔디학회지 6(2): 83-88
  2. 김세권. 1998. 키틴 . 키토산의 농업분야에 의 응용. 한국키틴 . 키토산연구회지 3, no. 4: 327-342
  3. 김용원, 정병걸, 김성완. 2003. 키토산, PFC 및 자생식물을 이용한 종자코팅제의 개발에 관한 연구. 농림부
  4. 문영훈. 2003. 벼, 포도 및 고추재배에 있 어서 천연 유기농 자재의 활용에 관한 연 구. 석사학위논문, 원광대학교
  5. 성형철. 2003. 키토산의 농축산 분야에의 응용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동국대학 교
  6. 심규열, 1995. 골프장 잔디에 병을 일으키 는 Khizoctomin의 동정, 발생 생 태 및 방 제. 박사학위논문, 경산대학교
  7. 윤옥순, 김수봉, 김광식, 이준수 2006. 키토산 처리에 대한 크리핑 벤트그래스 (Agrotis palustris H.)의 생 장효과. 한국잔디학회지 20(2): 167-174
  8. 이재인. 2003. 키토산 처리가 벼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충 북대학교
  9. 홍상필, 김종태, 김상숙, 황재관, 1998. 키 토산이 다산벼의 생산성 및 미질에 미치는 효과. 한국키틴, 키토산연구회지 3, no. 2 : 176-183
  10. 福井春雄. 1984. 日本肥料硏究會會報 44 : 43
  11. Causin, H.F. and A.J. Barneix. 1993. Regulation of NH4+ uptake in wheat plant: Effect of root ammonium concentration and amino acids. Plant Soil 15: 211-218 https://doi.org/10.1007/BF01400455
  12. Donald F. 1997. Application of chitin and chitosan. Technomic Publication
  13. Kenneth, W.T. and Caffy, H.R. 1991 - 1996. Department of Agriculture. 83rd - 88th Annual research report. Crowery Louislana
  14. Muller, B. and B. Touraine. 1991. Inhibition of $NO_3$ uptake by various phloem translocated amino acide in soybean seedlings. J. of Experimental Bot. 43(250): 617-623
  15. Perssom, J. and T. Nasholm. 2001. Amino acide uptake: a widespread avility among boreal forest plants. Ecology Letter 4: 434-438 https://doi.org/10.1046/j.1461-0248.2001.00260.x
  16. Perssom, J. and T. Nasholm. 2002. Regulation of amino acide uptake in conifers by exogenous and endogenous nitrogen. Planta 215: 639-644 https://doi.org/10.1007/s00425-002-0786-5
  17. Rodgers, C.O. and H.J. bormeix. 1993. The effect of amino acid and amides on the regulation of nitrate uptake by wheat seedlings. J. of Plant and Nutrients 16(2): 337-348 https://doi.org/10.1080/01904169309364535
  18. Tani, T. 1986. Control of turfgrass disease by fungicides. Jpn. Soc. of Turfgass Sci. 15(1): 25-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