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esh Vegetable

검색결과 305건 처리시간 0.026초

LED 광원 및 설치조건에 따른 딸기의 생육 변화 (Effect of LED Light Sources and Their Installation Method on the Growth of Strawberry Plants)

  • 이지은;신용습;정종도;도한우;강영화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06-112
    • /
    • 2015
  • 딸기의 전조재배에 적합한 인공광원을 모색하기 위해 적색과 청색의 LED를 이용하여 설치조건을 검토하였다. 시험에 사용된 인공광원은 LED PAR(PPFD $2{\sim}4{\mu}mol{\cdot}m^{-2}{\cdot}s^{-1}$), LED BAR(PPFD $100{\sim}120{\mu}mol{\cdot}m^{-2}{\cdot}s^{-1}$), 백열등(PPFD $2{\sim}4{\mu}mol{\cdot}m^{-2}{\cdot}s^{-1}$)이고 전조시기는 정화방이 개화하는 시점에 22시~01시까지 3시간동안 연속조명하였다. 무처리보다는 전조처리구가 초장과 엽병장이 길었으며, 그 중 백열등이 가장 많이 생장하였다. 전조처리구에서 지상부의 생체중과 건물중은 LED PAR 처리구에서 생장량 대비 가장 무거웠다. 지상부의 엽면적 생장량에서는 무처리 보다는 전조처리구가 엽면적이 증대하는 경향이었고, LED PAR 처리가 엽면적이 넓었다. 엽록소 함량은 전조 후 60일 경에는 LED PAR를 제외하고는 모두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광원별로 광 환경을 시뮬레이션한 결과, 100W 백열등 배광곡선이 원형에 가까워 전조재배시 하우스 위쪽으로 많이 발광되는 것을 볼 수 있다. LED PAR 타입을 설치했을 때는 직진성이 강한 LED의 특성상 조명의 중심이 40lux 이상이며 좁은 지향각과 낮은 설치 위치로 인해 좁은 지역에 집광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조명과 조명사이에 기준조도 이하의 음영지역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설치 높이는 2m, 설치 간격은 3.75m로 조절하였고, 배치형태는 W타입으로 변경하여 전체 식물에 $1.2{\mu}mol{\cdot}m^{-2}{\cdot}s^{-1}$ 이상이 조사될 수 있도록 기준 조도와 균제도를 맞추어 최적화하였다.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an Agricultural Diesel Engine using Biodiesel Fuel

  • Ryu, Kyunghyun;Oh, Youngtaig
    • Journal of Mechan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8권4호
    • /
    • pp.709-717
    • /
    • 2004
  • Biodiesel has great potential as an alternative fuel for diesel engines that would reduce air pollution. It is a domestically produced, renewable fuel that can be manufactured from fresh or used vegetable oils, or from animal fats. In this study, a biodiesel fuel derived from rice bran oil was tested as an alternative fuel for agricultural diesel engines. The emissions were characterized for both neat and blended biodiesel fuels, and for conventional diesel fuel. Since this biodiesel fuel contained 11 % oxygen, it strongly influenced the combustion process. The use of biodiesel fuel resulted in lower carbon monoxide, carbon dioxide, and smoke emissions, without any increase in nitrous oxide emissions. The study demonstrated that biodiesel fuel could be effectively used as a renewable and environmentally innocuous fuel for agricultural diesel engines.

Antimicrobial Activity of Flaxseed Meal Extract against Escherichia coli O157:H7 and Staphylococcus aureus Inoculated on Red Mustard

  • Son, Hyeon-Jeong;Song, Kyung Bi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7권1호
    • /
    • pp.67-71
    • /
    • 2017
  • This study examined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flaxseed meal extract (FME)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and Escherichia coli O157:H7 inoculated on red mustard. With the treatment of 0.7% FME for 3 min, the reduction levels of S. aureus and E. coli O157:H7 populations were 1.23 and 1.83 log CFU/g,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combined treatment of 0.7% FME at $50^{\circ}C$ for 3 min reduced the populations of the pathogenic bacteria by 2.28 and 2.41 log CFU/g, respectively. The color and the vitamin C conten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reatments. Thus, FME can be used as a novel antimicrobial agent in fresh-cut vegetables.

100세 이상 장수노인의 식생활 경험 (Experiences of Dietary Life on Elderly Over 100 Years Old)

  • 김성혁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21-234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nd describe phenomenological structures of the experiences of dietary life on elderly over 100 years old.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is research included nine persons over the age of 100 years of age and ten family members who assisted in the dietary regime.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by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Data were analyzed using Colaizzi's method of phenomenology. Result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provide four categories and nine theme clusters. The categories included a rustic menu consisting of vegetables, grain-oriented traditional food, sensible dining table in harmony with nature, dietary life and emphasis on how to eat. The nine theme clusters were preference for fresh vegetable, preference of cooked potherb, boiled rice and cereal as main staple food, intake of soybeans, preference of native local foods, non-preference of unhealthy foods, select healthy and control food portion sizes for longevity, objection to light eating, and enjoying a meal.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offer insight about the nutrition patterns among the people over 100 years of age.

안동 지역에서의 외식을 통한 소금 섭취 실태에 관한 연구 (Studies on Salt Intake Through Eat-out Foods in Andong Area)

  • 이혜상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314-318
    • /
    • 1997
  • This study was conducted over eat-nut foods in Andong area to measure the salt concentration and to compare the result with the optimum gustation of salt concentration in usual die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Mean salt concentration of eat-nut foods was similar to the optimum salt concentration by sensory evaluation. 2. The salt intake through the menu was about twice of the recommended intake by Korean Food Research. 3. The foods with a large serving size contributed to the increase of salt intake, suggesting that the serving size needs to be adjusted. 4. It is recommended that the consumption of high salt foods needs to be reduced while increasing that of fresh fruit and vegetable in the diet behavior on eat-out foods.

  • PDF

산마늘 생즙의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y of Fresh Juice of Wild-Garlic, Allium victorialis L.)

  • 권정은;백운학;정인창;손호용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541-54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고급 산나물로 수요가 증가되고 있는 울릉도 산마늘의 생리활성을 확인하고, 이를 이용한 가공식품 개발을 위해 산마늘 생즙 및 열처리 생즙의 이화학적인 특성과 다양한 생리활성을 조사하였다. 산마늘은 우수한 영양성분을 가지며, 산마늘 생즙은 $4^{\circ}C$ 저장시 10일 이상 색차변화 없이 안정하게 유지되었다. 그러나 산마늘 생즙의 가열 처리시에는 brix, 환원당, total flavonoid의 변화는 미미한 반면, 총당은 25%, total polyphenol은 55% 감소하였으며, pH 감소와 함께 산도가 2배 증가되었다. 산마늘 생즙은 우수한 DPPH 소거능과 환원력을 나타내며 강력한 항균력을 나타내었으나, 가열처리된 산마늘 생즙은 미약한 환원력과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무처리 및 가열처리된 산마늘 생즙은 항혈전 활성과 $\alpha$-amylase 및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은 매우 미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산마늘이 우수한 항산화력 및 항균력을 가지며, 관련 활성성분은 휘발성, 또는 열에 약한 성분으로 추측되었다. 따라서 산마늘을 이용한 가공식품 개발은 비열 처리공정의 제품으로 제안한다.

국내 자생 엽채류 번행초의 우수 유전자원 기초 선발 (Preliminary screening of leafy vegetable New Zealand spinaches (Tetragonia tetragonioides) native to Korea)

  • 김인경;이가연;김성기;김병운;최원영;이긍주
    • 농업과학연구
    • /
    • 제39권4호
    • /
    • pp.515-523
    • /
    • 2012
  • Recent development and enlargement of reclaimed lands along the sea shores required to explore alternatives to existing crops, which are suitable to grow well and to declare higher profit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yield-related parameters for development of new leafy vegetables, and to screen some candidates among New Zealand spinach genotypes which were collected in Korea. Initially all the collected genotypes were grown for 7 weeks in a greenhouse of the experiment field i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and then transplanted into the field to measure morphological or physiological parameters (plant height, branch number, stem diameter, chlorophyll content, and maximum canopy diameter), and yield-related parameters (leaf number, leaf length, leaf width, fresh weight and dry weight). Those parameters were quantitatively measured at 1, 5 or 9 weeks after transplanting (WAT). Parameters exhibit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accessions were plant height, branch number, maximum canopy diameter, chlorophyll content, and leaf length. In contrast to highly correlated parameters with fresh and dry weight obtained in salt-affected soil in the earlier report, fresh weight was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leaf length (r=0.72), leaf width (r=0.64), and canopy diameter(r=0.66), while dry weight was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plant height (r=0.46), leaf length (r=0.72), leaf width (r=0.73), fresh weight (r=0.79), chlorophyll content (r=0.47), and canopy diameter (r=0.87). Based on th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yield parameters, the candidate accessions which were ranked in top statistical groups include CNU06A01, CNU06A13, CNU06A26, CNU06A35, CNU06A38, and CNU06A55. In order to be cultivated in reclaimed lands, it is necessary to screen out salt tolerant accessions among the above high-yielding genotypes.

무의 질소 시비량에 따른 생육량 추정 모델식 개발 (Prediction of Radish Growth as Affected by Nitrogen Fertilization for Spring Production)

  • 이상규;여경환;장윤아;이준구;남춘우;이희주;최장선;엄영철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1권5호
    • /
    • pp.531-537
    • /
    • 2013
  • 최근 30년 동안 우리나라의 평균온도와 겨울철 온도가 각각 $0.7^{\circ}C$$1.4^{\circ}C$가 상승하였고 지속적으로 상승할 것으로 예측된다. 무는 매우 중요한 작물로 온난화에 따른 생육 모델 연구는 중요하다. 본 실험은 기상 이변에 따른 무의 생육량을 추정하기 위하여 정식시기와 질소 시비량을 다르게 처리하여 시험하였다. 파종시기는 4월 24일부터 5월 22일까지 14일 간격으로 3회에 걸쳐 실시하였고, 질소 시비량은 표준시비량의 0.5, 1.0, 2.0배 수준으로 3처리를 하였다. 그 결과, 무 파종 후 2개월째 생육은 4월 24일 처리구가 5월 8일과 22일 처리구보다 지상부 생체중이 높게 나왔다. 수확량 예측을 위한 생육 모델식은 질소 시비량별 GDD에 따른 지하부 건물중은 0.5N 처리구에서는 Y = 84.66 / (1+exp (-(GDD - 790.7) / 122.3)) ($r^2$ = 0.92), 1.0N 처리는 Y = 100.6 / (1+exp (-(GDD - 824.8) / 112.8))($r^2$ = 0.92), 2.0N 처리는 Y = 117.7 / (1+exp (-(GDD - 877.7) / 148.5)) ($r^2$ = 0.94) 로 나타낼 수 있었다. 구축된 모델식에 생육데이터를 사용하여 검정한 결과를 보면 기울기가 1.05-1.12로 다소 높게 추정하였지만 모델식으로 적용하는 것에는 무리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봄무 생산량 예측 시 GDD를 사용하여 수확량을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설향' 딸기의 토경 육묘에서 칼슘 시비가 모주의 생장, 생리장해 발현, 및 자묘 발생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Ca Fertilization on the Growth and Appearance of Physiological Disorders in Mother Plants and Occurrence of Daughter Plants in Propagation of 'Seolhyang' Strawberry through Soil Cultivation)

  • 최종명;남민호;이희수;김대영;윤무경;고관달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0권6호
    • /
    • pp.657-663
    • /
    • 2012
  • 국내에서 육성된 '설향' 딸기에서 칼슘결핍 증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육묘 시 모주의 생육 저하, 자묘 채취량 감소 및 자묘 품질저하의 원인이 되어왔다. 따라서 단일 비료를 조합하여 K, Ca 및 Mg이 4:2:1의 비율이 되도록 조절한 비료 또는 상업용으로 시판되는 Azuro-Calma를 0.6dS ${\cdot}m^{-1}$ 또는 1.0dS ${\cdot}m^{-1}$로 조절하여 토양에 관주처리할 경우 모주 생육 및 자묘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정식 후 120일 동안 무처리구에 비해 모든 칼슘 비료 시비구에서 칼슘 결핍증상이 발현된 모주 수가 뚜렷하게 감소하였으며 본 연구의 조합비료보다 Azuro-Calma의 효과가 우수하였다. 무처리구에 비해 모든 칼슘 비료 시비구에서 모주의 생체중과 건물중이 무거웠다. 또한 두 종류 비료 모두 0.6dS ${\cdot}m^{-1}$ 처리보다 1.0dS ${\cdot}m^{-1}$로 시비 농도를 높일 경우 지상부 생장량이 많았고, 본 연구의 혼합 비료가 Azuro-Calma보다 지상부 생체중과 건물중 증가에 더 효과적이었다. 혼합비료 1.0dS ${\cdot}m^{-1}$ 처리에서 가장 긴 런너 길이를 보였고, Azuro-Calma 0.6dS ${\cdot}m^{-1}$ 처리는 무처리구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런너의 생체중과 건물중 역시 혼합비료 1.0dS ${\cdot}m^{-1}$ 처리에서 가장 무거웠으며 Azuro-Calma 1.0dS ${\cdot}m^{-1}$ 처리에서도 생육이 우수하였다. 무처리구보다 칼슘 시비구에서 자묘의 생체중이 더 무거웠지만 칼슘을 시비한 처리중에는 Azuro-Calma 0.6dS ${\cdot}m^{-1}$ 처리가 가장 가벼웠다. 이상과 같은 결과는 Ca와 Mg이 주요 구성 성분인 Azuro-Calma가 칼슘 결핍 증상을 감소시키기에는 더 효과적이지만 K:Ca:Mg의 비율을 조절하여 세 종류 비료를 동시에 시비하는 것이 칼슘 결핍증상 억제와 모주 및 자묘의 생장량 증가에 효과적이라고 판단한다.

수경재배 시 적산 일사량과 배지 수분 함량 복합 급액 제어에 의한 '설향' 딸기(Fragaria annanassa Dutch. cvs. 'Sulhyang')의 생육 및 품질 (Growth and Quality of the Strawberry (Fragaria annanassa Dutch. cvs. 'Sulhyang') as affected by Complex Nutrient Solution Supplying Control System using Integrated Solar Irradiance and Substrate Moisture Contents in Hydroponics)

  • 최수현;김소희;최경이;정호정;임미영;김대영;이선이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67-376
    • /
    • 2021
  • 우리나라 딸기 재배는 시설 재배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대부분 농가의 급액 관리는 재배자의 경험을 토대로 타이머 제어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타이머 급액 방법은 재배 환경, 작물의 생육 단계, 배지 수분 함량 등을 고려하기 어려워 작물을 최적 수준으로 관리하지 못하고, 급액 관리의 정확성이 결여되는 문제점이 있다. 적산 일사량과 배지 수분함량을 이용한 급액 방법은 작물의 생육 상태에 따라 정밀하게 양액을 공급하는 친환경적인 방법이다. 본 연구는 코이어배지를 이용한 딸기 수경재배에서 적산일사량과 배지 수분함량을 이용한 복합 급액 제어와 타이머 제어 급액 방법을 비교하고 복합 급액 제어 시 최적의 적산 일사량 기준을 설정하고자 수행하였다. 적산일사량 급액 방법은 외부 일사량을 기준으로 100, 150, 250J·cm-2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급액하며 배지 수분함량이 60% 미만이면 강제 급액하고, 1회 급액량은 50mL로 공급하였다. 타이머 제어는 대조구로 설정하였다. 급액을 개시하는 적산 일사량 기준이 작을수록 일일급액량이 많았으며 100J·cm-2 기준 급액 시 급액량은 250J·cm-2 처리구 대비 46% 많았다. 지상부 생체중과 건물중 모두 복합 급액 제어 방법이 타이머 제어보다 높았으며, 100, 150J·cm-2 처리구에서 지상부 생체중이 높았고 100J·cm-2 처리구에서 건물중이 유의하게 높은 값을 나타냈다. 수량 또한 타이머 제어 방법보다 복합 제어 방법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며 적산 일사량 기준이 작을수록 초기 수량이 증가하였다. 평균 과중은 타이머 제어 급액 시 가장 낮았다. 본 연구 결과 딸기의 정밀 급액 관리를 위하여 적산 일사량과 배지 수분 함량 센서를 이용한 복합 제어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