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equency modulation

검색결과 1,904건 처리시간 0.027초

Pituitary Adenylate Cyclase-activating Polypeptide Inhibits Pacemaker Activity of Colonic Interstitial Cells of Cajal

  • Wu, Mei Jin;Kee, Keun Hong;Na, Jisun;Kim, Seok Won;Bae, Youin;Shin, Dong Hoon;Choi, Seok;Jun, Jae Yeoul;Jeong, Han-Seong;Park, Jong-Seong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9권5호
    • /
    • pp.435-440
    • /
    • 2015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ituitary adenylate cyclase-activating peptide (PACAP) on the pacemaker activity of interstitial cells of Cajal (ICC) in mouse colon and to identify the underlying mechanisms of PACAP action. Spontaneous pacemaker activity of colonic ICC and the effects of PACAP were studied using electrophysiological recordings. Exogenously applied PACAP induced hyperpolarization of the cell membrane and inhibited pacemaker frequency in a dose-dependent manner (from 0.1 nM to 100 nM). To investigate cyclic AMP (cAMP) involvement in the effects of PACAP on ICC, SQ-22536 (an inhibitor of adenylate cyclase) and cell-permeable 8-bromo-cAMP were used. SQ-22536 decreased the frequency of pacemaker potentials, and cell-permeable 8-bromo-cAMP increased the frequency of pacemaker potentials. The effects of SQ-22536 on pacemaker potential frequency and membrane hyperpolarization were rescued by co-treatment with glibenclamide (an ATP-sensitive $K^+$ channel blocker). However, neither $N^G$-nitro-L-arginine methyl ester (L-NAME, a competitive inhibitor of NO synthase) nor 1H-[1,2,4]oxadiazolo[4,3-${\alpha}$]quinoxalin-1-one (ODQ, an inhibitor of guanylate cyclase) had any effect on PACAP-induced activity. In conclusion, this study describes the effects of PACAP on ICC in the mouse colon. PACAP inhibited the pacemaker activity of ICC by acting through ATP-sensitive $K^+$ channels. These results provide evidence of a physiological role for PACAP in regulating gastrointestinal (GI) motility through the modulation of ICC activity.

Electroencephalographic brain frequency in athletes differs during visualization of a state of rest versus a state of exercise performance: a pilot study

  • Berk, Lee;Mali, Deeti;Bains, Gurinder;Madane, Bhagwant;Bradburn, Jessica;Acharya, Ruchi;Kumar, Ranjani;Juneja, Savleen;Desai, Nikita;Lee, Jinhyun;Lohman, Everett
    • Physical Therapy Rehabilitation Science
    • /
    • 제4권1호
    • /
    • pp.28-31
    • /
    • 2015
  • Objective: Psychomotor imagery has been widely used to improve motor performance and motor learning. Recent research suggests that during visualization, changes occur in neurophysiological networks that make physical practice more effective in configuring functional networks for skillful behaviors. The aim of our pilot study was to determine if there was change and to what extent there was differentiation in modulation in electroencephalography (EEG) frequencies between visualizing a state of rest and a state of exercise performance and to identify the preponderant frequency. Design: Quasi-experimental design uncontrolled before and after study. Methods: EEG brain wave activity was recorded from 0-40 Hz from nine cerebral cortical scalp regions F3, Fz, F4, C3, Cz, C4, P3, POz, and P4 with a wireless telemetric EEG system. The subjects, while sitting on a chair with eyes closed, were asked to visualize themselves in a state of routine rest/relaxation and after a period of time in a state of their routine exercise performance. Results: The gamma frequency, 31-40 Hz, (${\gamma}$) was the predominant wave band in differentiation between visualizing a state of rest versus visualizing a state of exercise performance. Conclusions: We suggest these preliminarily findings show the EEG electrocortical activity for athletes is differentially modulated during visualization of exercise performance in comparison to rest with a predominant ${\gamma}$ wave band frequency observed during the state of exercise. Further controlled experimental studies will be performed to elaborate these observations and delineate the significance to optimization of psychomotor exercise performance.

주파수 선택성 페이딩 환경하에서 $\frac{\pi}{4}$ shift QPSK 변조방식에 대한 다중파의 시간지역 검출법 제안 (A Multipath Delay Time Detection Method For $\frac{\pi}{4}$ Shift QPSK Modulation Under The Frequency Selective Fading Environment)

  • 조병진;김대영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941-950
    • /
    • 1991
  • 디지털 이동통신 전송로에 있어서 고속통신을 위한 시스템의 성능은 다중파 지연분산에 의해 크게 좌우된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 디지털 자동차 전화의 변복조방식으로 채택된 $\pi/4$ shift QPSK에 대해, 간이 다중파 지연시간 검출방법으로써 직교채널간섭량 (CCI)을 이용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pi/4$ shift QPSK신호는 원래 직교 채널에 정보를 갖고있기 때문에 BPSK변조방식처럼 Quadrature채널에서 간섭량을 얻기 위하여 주파수 체배기와 지연전파 방식을 제안하였다. 또한 다중파 전파환경하에서, 격렬하게 변하는 직교채널 간섭량으로 부터 정보를 얻는 방법으로서 절대치평균과 실효치 평균을 취하는 방법을 제안하였으며, 아울러 자연분산과 직교채널 간섭량과의 관계도 조사하였다. 이론적인 결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준정적인 2파 모델과 Rayleigh분포 2파모델하에서 computer simulation을 수행하였다. simulation결과 좋은 결과가 얻어졌으나. 본방식은 송신 대역제한에 어느정도 민감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H/W실현시 주요부분인 주파수 체배기에 대한 H/W구성 방안도 제안하였다.

  • PDF

테라헤르츠 대역 주파수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 응용을 위한 채널 모델 및 무선 링크 성능 분석 (Channel Model and Wireless Link Performance Analysis for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pplications in the Terahertz Frequency)

  • 정태진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0권9호
    • /
    • pp.868-882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현재 주목을 받고 있는 테라헤르츠 대역의 주파수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 응용을 위한 채널 모델과 무선 링크의 성능 분석에 대하여 서술한다. 10 Gbps 이상의 전송 속도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주파수 대역폭이 기존의 밀리미터파에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폭보다 더 넓은 대역폭이 필요하며, 이 대역폭을 얻기 위해서는 테라헤르츠 주파수 대역으로 자연적으로 옮겨가지 않을 수 없다. ITU-R P.676-7 모델을 이용하여 테라헤르츠 대역의 대기 전파 감쇠 특성 분석 결과, 중심 주파수 220, 300, 350 GHz에서 약 68, 48, 45 GHz의 주파수 대역폭이 가용하며, 스펙트럼 효율이 1 이하인 변조 방식으로도 10 Gbps 이상의 데이터 속도를 얻을 수 있음을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간략화 PDP 모델을 이용하여 실내 공간의 건물 재질에 따른 지연 특성을 분석하였다. 실내 공간의 크기 $6\;m(L){\times}5\;m(W){\times}2.5\;m(H)$에서 콘크리트 벽의 경우 TE 편파에서 RMS 지연 확산은 9.23 ns였다. 이 결과는 참고문헌의 Ray-Tracing 시뮬레이션에서 얻은 10 ns 이내에 근접한다. 옥내 무선 링크 성능 분석 결과, 수신기의 감도는 BPSK 변조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대역폭 $5{\sim}50\;GHz$에 대하여 $-56{\sim}-46\;dBm$이고, 안테나 이득은 10 m 링크에서 $26.6{\sim}31.6\;dBi$였다. AWGN 채널과 LOS 환경을 가정할 때 송신기 출력 -15dBm에서 캐리어 주파수 220, 300, 350 GHz일 때 최대 달성 가능한 데이터 속도는 각각 30, 16, 12 Gbps였다. 이 결과는 BPSK 변조 방식을 사용하여 1 m 링크에서 얻은 결과이다. BER은 $10^{-12}$으로 가정하였고, 송신기 출력을 증가시키면 더욱 높은 데이터 속도를 얻을 수 있다.

휴대무선인터넷 RF 하향 변환기 설계 및 제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Wireless Broadband Internet RF Down Converter Design and Production)

  • 이창희;원영진;이종용;이상훈;이원석;나극환
    • 전자공학회논문지 IE
    • /
    • 제45권1호
    • /
    • pp.31-37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2.3GHz 주파수대역의 휴대무선인터넷 하향 주파수 변환기를 설계 및 제작하였다. 수신기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의 최소화 목적으로 저잡음 증폭기(Low Noise Amplifier)를 부가하게 되었다. 또한, 2.3GHz 대역이 75MHz로 하향 과정에서 손실을 최소화하고, 변환 효율을 높이고, 안정적인 특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우수한 주파수 특성을 가진 소자를 사용하였다. 휴대무선인터넷 중계기는 TDMA(Tim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RF 스위치가 사용되었다. 제작 사양인, 입력전압 +8V 에서 1.2A의 전류를 소비, 60dB의 이득과 2.5dB 이하의 잡음지수, 입출력 전압정재파비(Voltage Standing Wave Ratio) 1.5이하, 혼변조 왜곡(Inter Modulation Distortion) 60dB 이상을 만족하였다. 환경 조건($-20^{\circ}C{\sim}70^{\circ}C$)에서 장시간의 신뢰성 시험을 통과하여, 제작된 휴대무선인터넷 RF 하향 변환기는 휴대무선인터넷 중계기에 적용 가능하다.

연속성 충격소음의 인지에 관여하는 영향인자 (Factors affecting recognition of successive impulsive noise)

  • 이재원;신성환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02-207
    • /
    • 2016
  • 자동차나 가전제품에서 발생하는 소음의 대부분은 연속성 충격소음을 동반한다. 인간 청각은 반복적 충격소음에 대하여 그 반복 주기에 따라 독립된 충격음의 집합 또는 이어진 음으로 느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속성 충격소음의 인지에 관여하는 영향인자를 파악하고, 연속성 충격소음을 표현하기에 가장 적합한 음질분석 방법을 찾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연속성 충격신호를 설계하고, 연속성 충격소음이 충격음 특성을 나타내는 조건을 탐색하는 청음평가를 수행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청음평가 결과를 라우드니스, 변동강도, 러프니스 방법으로 분석하고 비교하였다. 결과적으로 연속성 충격소음은 50 Hz보다 낮은 반복주기를 가질 때부터 충격음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음질인자 중 변동강도와 러프니스 값은 연속성 충격소음의 진폭변조특성에 크게 의존하기 때문에 연속성 충격소음을 표현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반면에 라우드니스 값은 연속성 충격소음의 진폭변조특성에 의존하지 않으며, 라우드니스 변화 역치로서 평가인자 개발에 효용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디지털 초협대역 단말기용 CFL 선형화 칩 설계 (Design of CFL Linearisation Chip for the Mobile Radio Using Ultra-Narrowband Digital Modulation)

  • 정영준;강민수;유성진;정태진;오승엽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671-680
    • /
    • 2005
  • CQPSK(Compatible QPSK) 디지털 변조 기술을 이용하는 초협대역 단말기용 송신기에 가장 핵심적인 부품들 중의 하나인 카테지안 궤환 루프(CFL: Cartesian Feedback Loop) 선형화 칩을 $0.35{\mu}m$ CMOS 기술을 이용하여 설계 및 제작하였다. 직접 변환 방식 및 CFL칩을 이용하여 요구되는 부품 수를 줄임에 의하여 송신기의 저비용 및 소형화가 가능하고, 이를 통하여 송신 전력 효율 및 선형성을 향상시켰다. 또한 CMOS기술을 통하여 저전력 구동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송신 성능 시험 결과 PEP 37 dBm(5 W)의 출력 전력에서 CFL 칩을 구동하여 -25 dBc의 상호 변조 왜곡(@ 3 kHz주파수 오프셋) 개선을 통하여 FCC 47 CFR 90.210 E에 정의된 방사 마스크 규격을 만족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언급된 송신 특성 개선에 가장 영 향을 미치는 성분들인 DC-offset 성분, 궤환 루프에서 발생하는 왜곡 성분을 보상하기 위한 루프 이득 및 위상 값들을 조정할 수 있도록 컴퓨터와의 외부 인터페이스를 구현하여 소프트웨어적으로 이러한 값들을 제어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화 하였다.

이동형 디지털 X선 촬영장치의 구축 및 성능평가 (Construction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Digital Radiographic System)

  • 조효민;남소라;이창래;정지영;김희중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8권3호
    • /
    • pp.144-148
    • /
    • 2007
  • 최근 국내에서는 원거리에 있는 응급환자에 대한 원격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형 응급 의료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응급구조 차에 탑재 할 수 있는 이동형 디지털 X선 촬영 장치를 구축하고 시스템으로부터 획득한 영상에 대하여 영상 성능평가의 주요인자인 MTF (modulation transfer function), NPS (noise power spectrum) 및 DQE (detective quantum efficiency)를 정량화함으로써 응급상황 시 임상적으로 효용성 있는 영상의 획득 가능성을 평가하는 것이었다. 이동형 X선 장치(Mobix-1000; LISTEM, Wonju, Korea)와 디지털 X선 detector 시스템 (Alpha-R4000; Teleoptic PRA, Kyiv, Ukraine)으로 구축된 영상시스템에 대하여 성능평가를 수행하였다. 측정결과로 10% MTF는 2.4 cycles/mm를 나타내었고, DQE (0)는 조건선량 0.19, 0.5 그리고 1.3 mR에 따라 각각 54%, 55%, 그리고 76%로 측정되었다. 본 연구에서 획득한 영상평가 결과는 연구 중인 이동형 디지털 X선 촬영 장치의 응급 원격 의료에의 사용가치를 확인 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선형시스템 전달이론을 이용한 간접변환방식 디지털 래디오그라피 디텍터의 신호 및 잡음 분석 (Signal and Noise Analysis of Indirect-Conversion Digital Radiography Detectors Using Linear-systems Transfer Theory)

  • 윤승만;임창휘;한종철;조옥라;김정민;김호경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21권3호
    • /
    • pp.261-273
    • /
    • 2010
  • 간접변환방식 CMOS (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 엑스레이 디텍터 시스템의 성능 분석 및 개선을 위하여 공간주파수에 따른 DQE (detective quantum efficiency)를 모델링 하였다. 모델의 검증을 위하여 마모그라피 W/Al 선질에 대한 modulation-transfer function (MTF), noise-power spectrum (NPS)를 측정하고 이로부터 DQE를 계산하였으며, 모델과 측정된 DQE는 전체 공간주파수 영역에서 서로 잘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검증된 모델을 이용하여 형광스크린 양자효율 및 MTF, Swank 잡음, 포토다이오드 양자효율 등 CMOS 디텍터 시스템의 DQE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디자인 파라미터의 역할을 살펴보았다. 엑스레이 디텍터 시스템의 신호 및 잡음 분석에 대해 이와 같은 선형시스템 전달을 이용한 이론적인 접근법은 이미 개발된 의료영상시스템을 이해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일 뿐만 아니라 새로운 디텍터 개발 및 최적화를 위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턱의 운동이 이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emporomandibular joint movement on tinnitus)

  • 김정모;김태수;남의철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8권4호
    • /
    • pp.333-338
    • /
    • 2013
  • Purpose: 특정한 형태의 이명은 그 발생에 있어서 청각계와 체성감각계의 상호작용이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을 시사하는 증거들이 지속적으로 연구되어 발표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턱의 운동이 이명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계획되었다. Methods: 163명 이명 환자의 217귀를 대상으로 순음청력검사, 이명의 특성에 대한 설문조사, 이명의 크기, 지속시간 및 괴로운 정도에 대한 시각사상척도(visual analogue scale) 조사와 함께 9 항목의 턱관절의 등척성 운동에 따른 이명의 크기 변화를 조사하는 이명의 체성조절 검사를 시행하였다. Results: 체성조절 검사를 시행한 이명 환자의 217귀 중 125귀(57.6 %)에서 이명의 크기가 변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일측성 이명 109귀중 70귀(64.2%)에서 체성조절에 반응하여 양측성 이명 108귀중 55귀(50.9%)의 반응보다 유의하게 높은 빈도를 보였다(p<0.05). 검사 항목 모두에서 이명의 크기 증가가 감소보다 더 자주 관찰되었고, 크기 증가의 빈도는 6.7-15.4%로 개구 및 이악물기 항목에서 가장 자주 이명의 크기 증가가 유발되었다. Conclusion: 본 연구 결과, 턱의 운동은 이명을 악화 혹은 유발시킬 수 있으며, 체성조절 검사는 턱 관절의 자극이 이명의 유발 및 악화요인 인가를 평가하는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