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ee play context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5초

상호작용맥락에 따른 어머니와 유아의 상호작용 전략 : 자유놀이와 과제해결 맥락을 중심으로 (The Interaction Strategies of Mothers and Their Children in the Contexts of Free Play and Joint Problem Solving)

  • 이기숙;김희진;박은혜
    • 아동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3-48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if mothers and their children used different interaction strategies depending on the interacting contexts. Sixty-five mothers and their children were observed while they interacted with each other in two contexts, that is, a free play context and a joint problem solving context.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first, the mothers' strategies and their children's strategies were closely related. When the mothers used positive strategies, their children also responded with positive strategies. In contrast, when the mothers used negative strategies, their children also tended to use negative strategies. Second, the contexts which the mothers and their children interacted affected the strategies that the mothers and their children used. The mothers and the children were more likely to use positive strategies in the context of free play than in the context of the joint problem solving. This result points out the importance of free play as the context of producing a positive atmosphere where the mothers and their children interacted positively and had a good time.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and implications for parents were provided.

  • PDF

보육과정에서의 자유놀이 현황과 교사의 놀이인식 (Free Play Activities in the Curricula of Childcare Centers and Teachers' Perceptions of Play)

  • 임효신;나종혜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27-36
    • /
    • 2011
  • This study dealt with free play activities in the curricula of childcare centers in Daejeon area. 29 teachers from 21 day care centers were interviewed individually to obtain an understanding of teachers perceptions and conflicting views about play activity in the context of different day care curricula. The data were analysed qualitatively, using categorization and key word classification, frequency analyses and chi-squared tes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play-oriented curricula included sufficient play time and planned play activities in terms of the children's development. Children's freedom in play, optimum intercession by teachers, and interrelating activities between activity areas were included. In mixed curricula, children's freedoms were limited in many cases, and interrelating play between activity areas was hardly found. Formal lesson-oriented curricula resulted unplanned play activities and teachers' passive intercession of play. (2) Most teachers believed that play activities were more important to a child's development than formal lessons.

The Role of Non-Negotiated Input and Output: A Case Study of L2 Development via Web Chat

  • Hahn, Hye-Ryeong
    • 영어어문교육
    • /
    • 제17권4호
    • /
    • pp.49-74
    • /
    • 2011
  • The present paper aims to explore the role of non-negotiated input and output in language acquisition in the context of free Web chat. In order to examine how input and output contribute to language acquisition, with or without meaning negotiation, the present study examined a Korean EFL learner's chat data collected over 6 months. Chat texts across 43 chat sessions were analyzed, along with her comment notes and interviews. The input and output negotiated for meaning were traced throughout all sessions to find evidence that they were linked to acquisition. Other input and output in the interaction were also traced to ascertain if they contributed to acquisition. The chat text analysis, comment notes, and the interviews revealed that the opportunities of meaning negotiation in a free Web chat context was quite limited and that the learner acquired language even in the absence of meaning negotiat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input and output via Web chat, whether negotiated or non-negotiated, play their respective roles, contributing to different aspects of acquisition.

  • PDF

온라인게임의 게임통화 관리모델 연구 (A Study of Game Money Control in Online Games)

  • 신정엽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5-18
    • /
    • 2013
  • 온라인 게임에서 게임통화의 순환과 관리는 단지 게임 내의 경제 밸런스 유지뿐만 아니라 상용화 게임으로서의 성공 여부를 판가름 짓는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그리고 게임 머니의 발생과 흐름은 게임의 컨텐츠와 재미요소, 기획과 레벨 디자인이라는 요소들과도 밀접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맥락에서 온라인 게임 경제, 특히 게임 통화관리라는 주제에 대해 이론적이고 실무적인 분석을 통해 다각적인 방향으로 접근을 시도했고 그것이 상용화 정책과 매출에 미치는 연관성에 대해서도 살펴보고 있다. 아울러 본 논문은 향후 '게임통화 관리모델'에 대한 다양한 연구와 접근방법의 유용한 토대로서 기여하고자 하며 게임제작과 관리운영에 실리적으로 활용가능한 연구결과를 이끌어 내고자 했다.

보육교사에 대한 만 2세 영아의 애착 안정성과 또래놀이 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f 2-year-old Infants' Attachment Security to a Child Care Teacher and Peer Play Process)

  • 신동주;김소영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25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에 대한 만 2세 영아의 애착 안정성과 또래놀이 과정을 사례 연구를 통해 탐구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가정 어린이집을 다니는 4명의 만 2세 영아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참여한 영아들은 애착 Q-set를 통해 측정한 보육교사에 대한 애착 안정성에서 안정애착과 불안정애착을 형성한 영아 각각 2명이었다. 본 연구는 2018년 4월 12일부터 7월 19일까지 36회에 걸쳐 자유선택활동 시간에 참여관찰을 하였다. 비디오 촬영 전사본, 교사 면담 전사본, 보육계획안, 현장 일지 등이 분석과 해석에 활용되었다. 보육교사에 대한 영아의 애착 안정성과 또래놀이를 놀이의 흐름에 따라 시작 전개 마무리 과정으로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또래놀이의 시작에서 영아가 또래를 놀이에 초대할 때, 안정애착영아는 적합한 놀이 파트너를 선정 하거나 구체적인 놀이 행동을 요구하지만 불안정애착영아는 즉흥적으로 놀이 파트너를 선정하거나 불분명하고 미숙하게 또래를 놀이에 초대하며 서로 다른 모습을 보여주고 있었다. 또한 또래가 진행 중인 놀이에 들어가기에서 안정애착영아는 놀이 맥락을 파악하지만, 불안정애착영아는 놀이 맥락에 대한 파악 없이 진행 중인 놀이에 들어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개에서 안정애착영아는 상호보완적으로 협조를 하고 놀잇감을 공유하며 놀이를 진행하였지만, 불안정애착영아는 협조를 하기 보다는 자신의 의사만 표현하고 또래와 놀잇감을 공유하는 것을 어려워할 뿐 아니라 또래갈등이 빈번히 발생함에 따라 보육교사의 중재를 필요로 하였다. 또래놀이의 마무리에서 안정애착영아는 또래와 공동의 끝맺음을 보였으나, 불안정애착영아는 또래와 함께 마무리를 하지 못하고 또래와의 갈등으로 인해 또래놀이가 단절되거나 보육교사와의 놀이로 변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보육교사에 대한 만 2세 영아의 애착 안정성과 또래놀이의 관계에 대한 이해를 도움으로써 보육교사의 역할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종단간 상이한 QoS를 갖는 멀티미디어 연출 재생을 위한 CFG 기반의 변환 경로 생성 알고리즘 (A Context Free Grammar based Algorithm for Generating Playable Transcoding Paths of the Multimedia Presentation with Different End-to-End QoS)

  • 전성미;임영환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9C권5호
    • /
    • pp.699-708
    • /
    • 2002
  • 멀티미디어 연출을 재생하는 단말기나 통신망이 다양해짐에 따라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근원지의 데이터 서비스 품질과 재생하는 목적지의 서비스 품질이 다른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연출을 재생하기 위해서 근원지의 데이터를 목적지에서 요구하는 재생 서비스 품질에 맞추어 변환하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다. 문제는 하나의 멀티미디어 연출 프로그램이라도 그것이 재생되는 단말기나 통신망의 환경에 따라 변환 경로가 달라져야 한다는 점이다. 즉 고정된 변환 경로를 사용할 수 없고 재생되는 단말기나 통신망이 정해지면 그에 맞는 변환 경로를 다시 생성해야 한다는 점이다. 본 논문은 주어진 변환 자원과 통신망을 고려하여 근원지 데이터를 목적지에서 요구하는 재생 서비스 품질에 맞게 변환하는 경로를 찾는 알고리즘과 그 경로가 목적지에서 요구하는 서비스 품질에 맞게 재생 가능한지를 검사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본 논문이 제시한 변환 경로를 생성하는 알고리즘은 변환 자원과 변환 규칙을 문맥 자유 문법(Context Free Grammar)으로 기술 할 수 있도록 함으로 변환 경로를 컴파일러 기법을 이용하여 생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재생 가능성을 검사하기 위하여 변환 과정에서 소요되는 시간과 지연 등을 계산하는 방법과 요구하는 시간 내에 이루어 질 수 있는지 검사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방식을 실험실에서 개발한 Transcore라는 멀티미디어 스트림 엔진과 VIP라고 하는 저작도구에 구현하였고 간단한 시나리오에 적용한 결과를 마지막으로 기술하였다.

유치원 아동과 어머니의 아동도서 접근관점의 관계성에 대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kindergarten children's reading stances and responses with relation to those of their mothers)

  • 권민균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79-94
    • /
    • 1998
  • The case study describes kindergarten children's reading stances and responses with relation to those of their mothers'. Rosenbaltt's theory (1978) of aesthetic and efferent stances in used to characteri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ader and the text. mother's reading stances are examined by observing each case study child's reading experience with his/her mother at home. In most cases differences in some children's preferred stances seemed to reflect differences in their mothers' stances. As a result, children took a different type of stance from the teacher's efferent stance and were perceived by the teacher to be slower with regard to literacy development, even though they had formed their own reading worlds. Interestingly enough, children with an aesthetic reading stance were welcomed among their peers during free play time. In contrast, children who took a stance congruent with the teacher's efferent stnace were perceived by the teacher to be on the right track with regard to literacy development, although their reading worlds seened to be limited. Interestingly, the children with efferent reading stances were not engaged in collaborative meaning negotiation processes with peers. The case study children with mothers who did not take an extreme type of stance, I.e., neither a very efferent nor a very aesthetic stance, seemed to choose a type of stance depending on a context.

  • PDF

어린이집 1세반 영아와 그림책의 만남: 내부작용을 통한 의미생성의 관점에서 (The Encounter between Infants in a 1-Year-Old Daycare Class and Picture Books: From the Perspective of Meaning-making through Intra-action)

  • 이승연;김유미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59-81
    • /
    • 2024
  •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intra-action between infants and picture book reading in a daycare setting, aiming to gain new insight into infants' reading experiences.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12 infants from the Bluebird Class (1-year-old) at A Daycare Center. To comprehensively examine the context and flow of the infants' experiences, participant observation was conducted during free play sessions, held three to five times a week, in the morning, from December 19, 2022, to February 17, 2023. Results: Firstly, infants engaged in the intra-action with symbols such as text, images, lines, colors, and latent narratives in picture books, spontaneously encountering meaning-making. Secondly, they explored the potential of materials such as their own bodies, the dacare classroom environment, and blocks, creating narratives through the process of 'becoming'. Thirdly, infants generated shared experiences by creating interactions within their relationships with others in the daycare class.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highlights a shift in perspective, recognizing infants as active readers who construct their own understanding. Additionally, it underscores the significance of cultivating an infant-centered environment and the meaningful role of teachers in supporting and facilitating such an environment.

Clinicohematological parameters and outcomes in a cohort of chronic lymphocytic leukemia patients with Deletion 17p from Pakistan

  • Mahmood, Rafia;Khan, Saleem Ahmed;Altaf, Chaudhry;Malik, Hamid Saeed;Khadim, Muhammad Tahir
    • BLOOD RESEARCH
    • /
    • 제53권4호
    • /
    • pp.276-280
    • /
    • 2018
  • Background Chronic lymphocytic leukemia (CLL) exhibits profound heterogeneity in its clinical course. Its clinicohematological and cytogenetic features play a significant role in determining the clinical course and in predicting the treatment response and prognosis. In this context, 17p deletion is known to predict a poor prognosis, as these cases are refractory to conventional therapy.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clinicohematological characteristics, outcomes, and prognostic factors among CLL patients with and without del 17p in Pakistan. Methods This p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was conducted at the Department of Haematology, Armed Forces Institute of Pathology (Rawalpindi, Pakistan) between January 2013 and December 2017. Patients were diagnosed based on the International Workshop on Chronic Lymphocytic Leukaemia IWCLL criteria, their clinicohematological parameters were recorded, and cytogenetic analyses were performed. The time from diagnosis to treatment and the 2-year overall survival rate were also evaluated. Results We evaluated 130 CLL cases, including 24 patients (18.5%) with del 17p, who included 18 men (75%) and 6 women (25%). The median age was 68 years. Binet stage C was detected at the presentation in 16 patients (67%). Treatment was administered to 14 patients (70%) at a median interval of 11 months (range, 0-28 mo) after diagnosis. The overall response rate was 64.3%, the median event-free survival was 9 months (range, 1-23 mo), and the 2-year overall survival rate was 65%. Conclusion Del 17p is relatively common in Pakistan, and patients harboring this deletion had poor treatment response and survival outcomes.

동영상 광고에서 나타나는 '소격화' 효과에 관한 연구 - 광고 <017-I-Touch편 (손이 물갈퀴) >를 중심으로 -관어영시광고중소출현적‘맥생화’효과적연구(關於影視廣告中所出現的‘陌生化’效果的硏究) (A Study on 'Verfremdung' effects in visual advertisements with a special reference to the <017-I-Touch series, The Hand Transformed into a Web >, mobile network advertisement)

  • 김일용;안상수;김종덕
    • 디자인학연구
    • /
    • 제18권2호
    • /
    • pp.37-46
    • /
    • 2005
  • 오늘날 광고는 영상광고가 지배한다. 특히 동영상 광고는 광고의 여러 가지 형태 가운데 전달하려고 하는 정보를 가장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매체로서, 멀티 미디어의의 효과로 생동감 있는 화면을 전달하며 대중들의 소비심리를 자극하고 촉진시킨다. 최근의 몇몇 동영상 광고에서도 '소격화' 효과가 두드러짐을 볼 수 있다. '소격화'는 브레히트의 서사극에서 중요한 표현으로 사용되었던 용어이다. 이것은 전통 희곡과는 다르게 관객들에게 감정이입이 아니라, 오히려 감정을 차단시키는 효과를 가져옴으로써 연극에 몰입되지 않고 관람자로서 자신의 위치를 깨닫게 되며 연극에 대한 비판의식을 가지게 된다. 그 효과들은 '낯설게 하기 '관객의 참여' '현실의 비판' '속도'의 표현을 통하여 나타나고 있다. <017-I-Touch편 (손이 물갈퀴) >는 이동 통신사인 신세기 통신의 아이터치 브랜드의 광고로서 '내 혈액형은 i' 라는 카피를 내세운다. 여기서 현실에서는 있을 수 없는 허구의 영상이 나타나는데 편의상 여섯 개의 장면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배경으로 등장하는 바다는 전체 장면을 유도하고 있지만 하나의 내용으로 일관성 있는 장면의 진행이 아이라 각각 독립된 장면으로서, 서로 낯설게 하는 '소격화'된 내용들이 뒤섞여 있음을 볼 수 있다. 소비자들은 이러한 순간적인 '소격화'의 효과와 함께 후기모더니즘 광고의 언어적 표현을 더 깨닫게 한다. 장면과 장면 '사이의 '차이'에 의한 '소격화'는 서로 거리를 두게 하고, 각 장면 사이의 생략으로 인한 광고는 '속도감' 있게 연출된다. 광고에서 관객은 처음에는 전체적으로 한 번에 이해되지 않는 파편처럼 보이는 내용들에 대해 당혹감을 느끼게 된다. 이러한 당혹감과 충격은 관객들의 뇌리에 오래 남아 광고 자체가 큰 주목을 끄는 효과를 가져오게 한다. 짧고 강렬한, 그러나 파편화된 장면으로 구성된 동영상 광고에 반복적으로 노출되는 관객은 곧 이러한 당혹감을 극복하고 각각 장면의 단절된 부분에 적극적으로 자신의 상상력을 개입시켜 이를 이해 가능한 내용으로 구성하려는 능동적인 시도를 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브랜드 이미지를 소비자에 각인시키려는 광고의 목적이 달성되는 것이다. 이는 연극에서 관객들의 이성을 환기시켜 객관적이고 비판적인 의식을 환기시키는 브레히트의 '소격화'의 효과가 소비자의 관심을 환기시켜 특정한 목적을 달성하려는 광고에 효율적으로 적용된 예 인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