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ree Play Activities in the Curricula of Childcare Centers and Teachers' Perceptions of Play

보육과정에서의 자유놀이 현황과 교사의 놀이인식

  • Received : 2010.04.30
  • Accepted : 2010.12.01
  • Published : 2011.02.28

Abstract

This study dealt with free play activities in the curricula of childcare centers in Daejeon area. 29 teachers from 21 day care centers were interviewed individually to obtain an understanding of teachers perceptions and conflicting views about play activity in the context of different day care curricula. The data were analysed qualitatively, using categorization and key word classification, frequency analyses and chi-squared tes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play-oriented curricula included sufficient play time and planned play activities in terms of the children's development. Children's freedom in play, optimum intercession by teachers, and interrelating activities between activity areas were included. In mixed curricula, children's freedoms were limited in many cases, and interrelating play between activity areas was hardly found. Formal lesson-oriented curricula resulted unplanned play activities and teachers' passive intercession of play. (2) Most teachers believed that play activities were more important to a child's development than formal lessons.

Keywords

References

  1. 김상은(1995). 유치원의 자유선택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운영현황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소양(1989). 유치원 교사, 부모, 유아의 놀이인식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현숙(1982). 유치원의 자유놀이 활동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희정(1998). 어린이집 교사와 부모의 놀이인식 조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나은숙(2002). 유아교육과정의 재 개념주의적 관점에서의 자유놀이: 포스트모더니즘을 중심으로.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박은아(2003). 유아놀이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태도.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보건복지부(2008). 보육통계. 서울: 보건복지부.
  8. 서민희, 안선희(2001). 자유선택활동시간에 대한 유치원교사의 인식과 운영실태에 관한 연구. 생활과학논집, 5(1). 71-77.
  9. 서현아, 권말순(2007). 유치원 자유선택활동시간에 나타난 교사의 놀이개입 유형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2(2), 227-248.
  10. 송혜린(2004). 어린이집의 질적 수준 및 교사의 놀이참여와 아동의 놀이행동 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신유림, 김선영, 김숙이, 나종혜, 문혁준, 박진옥 외(2007). 놀이지도. 서울: 창지사
  12. 신은수, 김명순, 신동주, 이종희, 최석란(2002). 놀이와 유아.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3. 신은희(1991). 놀이에 대한 교사의 사고체계와 실제 행동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양옥승(2002). 유아교육과정의 재개념화: 포스트모더니즘적 관점에서 유치원의 자유놀이에 대한 이해. 교육과정연구, 20(1), 53-73.
  15. 엄정애(2001). 놀이와 유아교육: 그 조화의 방향에 대한 탐색. 열린유아교육연구, 5(3), 1-25.
  16. 엄정애(2004). 놀이와 교육과정 연계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과 현황. 유아교육연구, 24(1), 145-164.
  17. 이기숙(2001). 유아교육과정. 서울: 교문사.
  18. 이은화, 배소연, 조부경(2000). 유아교사론. 서울: 양서원.
  19. 이정화, 정선아, 이명조(2003). 사립유치원의 특별활동 실태와 문제점.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0(2), 85-118.
  20. 이정환(1993). 유아교육의 교수학습방법. 서울: 교문사.
  21. 통계청(2005). 사회통계조사보고서. 대전: 통계청.
  22. 황혜현(2000). 유치원 자유활동 시간에 교사의 흥미영역별 개입빈도 및 유형.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Cemore, J. J.(2005). What is make-believe play? Preschool teachers' perspectiv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Iowa State University, Ames, USA.
  24. Chang, P.(2001). Taiwanese kindergartner's play and artistic representations: Differences between two classrooms and relationships to parents' and teachers' beliefs about educ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State College, USA.
  25. Cheng, S.(2000). A Teacher's understandings and practices regarding children's play in a Taiwanese kindergart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Texas, Austin, USA.
  26. Johnson, J. E., Christie, J. F., & Yawkey, T. D.(1999). Play and Early Childhood Development(2nd ed.). New York: Longman.
  27. Rothlein, L., & Brett, A.(1987), "Children's, Teachers', and Parents' Perceptions of Play",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 47-53.

Cited by

  1. 자유선택활동의 의미와 교사의 역할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vol.11, pp.1, 2011, https://doi.org/10.14698/jkcce.2015.11.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