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ee Space Loss

검색결과 111건 처리시간 0.023초

접지평면상의 공간에 위치한 마이크로스트립 페치 단일 안테나와 배열 안테나에 의한 산란과 복 사에 관한 혼합유한요소법 해석 (An Analysis of the Hybrid Finite Element Method for Scattering and Radiation by Microstrip Patch Antennas and Arrays Residing in a Cavity in a Ground Plane)

  • 안중수;박동희;권희훈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2468-2478
    • /
    • 1994
  • 혼합유한요소법은 접지평면내의 구멍에 존재하는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단일 및 병렬안테나의 전자파 산란과 복사성질의 특성화에 대해 제시되었다. 해석방법은 개구부상에서 전자장과 자유공간에서 R.C.S(Radar Cross Section)와 산란 전자장의 해에 대한 계통적 수식화를 위해 유한요소법과 경제적분법을 혼합한다. 제시된 방법은 유한요소법의 특성에 따라 손실 및 무손실 유전체 기판상에 존재하거나 박힌 단일 및 병렬 패치안테나에 적용할 수 있고, 또한 여러형태의 여기구조를 다룰 수 있다. 여러 수치적 결과들을 제시된 방법의 타당성, 효율성 그리고 가능성을 입증하기 위해 제시되었다

  • PDF

Smart-UAV 데이터링크 신뢰성 향상을 위한 RF 시스템 및 통신 링크 분석 (The Analysis of RF System and Communication Link for improvement in reliability of Smart UAV Data-Link)

  • 황인용;유갑선;김학선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0권2A호
    • /
    • pp.66-79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무인항공기의 데이터 링크의 신뢰성 향상을 위하여 그것을 구성하는 RF 송수신 시스템의 성능 분석 및 통신링크 분석을 수행하였다. 시스템 분석은 데이터 링크의 개발 사양서 및 사용되는 부품의 data sheet를 참조하여 시스템 시뮬레이션 툴인 Agilent EEsof ADS(Advanced Design System)을 이용하여 수행하였고, 통신링크 분석은 스마트 무인항공기 운용 환경에 맞는 다양한 전파 모델들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시뮬레이션 결과와 개발 사양서에서 나타난 문제점들을 제시하였고, 통신링크 분석을 통해 나타난 문제점 및 시스템 설계를 위한 고려사항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Lower Extremity Reconstruction Using Vastus Lateralis Myocutaneous Flap versus Anterolateral Thigh Fasciocutaneous Flap

  • Lee, Min Jae;Yun, In Sik;Rah, Dong Kyun;Lee, Won Jai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9권4호
    • /
    • pp.367-375
    • /
    • 2012
  • Background The anterolateral thigh (ALT) perforator flap has become a popular option for treating soft tissue defects of lower extremity reconstruction and can be combined with a segment of the vastus lateralis muscle. We present a comparison of the use of the ALT fasciocutaneous (ALT-FC) and myocutaneous flaps.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patients in whom free-tissue transfer was performed between 2005 and 2011 for the reconstruction of lower extremity soft-tissue defects. Twenty-four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reconstruction using an ALT-FC flap (12 cases) and reconstruction using a vastus lateralis myocutaneous (VL-MC) flap (12 cases). Postoperative complications, functional results, cosmetic results, and donor-site morbidities were studied. Results Complete flap survival was 100% in both groups. A flap complication was noted in one case (marginal dehiscence) of the ALT-FC group, and no complications were noted in the VL-MC group. In both groups, one case of partial skin graft loss occurred at the donor site, and debulking surgeries were needed for two case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ean scores for either functional or cosmetic outcomes in either group. Conclusions The VL-MC flap is able to fill occasional dead space and has comparable survival rates to ALT-FC with minimal donor-site morbidity. Additionally, the VL-MC flap is easily elevated without myocutaneous perforator injury.

신연 외고정 및 지속적 반수동 운동을 이용한 경골 원위부 필론 골절의 치료 (Continuous Half Passive Motion under Distracted External Fixation for the Treatment of Distal Tibial Pilon Fractures)

  • 배서영;정형진;신용운;박재구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46-150
    • /
    • 2010
  • Purpose: Pilon fracture has several serious complications such as joint stiffness, arthrosis and delayed angular deformity. We report short-term results of new treatment modality using distracted dynamic external fixators and early controlled ankle motion. Materials and Methods: Eight cases of severe pilon fractures for which we tried small plate fixation and additional distracted dynamic external fixators from July 2007 to June 2009 were included. Half passive continuous ankle joint motion was allowed under free hinged ring fixators after the operation. The external fixators were removed after two or three months from the surgery. We investigated joint space by radiograph, joint pain, range of motion, patient's satisfaction of treatment protocol. Results: Joints were distracted when external fixators were applied and mean 28% of space loss developed after removal of external fixators. In most of cases, satisfactory alignments were maintained. Regarding range of joint motion, mean dorsiflexion angle was 15 degrees and mean plantarflexion angle was 32 degree in the condition of wearing external fixators. There was mean 8% reduction of range of motion but no further progression of ankle stiffness after removal of external fixators. Dorsiflexion was not improved after that, but plantarflexion angle was improved 10% even after removal of external fixators. Patients were generally in compliance with the treatment protocols with high level of satisfaction. Conclusion: We got good results with distracted dynamic external fixators and early continuous half-passive joint motion for pilon fractures in terms of joint pain and range of motion. Therefore we suggest this new protocol as an alternative modality for severe pilon fractures.

우주잔해 손해에 대한 국제책임 (International Liability for Damage Caused by Space Debris)

  • 김동욱
    • 항공우주정책ㆍ법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73-205
    • /
    • 2008
  • 우주잔해는 제도상에서 운용되고 있는 인공위성 및 우주선 등에 빈번히 손해를 야기하고 있으며 때로는 지구상으로 떨어지기도 한다. 이러한 잔해는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타국의 우주물체 및 지상 손해가 발생할 가능성도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현 국제법 체계에서는 미확인 우주잔해로 인한 손해뿐 아니라 확인이 가능한 우주잔해로 인한 손해에 대해서도 구제 받는 것이 쉽지 않다. 이것은 우주잔해로 인한 손해에 대해서 명확히 규정하고 있는 법규가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책임협약의 일부 내용을 수정하거나 새로운 법체계를 세우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보인다. 예컨대 우주물체를 새롭게 정의하면서 우주잔해를 포함해야 하고, '발사' 개념을 좀 더 명확히 하여 발사의 범위를 특정해야 한다. 또한 우주잔해 손해의 책임 주체를 등록 전과 등록 후로 나누어서 등록 전에는 발사국들이 공동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책임을 지고 등록 후에는 등록국 내지는 소유국이 책임을 지도록 해야 한다. 타국의 우주물체에 대한 손해배상체계도 현재의 과실책임에서 '절대책임'으로 변경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우주잔해에 의한 손해에 대해서는 그 과실이 있다고 해도 그 입증이 쉽지 않고 또한 그 잔해가 과실이 아닌 정상적인 우주활동의 부산물로 발생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현 책임협약상의 과실책임을 부과하기가 어려우므로 지상 제3자 손해에 대한 책임과 마찬가지로 '절대책임'으로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확인' 잔해에 의한 손해를 입는 경우에 대한 구제방안으로서 보험, 우주배상기금의 조성, 시장점유율책임이론의 도입 등을 제시했는데 책임협약의 개정 또는 별도의 국제조약 등을 통해 규정되어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도 앞으로 천문학적인 가격의 인공위성을 다량 보유하게 될 것인데, 점점 증가하는 우주잔해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 만약 우주잔해로부터 우리의 인공위성이 피해를 입게 된다면 위성 자체의 손해 뿐 아니라 운용상의 장애 및 기능 불능으로 인한 경제적인 손실이 막대하다 할 것이다. 결국 손해배상을 받지 못하면 우리는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떠안을 수밖에 없고 그것은 국민의 세금과도 연결되어 있다. 그러한 측면에서도 우주잔해에 의한 손해를 구제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하루 속히 국제적으로 합의가 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인체 통신에 따른 인체 주변에서의 전기장 분포 계산 및 전송 손실 연구 (Calculation of the Electromagnetic Fields Distribution around the Human Body and Study of Transmission Loss Related with the Human Body Communication)

  • 주영준;김윤명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251-257
    • /
    • 2012
  • 인체 통신이란 사람의 몸통이나 피부를 전송 매질로 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 방식을 의미한다. 본 논문에서는 인체 피부 표면에 닿아 있는 자유 공간을 전송 매체로 하여 데이터를 전달하는 전송 방식에 대하여, 10~30 MHz 주파수 범위에서 5 MHz 간격으로 5개의 주파수에 대하여 송수신부 사이의 전기장 분포에 대하여 수치 해석하였다. 채널 손실 계산은 총 29종의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는 한국형 남성 표준 인체 모델에 상용의 툴을 사용하여 실행하였다. 계산 주파수에 따른 인체 조직의 도전율과 비유전율을 해석 파라미터로 입력하여 송수신부로 간주되는 손등 위에서 전기장 분포를 계산하였다. 손등에 부착된 송신기에 의한 전자파비(比)흡수율(SAR: Specific Absorbtion Rate) 값을 계산한 후, 국제비전리복사방호위원회(ICNIRP: International Commission on Non-Ionizing Radiation Protection) 인체 보호 기준과 비교하였다. 또한, 수치 해석으로 구한 전기장을 선(線)적분하여 인접한 극판들 사이의 전압들을 계산하였고, 송신부와 수신부의 전압의 비(比)를 채널 손실로 정의하였다. 수치 해석 결과, 10~30 MHz 주파수 대역에서 채널 손실의 범위는 약 ($75{\pm}1$) dB로 주파수에 따른 채널 손실의 변화가 크지 않았다.

ITS용 2층형 전파 흡수체(유전체/자성체) 설계 및 경사 입사 흡수 특성 해석 (Design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Two-Layered Microwave Absorbers(Dielectric/Magnetic) for Wide Oblique Incidence Angles Used for ITS)

  • 김재웅;김성수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1217-1223
    • /
    • 2007
  • 5.8 GHz의 DSRC(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 시스템을 사용하는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에 전자파 환경 문제가 발생하면서 광각 경사 입사 대책용 전파 흡수체의 사용이 요구된다. 5.8 GHz 주파수에서 경사 입사된 전파에 대해 낮은 반사 손실을 보이는 2층형의 전파 흡수체(유전 복합 재료/자성 복합 재료)를 설계하였다. 흡수층에는 iron flake를 filler로 사용하였다. 임피던스 정합 기능의 표면층에는 유전상수가 낮은 carbon black을 사용하였다. 각 층의 sheet는 일반적인 세라믹 혼합물 제조 공정에 의해 제작되었고, 지지재로는 가황고무를 사용하였다. 전송 선로 이론에 근거하여 TE(Transverse Electric)와 TM(Transverse Magnetic) 편파에 대해 입사각을 변화시키며 반사 손실을 계산하였고, 자유공간법에 의해 반사 전력을 실측하였다. 입사각 $55^{\circ}$까지 낮은 반사 손실(-10 dB 이하)을 갖는 2층형 흡수체가 설계되었다. 자유공간법에 의한 반사 전력의 실측치가 이론적 계산치와 비슷한 값을 보여 설계 방법의 타당성을 입증할 수 있었다.

고유 공간 빔형성 알고리즘을 이용한 AT-DMB 수신 방법 (AT-DMB Reception Method with Eigen-space Beamforming Algorithm)

  • 이재홍;최승원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122-132
    • /
    • 2010
  • 고전송률 지상파 디지털멀티미디어 방송 즉 Advanced T-DMB 방송 (이하 AT-DMB)은 기존 T-DMB와 역호환성을 유지하면서 전송률을 최대 2 배로 높이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개발 되고 있다. AT-DMB 시스템은 T-DMB의 DQPSK 변조신호에 새로운 변조가 적용된 신호를 중첩하는 계층변조를 적용 한다. AT-DMB의 계층변조에는 새로 추가하는 향상 계층신호로 이동성에 강한 BPSK 신호를 더하는 B 모드와 보다 많은 데이터 전송을 위한 QPSK 신호를 더하는 Q 모드가 있다. T-DMB와 역호환성 유지 및 방송권역 축소를 최소화하기 위해 향상 계층의 신호를 작게 유지 해야 한다. 이 때문에 새로 추가된 향상계층 신호는 전송채널에 존재하는 페이딩에 의해 쉽게 왜곡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향상 계층의 신호에는 기존의 길쌈 부호 보다 에러 정정 능력이 뛰어난 터보 부호를 채용하고 있다. 그러나 AT-DMB의 경우 기본계층과 향상계층 사이에 존재하는 QEF(quasi error free) SNR(signal to noise ratio) 차이로 인해 방송권역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별도의 송신 출력의 증가 없이 AT-DMB 신호를 안정적으로 수신할 수 있는 빔형성 이득과 다이버시티 이득을 동시에 얻을 수 있는 고유 공간 빔형성 기법을 적용한 AT-DMB 수신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고유 공간 빔형성 기법이 적용된 AT-DMB 수신 방법에 대해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성능을 검증하였고 그 적용성을 제시하였다.

온도변화에 둔감한 전기적 특성을 가지는 유도무기체계 원격무선통신시스템용 듀플렉서 모듈 개발 (Development of a Duplexer Module for Remot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f Guided Weapon System with Temperature-Insensitive Electrical Performances)

  • 최병창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7권8호
    • /
    • pp.709-716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온도변화에 둔감한 전기적 특성을 가지는 원격무선통신시스템용 듀플렉서 모듈을 제안하였다. 지상에서 자유공간을 비행하는 유도탄에 유도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시스템에서의 듀플렉서 모듈은 높은 내전력 특성뿐만 아니라, 낮은 삽입손실, 높은 송수신대역 상호격리도, 고조파 성분 억제 기능이 요구된다. 제안된 듀플렉서 모듈은 하나의 안테나 포트로 연결되는 송신대역 대역통과필터와 수신대역 대역통과필터, 송신측 출력전력을 점검하는 평면형 커플러, 전력증폭기 및 동축 공동 공진기의 고조파 성분들을 감쇠하기 위한 저역통과필터로 구성된다. 온도변화에 따른 주파수 편이량을 최소로 설계하기 위해 공진기의 재질과 치수를 3D EM 시뮬레이션을 통해 결정하였다. 제작품의 측정결과와 시뮬레이션 결과가 잘 부합하였고, 유도무기체계뿐만 아니라, 소형 기지국시스템과 같은 민수분야에도 적용이 가능하리라 판단된다.

간호학과 학생들의 블렌디드 러닝에 대한 인식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Nursing students' Perception of Blended Learning - Based on Focus Group Interview -)

  • 김수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59-69
    • /
    • 2020
  • 본 연구는 블렌디드 러닝에 대한 간호학과 학생들의 인식을 파악하기 위하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적용한 질적연구이다. 간호학과 4학년 학생 21명을 4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블렌디드 러닝에 대한 간호학생의 인식은 '철저히 준비 되지 않은 적용과 운영', '방향감 상실과 학습 이탈', '일방향 듣기', '편리함'이라는 4개의 주제로 범주화되었다. 학생들은 블렌디드 러닝에 대해 시·공간의 제약없는 반복학습에 대한 만족감을 느끼고 있었지만, 온라인 콘텐츠의 질적 수준, 시스템, 블렌디드 러닝을 적용하기 위한 준비 등에 있어서 미흡함과 불만족스러움을 느끼고 있었다. 향후 간호학 수업에서 블렌디드 러닝의 적용을 위해 먼저 교과과정을 고려한 온·오프라인 수업의 효과적인 설계를 기반으로 수준 높은 온라인 콘텐츠가 개발되어야 한다. 또한 온라인 과정을 지원할 수 있는 시스템적, 행정적, 재정적, 제도적 기반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며, 학생들의 자기주도 학습활동을 가이드 해 줄 수 있는 온라인 지원체계가 만들어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