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tress

검색결과 193건 처리시간 0.031초

산성취락연구(山城聚落硏究) : 남한산성(南漢山城) 광주읍치(廣州邑治)의 형성(形成)과 쇠퇴(衰退) (The Establishment and Transformation of the Mountain Fortress Town of Kwangju County in Kyonggi Province)

  • 홍금수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313-340
    • /
    • 2004
  • 남한산성(南漢山城)은 병자호란을 상징하는 경관요소로서 치욕스러운 과거의 기억을 간직한 채 한강남쪽 평지 한 가운데 솟아있다. 남한산 아래의 고위평탄면상에는 산성의 수축을 계기로 고골(古邑)에서 이전해온 광주부(廣州府)의 치소(治所)가 자리하였는데, 조선시대에 성내동(城內洞)으로 불리다가 1910년에 읍내동(邑內洞), 1914년에는 다시 산성리(山城里)로 개칭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생활환경이 열악한 일개 산촌에 불과했던 산성마을은 행정중심지로 계획되었으며 정책적으로 모임(募入)한 300여 호에서 출발하며 전성기에는 600호 가까운 규모로 성장하였다. 성내에는 종묘봉안처(宗廟奉安處)(좌전(左殿)), 사직봉안처(社稷奉安處)(우실(右室)), 행궁(行宮)을 겸한 광주부(廣州府)의 관아(官衙), 수어영(守禦營)과 광주부(廣州府) 소속의 공해, 시장(市場) 등 유교적인 도회도식(都會圖式)에 규정된 기본요소로 구성된 상징경관이 형성되었다. 성내동민(城內洞民)은 복호(復戶)의 혜택이 주어진 산성 안팎의 토지를 경작하고, 상품을 교역하는 한편, 모군(募軍)으로 자신의 노동을 상품화하면서 궁핍한 생활을 이어갔다. 사회경제적인 상황의 변화와 함께 1917년 산성으로 들어오는 길목에 자리한 주막리(酒幕里)가 광주군 신 청사의 입지로 결정되면서 산성취락은 해체단계를 맞아 한적한 벽촌으로 남게된다.

  • PDF

역사·문화적 특수성을 고려한 광희문(光熙門)의 공간 활성화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Method of Activation of Space of Gwangheemun Considering Historical and Cultural Speciality)

  • 김지은;박은수
    • 한국과학예술포럼
    • /
    • 제19권
    • /
    • pp.243-257
    • /
    • 2015
  • 최근 문화재청이 서울성곽을 유네스코(UNESCO)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신청할 우리나라 대표유산으로 선정하고 이에 대한 복원 및 정비계획을 내 놓으면서 사적 제10호 서울성곽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18.627km에 이르는 서울성곽을 구성하는 성벽, 4대문, 4소문 등의 유산 가치를 세계적으로 인정받으려는 대업은 단순히 외형적 복원사업에 치중하는 것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왜냐하면 서울성곽은 도성과 그 주변이 밀접하게 연계된 삶의 공간으로서 유구한 역사와 문화적 가치가 발현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연장선에서 서울성곽 일대와 주변의 역사 문화 콘텐츠를 발굴하여 활용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특히, 서울성곽의 4소문 중 하나인 광희문(光熙門)은 서민을 대표하는 공간으로 조선시대 축성 기술의 변천 과정을 보여 주는 소중한 문화유산이다. 그러나 현재 광희문과 주변지역은 소극적인 접근성과 낙후된 경관, 프로그램의 부재 등으로 인해 그 매력이 부각되지 못하여 국내·외 관광객의 통행이 적고,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공간 및 다양한 콘텐츠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현실은 전통적인 역사·문화적 특수성을 고려하지 않고 단순한 문화재로 공간의 가치를 판단해 왔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4소문 중 역사·문화적 가치를 지닌 광희문을 대상으로 고유의 잠재된 무형의 역사·문화·예술적 자원을 발굴하여 광희문의 의미와 가치를 찾고, 실재(實在)하는 유형의 전통 건축공간 광희문과 연결-접속하는 방법을 모색하여 광희문에 새로운 공간으로써의 장소성과 활성화 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Newchwang before Newchwang, c1368-1863

  • Chan, Kai Yiu
    • Journal of East-Asian Urban History
    • /
    • 제3권1호
    • /
    • pp.21-56
    • /
    • 2021
  • Though known for its connections with maritime trade at varying degrees before the rise of the Manchus and their Qing Empire, Newchwang as a fortress did not become a populous urban settlement in the nineteenth century when the Euro-American observers arrived. Through examining the history of this trade-related locale in the Qing Empire, this article explores the broader historical context, especially the Eight Banners System of the Manchus, which prevented Newchwang from developing into a port-city, and the implications behind.

기장산성 집수지의 구조와 변화양상 (Structure and Change Pattern of Gijang Mountain Fortress and its Receiving Reservoir)

  • 황대일;정대봉;박준현
    • 건축역사연구
    • /
    • 제22권4호
    • /
    • pp.35-44
    • /
    • 2013
  • This paper looked into the structure of and changes in the building process of Gijang mountain fortress and its receiving reservoir by analyzing data from an excavation investigation. The structure of the receiving reservoir may be classified into a flat form, stone sheath, floor facility, wall facility, and entry and exit facility. The flat form of the Gijang mountain fortress and receiving reservoir is round. Concerning the sectional form, the wall was obliquely excavated in the trapezoid. As a stone sheath building method, it was built by undertaking a range work of oblong stone materials in a clockwise direction on a stamped soil floor. Then, it was treated with stamping using double layers of gray clay and yellowish brown clay on the floor and the wall. Also, in a space between the stamped layers on the floor, herbal plants and a straw mat were laid for waterproofing as well as to prevent sinking. As an entry and exit facility, two facilities were confirmed symmetrically in the southeast and in the northwest. It is believed that they were built additionally during rebuilding after the initial construction. The building process was revealed to have been carried out in 8 stages. Given the structure and excavated remains, the building period is estimated to be the early to mid 7th century for the initial building, the later 9th to 11th centuries for the primary rebuilding, and the later 16th to early 17th centuries for the secondary rebuilding.

함안 성산산성 출토 목제유물의 용도별 선호수종 연구 (A Study on Preferred Wood Species Depending on the Use Of Wooden Objects Excavated from Haman Seongsansansung Mountain Fortress)

  • 조석민;손병화;정아름;권지현
    • 보존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670-680
    • /
    • 2019
  • 본 연구는 다량의 목제유물이 출토된 삼국시대 함안 성산산성을 비롯하여 동시대로 생각되는 경상권 유적 목제유물의 수종분석 결과를 빗, 목간, 용기류 등의 용도별로 구분하여 비교함으써 용도에 따른 선호 수종이나 요구 특성이 있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목간과 빗의 경우는 뚜렷한 선호 수종이 나타났고, 용기류의 경우는 비교적 중간 정도의 강도 특성을 갖는 목재로써 일정 부분 수분이 동의 저항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 수종들이었다.

발해건축사 연구 동향과 콕샤로프카1 성터 건물지의 성격 (Some topics on the study of Balhae architecture, including the nature of the building site excavated in Koksharovka-1 fortress)

  • 송기호
    • 건축역사연구
    • /
    • 제21권1호
    • /
    • pp.119-134
    • /
    • 2012
  • Balhae(698~926) was the ancient state which opened the Nambuk-guk period with the Unified Silla. But Balhae architecture began to included in the history of Korean architecture only about 15 years ago, such as the books written by Yun Jang-seop or Ju Nam-cheol. I discussed four issues related to Balhae architecture in this paper. First, I criticized the excavation report of 24 stones remains at Jiangdong in Duhua city, and I asserted the ondol site belonged to different period. Second, I also interpreted that the building found on the tombs no.13 and no.14, in the Longhai burial area in Helong city must be a wooden stupa. Third, Balhae played some important roles in the history of ondol. It developed Koguryeo ondol in terms of structure, gave an opportunity to the ruling class to adopt ondol for the first time, and passed the heating system down to the Jurchen, the ancestor of the modern Manchurian. Fourth, the Russian-Korean joint research team excavated seven building sites in Koksharovka 1 fortress from Russian territory these four years, and it is reasonable to assume the fortress was the center of Anbyeon-bu, one of 15 local government districts in Balhae. I guess this buildings were the royal shrine built by resisters after the fall of Balhae, and the vessel stands found there must be used for ancestral memorial ceremony inside them.

의승장 기허영규와 의승의 봉기 - 특히 일본 종군승과 의승의 실체를 중심으로 - (The Monk Military General, the Reverend Giheo Yeong'gyu, and the Rebellion of Monk Military)

  • 황인규
    • 동양고전연구
    • /
    • 제66호
    • /
    • pp.9-33
    • /
    • 2017
  • 본 연구는 임진왜란시 일본 종군승 또는 감군승을 통한 침략을 갈파하여 유림의 중봉조헌과 함께 의승 의병의 봉기를 대비하였으며, 실제 청주성 전투와 제 1, 2차 금산성 전투에 함께 참전하여 순국 순교하였던 사실을 강조하였다. 특히 영규와 휘하 수백 또는 수천 의승은 불교계에서 최초로 봉기하여 스승 청허휴정과 동문을 중심으로 전국적 의승 봉기가 이어지게 하였다. 이러한 의승은 <진산미륵사초혼기(珍山彌勒寺招魂記)>에서 영규와 의승장과 종사관 군관승(의병장(義兵將) 판관승(判官僧) 1명, 의병장승(義兵將僧) 8명, 종사관승(從事官僧) 2명, 군관승(軍官僧) 1명)만이 기록되어 있으나 종용사에는 '영규와 영규사졸(靈圭士卒)'로만 되어 있다. 영규의 사졸이 바로 의승인데 실록과 제문집류에서 20여명의 존재가 확인된다. 그 외에 다른 의승에 대한 구체적인 법명과 이들의 행적이 밝혀져서 그들의 순국 순교정신이 널리 추념되기를 바라마지 않는다.

FPS 게임에서의 캐릭터 성격 분석 연구 -FPS 게임 팀 포트리스2를 중심으로- (a Study on Character Types for FPS game -based on Team Fortress2 -)

  • 박명훈;노승석;박진완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0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73-75
    • /
    • 2010
  • 1인칭 슈팅 게임인 FPS(First-person shooter)게임은 시각적 사실성이 뛰어난 고급 그래픽이 특징으로 컴퓨터 성능의 향상과 게임 제작 기술의 발전으로 꾸준히 성장해 가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FPS 게임은 동일 캐릭터에 무기만 바꾸는 방식의 단조로운 자유도를 제공하며 이로 인해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장기간 게임진행시 흥미를 잃기 쉽다. 이러한 단조로운 게임방법을 변화시키고자 1999년 밸브(Valve) 사(社)의 '팀 포트리스(Team Fortress)' 게임은 FPS 게임 사상 최초로 병과 시스템을 도입하여 다양하고 개성 있는 캐릭터 구성으로 큰 주목을 받았다. 이를 분석해 FPS 게임을 개발할 때 다양한 병과 캐릭터가 플레이어에게 얼마나 더 게임에 대한 몰입과 흥미를 주는지 분석하려 한다. 이 분석을 위해 '팀 포트리스'의 후속 작 '팀 포트리스2(Team Fortress 2)'의 병과 캐릭터를 성격 유형 분석에서 보편적으로 많이 쓰이고 사람들에게 친숙한 MBTI (Myers-Briggs Type Indicator) 방식으로 파악하여 각 병과별 캐릭터 설정이 게임 플레이어와의 성격에 따라 얼마나 더 몰입도와 흥미를 줄 수 있는지 도출해 내려한다.

  • PDF

백제의 고도(古都) 부여 성흥산성(聖興山城)의 식생구조 및 관리방안 (Vegetation Structures Analysis and Management Plan Proposal for the Sungheung Fortress in Buyeo-the Old city of Baekje)

  • 이선;송호경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85-100
    • /
    • 2011
  • Vegetation structure of Sungheung fortress in Buyeo was investigated to suggest a desirable management proposal. Forset communities by phytosociological method were classified into Pinus densiflora community, Quercus serrata community and Quercus aliena community. The importance value of Pinus densiflora, Quercus aliena, Quercus serrata, Quercus variabilis, Castanea crenata, Styrax japonica, Quercus acutissima and Prunus sargentii were 34.81, 13.57, 12.63, 6.73, 6.40, 4.70, 4.54 and 3.65. According to breast diameter analysis results, it is expected that the importance value of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spec. will be continuosly increased. It should be prepared that vegetation management plan over the castle wall should be considered before the repair or restoration of castle wall. Vegetation management around castle wall should be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mid or long-term plan and it would be needed to consider the gradual changes from planted Pinus rigida to the historical vegetation of Pinus densiflor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