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Volume 10 Issue 2
- /
- Pages.313-340
- /
- 2004
- /
- 1226-7392(pISSN)
- /
- 2586-1468(eISSN)
The Establishment and Transformation of the Mountain Fortress Town of Kwangju County in Kyonggi Province
산성취락연구(山城聚落硏究) : 남한산성(南漢山城) 광주읍치(廣州邑治)의 형성(形成)과 쇠퇴(衰退)
- Hong, Keum-Soo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Korea University)
- 홍금수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 Published : 2004.06.30
Abstract
Namhansan fortress of Kwangju in Kyonggi Province has remained a traumatic historical landscape of Manchu invasion in the year 1636. Skirted by the mountain fortress and on the ground of the uplifted flatland was the county seat which was relocated in 16Z7 from Kogol at the underneath ravine and later removed in 1917 to a crossroad place at the low-lying river plain. Once a secluded mountain village, Sungnaedong was at the outset planned as a county town of Kwangju, achieving thereafter a dramatic transformation from a small town of three hundred households into a nascent urban settlement of approximately six hundred households by the mid-18th century. The townscape of Sungnaedong features shrines, a second palace, a magistrate-commander's office, administrative buildings, and a periodic marketplace which were all decreed by the Neo-confucian template of the scheme of county seats. Townspeople managed to live on tilling tax-alleviated crop lands, trading merchandise, and selling their labor. Changing socio-economic situations led to the relocation of the administration center to the gateway village of Jumakri, which consequently heralded the decline of the mountain-fortress settlement of Sansungri at Namhansan.
남한산성(南漢山城)은 병자호란을 상징하는 경관요소로서 치욕스러운 과거의 기억을 간직한 채 한강남쪽 평지 한 가운데 솟아있다. 남한산 아래의 고위평탄면상에는 산성의 수축을 계기로 고골(古邑)에서 이전해온 광주부(廣州府)의 치소(治所)가 자리하였는데, 조선시대에 성내동(城內洞)으로 불리다가 1910년에 읍내동(邑內洞), 1914년에는 다시 산성리(山城里)로 개칭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생활환경이 열악한 일개 산촌에 불과했던 산성마을은 행정중심지로 계획되었으며 정책적으로 모임(募入)한 300여 호에서 출발하며 전성기에는 600호 가까운 규모로 성장하였다. 성내에는 종묘봉안처(宗廟奉安處)(좌전(左殿)), 사직봉안처(社稷奉安處)(우실(右室)), 행궁(行宮)을 겸한 광주부(廣州府)의 관아(官衙), 수어영(守禦營)과 광주부(廣州府) 소속의 공해, 시장(市場) 등 유교적인 도회도식(都會圖式)에 규정된 기본요소로 구성된 상징경관이 형성되었다. 성내동민(城內洞民)은 복호(復戶)의 혜택이 주어진 산성 안팎의 토지를 경작하고, 상품을 교역하는 한편, 모군(募軍)으로 자신의 노동을 상품화하면서 궁핍한 생활을 이어갔다. 사회경제적인 상황의 변화와 함께 1917년 산성으로 들어오는 길목에 자리한 주막리(酒幕里)가 광주군 신 청사의 입지로 결정되면서 산성취락은 해체단계를 맞아 한적한 벽촌으로 남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