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est Standing Crop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4초

한반도 중서부 초본식생에 있어서의 최대현존량과 종밀도와의 관계에 대하여 (On Relationship between Maximum Standing Crop and Species Density in the Herbaceous Vegetaton of West Central Korea)

  • 오규칠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26권3호
    • /
    • pp.161-171
    • /
    • 1983
  • To test whether the Grime's model on relationship between maximum standing crop plus litter (350~750g/$m^2$) and species density (10~30/0.25$m^2$) fit well or not, a total of 52 samples, with 4 replicate plots (0.5m$\times$0.5m each) per sample, was collected from various forests, grass lands and coastal salt marshes in midwestern part of central Korean peninsula from September to October in 1982. The result agrees well with the model for grass lands salt marshes, that is, shape of curve for the maximum standing crop (minus litter) against species density indicates normal distribution. The number of species was 11 for the grassland and 7 for the salt marshes within the range of 300g to 700g per square meter for the maximum standing crop. In forest stands, however, as the maximum standing crop of herbs increased the species density decreased. The Grime's model does not seem to fit with the resutls on forest stands of this study. It is examined further the relationships among the maximum standing crop, species density and eleven soil properties, and the possible cause of this discrepancy was disscused.

  • PDF

우리나라 삼림의 변화와 전망 (Changes and Prospects of Forests in Korea)

  • 이효혜미;조강현;김준호
    • 생태와환경
    • /
    • 제47권4호
    • /
    • pp.337-341
    • /
    • 2014
  • 한국에서 산림생태계의 구조적 변화를 예측하기 위하여, 산림 면적과 임목축적량의 변화와 조림지에서 임상식생구조를 문헌조사에 의하여 파악하였다. 한국의 삼림은 1950년대에 심하게 훼손되었지만, 1970~1980년대에 활발히 조림하여 임목축적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삼림면적은 5,500 ha 년$^{-1}$씩 감소하고 있다. 임목축적량 변화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에 의하면 임목축적량을 기준으로 성숙림으로 기대되는 해는 약 2150년으로 예측된다. 현재 일본잎갈나무, 잣나무 및 아까시나무 조림지에는 신갈나무, 물푸레나무, 산벚나무등의 잠재자연식생이 형성되고 있으므로 미래에 이들의 숲이 형성될 것으로 기대된다.

도시생태현황지도를 활용한 탄소저장량 추정 방법에 관한 연구 - 용인시 수지구 산림을 사례로 - (A Study on Carbon Stocks Estimation Methods Using Utilizing Both Biotope Maps - A Case Study on Forests in Suji-gu, Yongin City -)

  • 이학기;한봉호;박석철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52권5호
    • /
    • pp.27-41
    • /
    • 2024
  • 현재 우리나라 산림의 탄소저장량을 산출하는 방법은 임목축적에 목재밀도, 바이오매스 확장계수, 탄소전환계수 등을 곱하여 산출하고 있으나 산림 식생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용인시 수지구 산림을 대상으로 도시생태현황지도와 바이오매스 상대생장식(이하 '상대생장식'이라고 한다)을 활용하여 탄소저장량 산출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도시생태현황지도는 5년마다 작성되며 현존식생도, 토지피복현황도 등 식생에 대한 자세한 정보가 있다. 용인시 도시생태현황지도에서 수지구의 산림 비오톱을 추출하고, 용인시 24개 대표 산림 식생조사구(이하 '대표 조사구'라고 한다)의 수종, 수고, 흉고직경 등을 상세 분석하였다. 교목과 아교목의 탄소저장량 산출을 위해 국립산림과학원에서 개발한 상대생장식을 사용하였고, 관목의 탄소저장량 산출을 위해 기존 연구 결과인 m2당 0.457kg을 적용하였다. 우선 용인시 대표 조사구별로 탄소저장량을 산출하였고, 이를 전체 면적에 적용하기 위해 용인시 수지구의 125개 산림식생 유형을 50개로 재유형화 하였다. 그 결과 신갈나무군락이 가장 큰 면적을 차지하였으며, 리기다소나무군락, 상수리나무군락, 졸참나무군락 순이었다. 군락별 탄소저장량을 산출한 결과 단위면적(m2)당 탄소저장량이 가장 많은 군락은 층층나무-신갈나무군락이었으며, 가장 적은 군락은 참나무-물박달나무군락이었다. 도시생태현황지도와 상대생장식을 적용하여 산출한 용인시 수지구 산림의 탄소저장량은 기존 임목축적에 목재밀도, 바이오매스 확장계수, 탄소전환계수 등을 곱하여 산출한 탄소저장량 보다 상대적으로 높았다. 이는 현재 공식적으로 사용되는 용인시 임목축적(144.44m3/ha)이 실제 산림의 식생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였고, 임목축적 조사 시 흉고직경 6cm 미만 규격의 수목이 제외되어 탄소저장량이 실제보다 낮게 산출되어진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는 식생에 대한 상세한 정보가 있는 도시생태현황지도와 국립산림과학원에서 개발한 상대생장식을 활용하여 기존의 탄소저장량 산출 방법의 한계를 보완하고 보다 정밀도 높은 탄소저장량 산출 방법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Production of Mass and Nutrient Content of Decaying Boles in Mature Deciduous Forest in Kwangnung Experimental Forest Station, Korea

  • You, Young-Han;Kim, Joon-Ho
    • 한국생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태학회 2002년도 VIII 세계생태학대회
    • /
    • pp.127-131
    • /
    • 2002
  • In order to elucidate the characteristics of standing crop biomass, production and nutrient content of dead bole in mature ecosystem, we surveyed the dynamics of decaying bole of old-aged deciduous forest in 1993 and 2002 in Kwangnung Experimental Forest Station. In addition, we and estimated annual bole production, water content, wood density and nutrient content and compared the results with that of temperate ecosystem. Total dead wood biomass was estimated to be 5.6ton/ha in 1993 and 17.6ton/ha in 2002. Standing dead tree accounted for a total of 1.1ton/ha in 1993 and 4.8ton/ha in 2002, which was 20% and 27% of the sum of dead bole mass in 1993 and 2002, respectively. Annual production of bole biomass was 1.3 ton/ha/yr. These values fall into the low range of dead wood biomass for the mature temperate ecosystems. Tree species composing standing bole was mainly Quercus and Carpinus trees. This bole species composition resembles alive species composition of this forest. Water content of bole increased as positive logarithmically, but wood density of bole decreased as negative exponentially along with the progress of decay. N, P, Ca and Mg concentrations in decaying boles generally increased with decay, except for K. Annual nutrient input via dead bole is 1.6kg/ha/yr for N, 0.04 kg/ha/yr for P. 1.0 kg/ha/yr for K, 1.7kg/ha/yr for Ca and 0.3 kg/ha/yr for Mg, respectively.

  • PDF

Production of Mass and Nutrient Content of Decaying Boles in Mature Deciduous Forest in Kwangnung Experimental Forest Station, Korea

  • You, Young-Han;Kim, Joon-Ho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5권4호
    • /
    • pp.261-265
    • /
    • 2002
  • In order to elucidate the characteristics of standing crop biomass, production and nutrient content of dead bole in mature ecosystem, we surveyed the dynamics of decaying bole of old-aged deciduous forest in 1993 and 2002 in Kwangnung Experimetal Forest Station. In addition, we and estimated annual bole production, water content, wood density and nutrient content and compared the results with that of temperate ecosystem. Total dead wood biomass was estimated to be 5.6ton/ha in 1993 and 17.6 ton/ha in 2002. Standing dead tree accounted for a total of 1.1 ton/ha in 1993 and 4.8 ton/ha in 2002, which was 20% and 27$\%$ of the sum of dead bole mass in 1993 and 2002, respectively. Annual production of bole biomass was 1.3 ton/ha/yr. These values fall into the low range of dead wood biomass for the mature temperate ecosystems. Tree species composing standing bole was mainly Quercus and Carpinus trees. This bole species composition resembles alive species composition of this forest. Water content of bole increased as positive logarithmically, but wood density of bole decreased as negative exponentially along with the progress of decay. N, P, Ca and Mg concentrations in decaying boles generally increased with decay, except for K. Annual nutrient input via dead bole is 1.6 kg/ha/yr for N, 0.04 kg/ha/yr for P, 1.0 kg/ha/yr for K, 1.7 kg/ha/yr for Ca and 0.3 kg/ha/yr for Mg, respectively.

산화적지(山火跡地)의 생태학적(生態學的) 연구(硏究) -산화후(山火後) 임지(林地)의 생산구조(生産構造)에 대(對)하여- (Ecological Studies on the Burned Forest -On the Productivity System of the Burned Forest-)

  • 김옥경;정현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45-54
    • /
    • 1971
  • 산화(山火)가 삼림식생(森林植生)에 및이는 영향(影響)을 연구(硏究)코저 본인(本人)은 1967년(年)부터 강원도(江原道) 춘성군(春城郡) 서면덕두원(西面德斗院)에 소재(所在)한 삼악유(三岳由)에 약(約) 5ha의 면적(面積)이 산화(山火)로 인(因)하여 불탄 장소(場所)를 택(擇)하여 산화후(山火後)의 생산구조(生産構造)와 Succession을 다음과 같이 조사연구(調査硏究)하였다. 1. 생산구조(生産構造)에 있어서 현존량(現存量)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를 보면 개체수(個體數)에 있어서는 초본류(草本類)에서 산겨울, 억새 등(等)이 다수(多數)이어서 목본류(木本類)보다 상위(上位)에 속(屬)하며 목본류(木本類)는 상수리, 떡갈나무 순위(順位)로 되어 있으며 S.D.R.도 역시 초본류중(草本類中)에서도 화본과(禾本科)가 으뜸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수있다(표(表) 1). 그리고 비교구(比較區)보다 산화구(山火區)에서 개체수(個體數)가 약(約) 4배(倍)나 증가되어 있음을 알수있다(그림 2, 3, 표(表) 3.). 2. 비화입지(非火入地)에서도 우점도(優點度)의 순위로 5종(種)을 선정하여 S.D.R.를 비교(比較)하여 본 결과(結果) 목본(木本) : 초본(草本)은 4.43:11.52로서 초본(草本)이 상위치(上位置)에 속(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표(表)4. 그림 4.). 3. 현존량(現存量)에 있어서 지하부(地下部)를 비교(比較)한 결과 비교구(比較區)보다 시험구(試驗區)가 552.45g이나 더 많은 것을 알수 있었으며 지하부(地下部)에 있어서도 1470.53g이나 더 많은 것은 고온처리(高溫處理)가 일부종자(一部種子) 발아(發芽)에 촉진(促進)을 시킨것과 다년생식물(多年生植物)에 있어서는 생장(生長)에 촉진(促進)을 시켜준 것으로 생각된다(표(表) 6, 7.). 4. 종별(種別)로도 현존량(現存量)은 Miscanthus 속(屬), Carex속순위(屬順位)로 증가됨을 알수있었고 목본류(木本類)에서는 Lespedeza속(屬)이 증가되어 있음을 알수있었다. 5. 높이의 총합(總合)에서도 비교구(比較區)보다 시험구(試驗區)가 약(約) 6000cm나 더 높은 것을 알수있었다. 6. 결과적(結果的)으로 화입(火入)은 교목(喬木)과 관목(灌木)에 있어서는 소사(燒死) 또는 종자(種子)의 소각(燒却) 등(等)으로서 큰 손실(損失)을 보았으나 2차년도(次年度)의 천이(遷移)는 화입지(火入地)의 다년생초본(多年生草本)에 있어서 생장(生長)에 촉진(促進)을 시켜주었고 종류(種類)에 따라서 발아능력(發芽能力)을 촉진(促進)시켜준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은수원사시나무의 조림지(造林地)의 생산구조(生産構造)와 생산성(生産性) (Studies on the Productive Structure and the Productivity of × Populus albaglandulosa Plantation)

  • 김준호;선순화;이석구;김정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9-14
    • /
    • 1977
  • 은수원사시나무(${\times}$P. albaglandulosa)조림지(造林地)에서 임분밀도(林分密度)가 693본(本)/ha의 6년생(年生), 625본(本) 또는 527본(本)/ha의 9년생(年生) 임분(林分)에 대하여 상대생장법(相對生長法)으로 현존량(現存量)과 생산성(生産性)을 추정(推定)하고 생산구조(生産構造)를 분석(分析)하였다. 1. 생산구조도(生産構造圖)의 광합성부(光合成部)는 층(層)을 형성(形成)하여 광선(光線)의 투입(透入)에 효과적(効果的)인 특징(特徵)을 나타내었다. 2. 지상부(地上部) 현존량(現存量)은 6년생(年生)이 18.11 ton/ha, 9년생(年生)이 38.8~47.3ton/ha 이며, 간재적(幹材積)은 6년생(年生)이 $31.3m^3/ha$, 9년생(年生)이 $68.8{\sim}83.9m^3/ha$이었다. 3. 년순생산량(年純生産量)은 6년생(年生)에서 4.8 ton/ha/yr, 9년생(年生)에서 10.0~11.7ton/ha/yr를 얻었고. 간재적(幹材積)의 순생산량(純生産量)은 $17.9{\sim}21.1m^3/ha/yr$로 나타났다. 4. 9년생(年生)의 표준지(標準地)에서 현존량(現存量) 및 순생산량(純生産量)에 차이(差異)가 생기는 이유(理由)는 토양(土壤)의 화학성분(化學成分)에 의하지 않고 물리적(物理的) 성질(性質)에 기인(起因)하는 것으로 사료(思料)되었다.

  • PDF

숲 가꾸기 실행 및 미 실행지의 임분특성에 따른 산불위험성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Forest Fire Danger Rating on the Forest Characteristics of Thinning Area and Non-thinning Area)

  • 이시영;이명욱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52-58
    • /
    • 2007
  • 본 연구는 숲 가꾸기 실행지와 미실행지의 임분 특성이 산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이다. 조사지역은 강원도 양양군, 인제군 그리고 경기도 가평군 등 3개 군에서 14개소를 선정하였으며, 이중 숲 가꾸기 실행지 9개소, 미실행지의 5개소에 대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현장조사를 통해 임목의 수고, 흉고직경, 지하고, 죽은 가지 고사율, 임목밀도, 울폐도, 관목층 및 초본층 피도를 조사하였으며 이 자료를 통해 숲 가꾸기 실행 및 미실행지의 임내특성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임내특성 분석으로부터 산불발생 및 확산 위험성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숲 가꾸기 실행지역과 미실행지역의 임분 특성조사 결과 숲 가꾸기 실행지역이 미실행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평균 지하고는 높았고, 임목본수는 적었으며, 죽은 가지 고사율은 적었고, 초본층 피도는 높게 나타나고 있어 숲 가꾸기 실행지역의 산불위험도는 미실행지역보다 낮아질 것으로 판단되었다.

An Analysis of the Rice Situation in Nicaragua for Improving National Production.

  • Chang-Min Lee;Oporta Juan;Ho-Ki Park;Hyun-Su Park;Jeonghwan Seo;Man-Kee Baek;Jae-Ryoung Park;O-Young Jeong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90-90
    • /
    • 2022
  • Nicaragua is located in Central America, climatic conditions are considered tropical dry forest. Statistics reflex that in Nicaragua exits 24,000 rice farmers. National rice production only covers 73% of the national consumption. It exists two sowing system: irrigation and rainfed. Varieties used in both systems are mid-late maturity (120-135 days), there are 14 released varieties for irrigation, eight for rainfed, and eight landraces used in rainfed. The current breeding system (introduction of lines from Colombia) has increased the national production, however, has some limitation due to the lack of enough variability, reducing the proability of finding good genotypes and therefore the possibility of satisfying 100% of the dem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roblems that must be resolved in the short and long term to improve rice productivity in Nicaragua. In this paper we explain some proposal for an improvement plan. The selection of varieties with high adaptability to various cultivation environmental conditions it is necessary, also to thoroughly manage seed purity to supply certified seeds. In rice cultivation technology, it needs to improve seedling standing and weeding effect by improving soil leveling and water-saving cultivation technology. Also, proper fertilization and planting density must be established in irrigated and rain-fed areas. Furthermore, capacity must be strengthened by collecting and training with the most recent agricultural technology information, as well as by revitalizing the union rather than the individual farmer.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eties highly adaptable to the Nicaraguan cultivation environment, as well as to expand irrigation facilities and cultivation technology suitable for weather conditions in rain-fed areas. Last, it is necessary to maintain the consistency of agricultural policy for continuous and stable rice production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events such as drought or intermittent heavy rain.

  • PDF

산불적지에서 숲 가꾸기 실행 유무와 산불위험성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Forest Fire Danger Rating on Forest Characteristics of Thinning Area and Non-thinning Area on Forest Fire Burnt Area)

  • 이시영;이명욱;염찬호;권춘근;이해평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3권4호
    • /
    • pp.32-39
    • /
    • 2009
  • 본 연구는 산불적지에서 숲 가꾸기 실행 유무와 산불위험성과의 관계를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2007년에 산불이 발생했던 강원도 강릉시, 삼척시 및 경북 울진지역에 총18개소의 세부조사구를 선정하여 숲 가꾸기 실행 유무, 피해수종, 산불진행방향, DBH, 총수고, 지하고, 임목고사여부, 편면연소율, 수관피해율, 임목밀도, 지하고, 숲 가꾸기 산물의 방치유무, 조사지의 위치(GPS), 해발고도, 조사사면의 방위, 산지경사, 지형을 각각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숲 가꾸기 실행지의 편면연소율은 24.7%인 반면, 미실행지의 편면연소율은 60.2%로 숲 가꾸기 미실행지가 실행지에 비해 약 35.5% 높게 나타났고, 수종별로는 소나무가 참나무류 보다 피해가 크게 나타났다. 임목고사율의 경우도 숲 가꾸기 미실행지가 실행지에 비해 약 41.4%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숲 가꾸기 실행지의 산물들이 근접해 있는 임목이 그렇지 않은 임목에 비하여 10${\sim}$20%의 편면연소 피해를 더 받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임목주변에 숲 가꾸기 산물이 있을 경우, 독립적으로 있는 임목보다 연소물량이 많아 산불강도에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적재된 간벌목이 산림 내에 많이 쌓여있는 경우에는 이로 인하여 재발화의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숲 가꾸기 산물을 임외로 걷어 내리거나 다른 용도로의 활용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