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est Farming

검색결과 141건 처리시간 0.033초

Crop Yield and Crop Production Predictions using Machine Learning

  • Divya Goel;Payal Gulati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3권9호
    • /
    • pp.17-28
    • /
    • 2023
  • Today Agriculture segment is a significant supporter of Indian economy as it represents 18% of India's Gross Domestic Product (GDP) and it gives work to half of the nation's work power. Farming segment are required to satisfy the expanding need of food because of increasing populace. Therefore, to cater the ever-increasing needs of people of nation yield prediction is done at prior. The farmers are also benefited from yield prediction as it will assist the farmers to predict the yield of crop prior to cultivating. There are various parameters that affect the yield of crop like rainfall, temperature, fertilizers, ph level and other atmospheric conditions. Thus, considering these factors the yield of crop is thus hard to predict and becomes a challenging task. Thus, motivated this work as in this work dataset of different states producing different crops in different seasons is prepared; which was further pre-processed and there after machine learning techniques Gradient Boosting Regressor, Random Forest Regressor, Decision Tree Regressor, Ridge Regression, Polynomial Regression, Linear Regression are applied and their results are compared using python programming.

주요 약초류 재배에 대한 소득분석 (Income Analysis on the Cultivation of Major Medicinal Herbs)

  • 강학모;장철수;김현;최수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4권3호
    • /
    • pp.495-502
    • /
    • 2015
  • 본 연구는 주요 약초류(8개 품목) 재배에 투입된 비용과 수입 등을 파악하여 소득분석을 실시함으로써 향후 단기소득임산물 손실에 대한 보상 기준 및 임업경영환경 개선을 위한 정책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약초류 재배에 대한 소득분석(10a 기준) 결과, 단위면적당 연평균소득은 잔대가 14,233천원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하수오 4,121천원, 천마 3,766천원, 삼지구엽초 3,537천원, 삽주 2,655천원, 독활 1,048천원, 작약 1,025천원, 시호 919천원 등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4년에 분석한 주요 수실류 소득과 비교하면 약초류의 단위면적당 연평균소득이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잔대와 독활의 경우 새순은 식용으로 뿌리는 약용으로 이용되고 있어 향후 농산촌지역의 새로운 소득원으로 부상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작약은 중국산으로 인한 판매 가격하락을 보이고 있어 향후 한-중 FTA가 시행되면 타 약초류에도 중국산으로 인한 소득손실 피해가 예상된다.

북한의 시장화 확산에 대응한 대북 산림복구 지원전략 연구 (A Study on Strategy of Forest Rehabilitation Support Corresponding to the Spread of Marketization in North Korea)

  • 송민경;이종민;박경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6권4호
    • /
    • pp.487-496
    • /
    • 2017
  • 사회주의 계획경제 체제를 유지해오던 북한 내에 시장이 합법적인 공간으로 작동하면서 북한경제의 시장화 현상이 급격하게 확산되고 있다. 북한의 시장화 확산은 북한의 산림부문과 주민들의 산림소토지(뙈기밭) 이용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는 북한에서 발행하는 공식문헌과 북한의 시장화 확산에 관한 국내 관련 자료들을 검토하여 최근의 북한 경제체제 변화와 시장화 확산 현상이 산림관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에 걸맞은 대북 산림복구 지원 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김정은 정권은 시장경제 운영 방식을 대폭 수용한 '우리식의 새로운 경제관리 방법'을 제시하면서, 개인에게 생산물 처분권을 보장하는 포전담당제를 도입하고 외부투자를 유치하기 위한 경제개발구를 설치하는 등 시장화 확산에 따른 정책과 제도를 마련하여 추진하고 있다. 김정은 정권은 2012년 전국 황폐산림의 10년 내 산림녹화 달성을 목표로 내세우고, 경사지 경작지인 뙈기밭 회수조치를 실행하는 등 산림복구를 강력하게 추진하려는 정책의지를 제시하였다. 그러나 시장화가 확산되면서 목재수요 증가에 따른 벌채증가, 불법 땔감 채취와 판매, 생계용 임산물 채취, 식량판매를 위한 불법경작 등이 더욱 확대됨에 따라 일방적인 군중동원형 산림복구로는 한계에 봉착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북한당국도 경사지 산림황폐지에 나무를 심고 이에 대한 보상으로 경작권과 생산물 처분권을 허용하는 임농복합경영 방식을 도입하고, 10개년 임농복합경영전략 및 행동계획('15~'24)을 수립하는 등 시장친화적 산림정책 실행을 시도하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 남한의 대북 산림복구 지원방식도 과거와 달리 물자나 기자재 위주의 지원방식에서 벗어나 협동농장 단위 임농복합경영의 주민 공동 사업화 방안, 개인 소토지의 산림 소득원화 지원방안, 산림사업을 활용한 산촌종합개발특구 활성화 방안 등 북한주민 공동체가 참여할 수 있는 지원모델을 마련하여 북한의 시장화 확산 및 산림정책 변화와 연계한 실효성 있는 대북 산림복구 지원전략을 구사할 필요가 있다.

토석채취지의 복구 실태 분석 II (Analysis of the Restoration Actual Conditions on the Quarries II)

  • 박재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1권4호
    • /
    • pp.558-566
    • /
    • 2012
  • 이 연구는 채석장의 실태조사를 통하여 토석채취 후 합리적이고도 완벽한 복구를 실시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전국의 18개 토석채취장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농어촌정비사업에 따른 토석 채취 후 산지복구지는 대부분 조경적 녹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복구공사 후 유지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아 식재한 나무가 고사하거나 비탈면녹화가 제대로 되지 않아 여름철에는 강우에 의한 표층토양의 유실 및 붕괴로 이어지고, 복구녹화공사를 실시한 비탈면은 황폐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자연친화적이고 완벽한 복구녹화공사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비탈면녹화를 실시하기 전에 현장의 토질특성, 지질특성 등에 대해서 조사하고 그곳에 적합한 복구공법에 대하여 면밀히 검토해야 한다. 아울러 계획된 복구공법의 적용에 있어서도 복구비를 절감할 수 있는 공법의 적용이 필요하다. 조사 결과 토석채취지의 경우 토질이 토사질 또는 리핑암, 풍화토가 대부분으로 이러한 지역은 복구녹화가 완벽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조건이 되므로 여기에 적용하는 공법도 가능하면 간단하면서도 복구녹화가 충분히 될 수 있는 공법의 선정이 중요하다. 아울러 복구녹화계획 및 검토시에는 반드시 산지복구를 전공으로 하는 전문가의 의견을 청취함으로써 그 지역에 가장 적합한 복구녹화공법의 선정 및 완벽한 복구녹화가 가능하게 될 것으로 사료된다.

Study on the Morphological Parameters and Evolution of Caragana microphylla Lam. Nebkhas in Inner Mongolia, China

  • Na, Yan;Eerdun, Hasi;Park, Ki-Hyung;Xia, Xian-Dong;Chun, Kun-Woo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8권2호
    • /
    • pp.156-162
    • /
    • 2009
  • Nebkhas are widely distributed in farming-pastoral zones, typical grassland and desert margins. In the southeast of the Inner Mongolia Plateau, it is mainly distributed at the leeward of cultivated land and alluvial fan, severe deterioration rangeland and around residential points. Through the field measurement and statistical analysis of Caragana microphylla Lam. Nebkhas morphological parameters (length, width and height of Nebkhas are included), the results show that there were close correlations between the Nebkhas morphological parameters. The ranges of height and width of Nebkhas changed dramatically and have reached up to 11.44 m and 7.97 m respectively, however, the change range of height was relatively smaller and just 1.09 m. The morphological parameters change of the same type Nebkhas in the same region was large ranging from 0.56 m in height, 3.56 m in width to 6.96 m in length, while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ame type Nebkhas in different regions were much similar. A correlation between length and width was significantly positive, but the correlations between height and length, and between height and width were much more complicated.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Nebkhas in Zhengxiangbai Banner and Taipusi Banner were at the initially growing stage, while the Nebkhas in Huade County belonged to a transitional stage from the growing phase to the stabilizing phase. The changing regularity of distance between Nebkhas in along-wind direction was not consistent.

Potentials of and Threats to Traditional Institutions for Community Based Biodiversity Management in Dryland Areas of Lower Moshi, Tanzania

  • Woiso, Dino Andrew;Shemdoe, Riziki Silas;Kayeye, Heri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5권3호
    • /
    • pp.177-185
    • /
    • 2009
  • Dryland species and ecosystems have developed unique strategies to cope with low and sporadic rainfall. They are highly resilient and recover quickly from prevailing disturbances such as fires, herbivore pressure and drought. Dryland people have engineered pastoral and farming systems, which are adapted to these conditions and have sustained the livelihoods of dryland people for centuries. In this article, we present the status of potentials and threats to dryland biodiversity and explore options for its conservation and sustainable use. Findings of the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i) The ecosystem goods and services are highly valued by the community but mechanism for wise use of the resources has disappeared, (ii) forests are under the ownership of the government but the local community is the realistic custodian of the forests through village leaderships and environmental committees; (iii) the immediate major threat to dryland biodiversity held in the forests appears to be the degradation of ecosystems and habitats caused by new and powerful forces of environmental degradation such as large scale irrigation of rice farms, poverty-induced overexploitation of natural resources, and disappearance and ignorance of traditional institutions for management of dryland biodiversity. These new forms of disturbances often overpower the legendary resilience of dryland ecosystems and constitute potentially serious threats to dryland biodiversity. Forests, wetlands and oases all of which are micro hot spots of dryland biodiversity, appear to be particularly vulnerable hence the need to set up some rules and regulations for sustainable utilization of these resources.

  • PDF

LPWA기반의 임산물 생육환경 수집 및 빅데이터 분석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LPWA-Based Farming Environment Data Collection System and Big Data Analysis System)

  • 김유빈;오연재;김응곤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695-702
    • /
    • 2020
  • 최근 스마트 팜의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시설하우스와 같은 실내 환경 제어는 높은 수준에 이르렀다. 그러나 노지에서 재배가 이루어지는 임업 분야에 ICT기술의 활용은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ICT 기술을 적용한 LPWA 기반의 임산물 생육환경 수집 및 빅데이터 분석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oneM2M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구성하였으며 소규모 태양광 발전과 LPWA기술을 이용하여 노지에서 환경 데이터를 수집하여 서버에 전송한다. 전송된 데이터는 서버에서 빅 데이터로 구축되며 이를 활용해 임산물의 생산량과 품질을 예측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신재생 에너지와 스마트 팜의 융합을 통해 저비용, 고품질의 임산물 생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노지에서 이루어지는 농작물의 생장 환경 모니터링과 oneM2M 아키텍처를 활용하는 타 산업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Grazing Behavior and Forage Selection of Goats (Capra hircus)

  • Lee, Sang-Hoon;Lee, Jinwook;Chowdhury, M.M.R.;Jeon, Dayeon;Lee, Sung-Soo;Kim, Seungchang;Kim, Do Hyung;Kim, Kwan-Woo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89-194
    • /
    • 2019
  • The normal feeding approach of goats might be due to their precise anatomical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entity, which permit them to be highly selective, to eat legume silages and wild green grass. This review has been designed to consider the grazing behavior, fodder selection, and feed composition of goats. Various herbs and corns consumed by goats have numerous nutritive resources. Based on the general herbaceous intake activities and behavior of goats, they prefer wild grass such as grass grown in the steep hills than soft grass. Because the digestion capacity of cellulose feed has higher digestion level compared to other non-ruminants within rumen and it is advantageous to use wild forest or mountain grass which comprises high proportion of cellulose feed for goat. In South Korea, there are abundant feed resources for goats because of occupying large areas of mountains. Thus, goat production and feeding costs could be reduced if plants are used from the wild forest as a feed for goats relative to grassland grazing. Also,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in improvement of goat farming with harmonious relationship between the grassland and wild forest while satisfying animal welfare and physiological desires of livestock.

우리나라 임업(林業)의 현황(現況)과 장래(將來)에 관(關)한 소고(小考) (일본(日本) 임업(林業)과의 비교(比較)) (Studies on the Condition and the Future of Korean Forestry)

  • 김영호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4권
    • /
    • pp.163-168
    • /
    • 1986
  • 우리나라의 임업(林業)과 일본(日本)의 임업상황(林業狀況)을 검토해본 결과 양국은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다음과 같았다. 1. 삼림면적(森林面積)과 축적(蓄積)을 보면 삼림면적(森林面積)에 있어서 인구1인당(人口1人當) 세계평균(世界平均)은 0.96ha인데, 한국(韓國) 0.16ha, 일본(日本) 0.23ha로서 충분(充分)치 못하며 축적(蓄積)에 있어서는 1인당(人當) 한국(韓國) $3.9m^3$, 일본(日本) $22.5m^3$이지만 1인당(人當) 목재소비량(木材消費量)은 한국(韓國) $0.2m^3$, 일본(日本) $1m^3$로서 양국은 삼림자원(森林資源)이 풍부하지 못하다. 2. 임업생산(林業生産) 활동(活動)은 점차 심체(沈滯)되고 있다. 한국(韓國)이나 일본(日本)이나 다같이 조림면적(造林面積)과 입목벌채면적(立木伐採面積)이 점차 감소(減少)하고 있다. 현재(現在) 인공림률(人工林率)은 전삼림면적(全森林面積)의 한국(韓國) 28%, 일본(日本) 40%이다. 3. 목림수요량(木林需要量)에 대(對)하여 외재율(外材率)은 한국(韓國) 79%, 일본(日本) 62.4%이다. 또한 목재가격지수(木材價格指數)는 일반물가지수(一般物價指數)보다 낮아서 목재관련산업(木材關連産業)의 부진(不振)이 예상(豫想)된다. 4. 농촌노동력(農村勞動力)의 감소(減少)로 인(因)하여 임업노동자(林業勞動者)의 확보(確保)는 더욱 어렵다. 5. 국유림(國有林)의 경영(經營)은 한국(韓國), 일본(日本) 다같이 적자(赤子)운영을 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결론(結論)은 임업생산(林業生産) 기반(基盤)이 빈약하기 때문이므로 보다 많은 지속적(持續的)인 투자(投資)가 필요(必要)하다고 생각한다. 또한 국토보전적(國土保全的)인 면(面)에서도 투자(投資)되어야 한다고 본다.

  • PDF

Phytosociological Study and Spatial autocorrelation on the Forest Vegetation of Mt. Yeonae at Gijang-gun

  • Choi, Byoung-Ki;Huh, Man Kyu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2권11호
    • /
    • pp.1373-1381
    • /
    • 2013
  • Mt. Yeonae is at Gijang-gun in Busan and is surrounded by farming lands on three sides. The search for the species composition and dynamics of local communities were studied at Mt. Yeonae of how spatial similarity decays with geographic distance. The index values of Z$\ddot{u}$rich-Montpellier School's phytosociology at the 12 plots was compared to a distribution of similarly using 20 m quadrates at 12 sites. The specific communities were five including Pinus densiflora - Quercus variabilis community. Six species were significant similarity between neighboring sites by using the spatial autocorrelation coefficient, Moran's I. If Mt. Yeonae was destroyed by an artificial action, some spatial correlated species such as P. densiflora and Q. variabilis will be collapsed because of no maintaining the effective population siz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