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the Restoration Actual Conditions on the Quarries II

토석채취지의 복구 실태 분석 II

  • Park, Jae Hyeon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Gyeongnam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박재현 (국립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Published : 2012.12.3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ffer preliminary data for a natural restoration by the actual condition survey of quarries after extracting rock materials. The mountain restoration area according to a farming and fishing village organize project was restored by green landscape after quarry. However, planting tree species were died due to poor maintenance and administration after restoration works and surface soil loss and erosion occurred during a summer rainfall season because of poor slope greening. It will be needed to review restoration constructions to establish a natural friendly and flawless construction through the selection of optimum restoration works and the examination of soil and geological characteristic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apply cost-reducing program of restoration constructions. Quarry areas could be restored by the selection of simple and optimum construction works because the most areas were dominant in earth-sand rocks, soft-rocks, and weather-rocks. In addition, the restoration construction project should be examined thoroughly by restoration specialists during green restoration planning and review processes.

이 연구는 채석장의 실태조사를 통하여 토석채취 후 합리적이고도 완벽한 복구를 실시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전국의 18개 토석채취장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농어촌정비사업에 따른 토석 채취 후 산지복구지는 대부분 조경적 녹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복구공사 후 유지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아 식재한 나무가 고사하거나 비탈면녹화가 제대로 되지 않아 여름철에는 강우에 의한 표층토양의 유실 및 붕괴로 이어지고, 복구녹화공사를 실시한 비탈면은 황폐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자연친화적이고 완벽한 복구녹화공사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비탈면녹화를 실시하기 전에 현장의 토질특성, 지질특성 등에 대해서 조사하고 그곳에 적합한 복구공법에 대하여 면밀히 검토해야 한다. 아울러 계획된 복구공법의 적용에 있어서도 복구비를 절감할 수 있는 공법의 적용이 필요하다. 조사 결과 토석채취지의 경우 토질이 토사질 또는 리핑암, 풍화토가 대부분으로 이러한 지역은 복구녹화가 완벽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조건이 되므로 여기에 적용하는 공법도 가능하면 간단하면서도 복구녹화가 충분히 될 수 있는 공법의 선정이 중요하다. 아울러 복구녹화계획 및 검토시에는 반드시 산지복구를 전공으로 하는 전문가의 의견을 청취함으로써 그 지역에 가장 적합한 복구녹화공법의 선정 및 완벽한 복구녹화가 가능하게 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해양부. 2008a. 2009년도 골재수급계획. pp. 23.
  2. 국토해양부. 2008b. 제4차(2009-2013) 골재수급기본계획. pp. 20.
  3. 농림부. 2005. 석산개발 지역의 환경친화적 천공녹화 공법의 개발. 농림부. pp. 149.
  4. 박영규. 2009. 산지전용허가기준의 개선방안. 월간 산림과학정보 213: 8-9.
  5. 박종민, 이준우, 윤호중. 2009. 홍콩의 채석장 식생복원공법에 관한 분석.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12(5): 121-132.
  6. 산림청. 1993. 채석적지 복구공사의 계획.설계.시공 및 준공검사에 관한 기준 개발 연구. 산림청. pp. 219.
  7. 산림청. 2003a. 산지관리분야자료집. 산림청 고시 제2004-6호, 제2005-12호.
  8. 산림청. 2006. 채석허가 및 복구제도 개선방안. pp. 185.
  9. 산림청. 2008a. 토석채취 허가.복구지 Monitoring 체계마련 및 활성화 방안. pp. 238.
  10. 산림청. 2008b. 산림관계법령집. 산림청. pp. 1119.
  11. 삼성에버랜드. 2002. 채광완료부지 복구설계-라파즈한라시멘트 석회석광선-. pp. 111.
  12. 서재철. 2009. 광주 동림동 석산 복원의 교훈. 산사랑 23: 36-39.
  13. 이준우, 김남춘, 남상준, 박종민, 차두송. 2003. 석회석광산의 식생녹화방법에 관한 고찰-일본 이부키광산과 부코우광산의 사례연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6(6): 72-85.
  14. 이준우, 신경희, 이창석. 2007. 현행 광산복구방법의 문제점과 그 개선방안. 자연환경복원포럼 자료집. pp. 309-334.
  15. 이준우, 차두송. 2008. 산림토목사업 감리제도의 효율화 방안에 관한 연구. 산림공학기술 6(3): 211-220.
  16. 조선일보. 2009. 돌 캐낸 상처 절경으로 아물다. 조선일보 5월 14일자 120판 D1.
  17. 한국건설산업연구원. 2007. 골재산업의 중장기육성방안.
  18.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2012. 농어촌정비사업 산지복구 공법 및 복구비 산정 연구.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pp. 353.
  19. 한국산지보전협회. 2005. 대규모 산지훼손지 실태조사, 원인분석 및 지속가능한 산지보전을 위한 모니터링 방안. 한국산지보전협회. pp. 286.
  20. 한국산지보전협회. 2007. 산림훼손 복구지 사후관리 모니터링에 관한 연구. pp. 183.
  21. 堀江保夫. 2000. 日本における綠化技術-自然環境を創出する綠化工. 廢炭鑛地의 環境復元綠化 技術開發 國際심포지엄 자료집. pp. 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