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est, Geospatial information

검색결과 114건 처리시간 0.02초

과학적인 산림자원관리를 위한 해외 산림공간정보 구축 및 활용 동향 조사 (Research on the Trend of Establishment and Utilization of Overseas Forest Geospatial Information for Scientific Forest Resource Management)

  • 박준규;이근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2호
    • /
    • pp.377-382
    • /
    • 2021
  • 산림자원관리의 선진화를 위해서는 산림 관련 산업 종사자의 고령화와 인력 중심의 현장조사 체계 등의 문제해결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과학적인 산림자원관리를 위해 최신 기술이 적용된 해외 산림공간정보 구축 및 활용동향을 조사하여 국내 적용 방안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해외에서는 산림공간정보 구축 및 활용에 사진측량 및 LiDAR 기술이 활용되고 있었다. 사진측량의 경우 식생의 체적, 흉고직경, 수고 측정 등에 이용되었으며, LiDAR는 흉고직경 및 수고 측정에 적용된 사례가 있었다. 해외 사례에 대한 분석을 통해 사진측량 및 LiDAR를 활용한 산림공간정보 구축방안을 파악하였으며, LiDAR가 사진측량에 비해 높은 정확도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향후 다양한 LiDAR 센서를 이용한 산림공간정보의 구축을 수행하고, 정확도 및 작업 효율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국내 산림공간정보 구축에 있어 새로운 기술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Line Type 디지털 항공사진측량 카메라 영상의 컴퓨터비전 해석을 통한 고품질 공간정보 생성 (Generation of High Quality Geospatial Information Using Computer Vision Analysis of Line Type Digital Aerial Photogrammetry Camera Imagery)

  • 이현직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41-50
    • /
    • 2020
  • 우리나라의 국토지리정보원에서는 2년 주기로 정사영상 제작과 수치지도 수정/갱신 등을 위해 디지털 항공사진영상을 촬영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항공사진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항공사진측량용 카메라는 면형(Frame type) 및 선형(Line type)으로 구분된다. 항공사진영상의 컴퓨터비전 해석은 Frame type만 가능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Line type 항공사진영상을 컴퓨터비전 해석으로 공간정보를 생성하고자 하였으며, 항공사진영상의 활용 방안으로 산림공간정보를 생성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Line type 항공사진영상의 컴퓨터비전 해석으로 생성된 공간정보는 수평위치 및 수직위치 오차의 RMSE가 GSD의 4배 이내로 나타났다. 컴퓨터비전 해석으로 생성된 공간정보를 이용해 산림공간정보를 생성하였으며, 이를 이용해 수관형상의 추출, 수고의 산정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항공사진영상 활용성을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NGIS DB를 활용한 국방지형DB 산림 레이어의 효율적 구축기법 연구 (A Study for Establishing of Military Topographical DB Forest Layer Using NGIS DB)

  • 강준묵;이철희;김정원;김민규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57-260
    • /
    • 2007
  • The government is spending a large amount of budget to establish NGIS due to the importance of geospatial information. This paper deals with the study of schema mapping technique which can efficiently establish military topographic DB forest layer using digital forest map and other existing geospatial DB. In order to accomplish this 1) each schema of these types of DB was analyzed then, 2) mapping table which connects related attributes was created and finally, 3) military topographical DB forest layer of the area of interest was efficiently established. This research was able to display solutions that resolved compatibility issues between existing geospatial DB of these types, established by the schema mapping techniques described in this research.

  • PDF

지형DB의 효율적 구축을 위한 스키마매핑 기법 연구 (A Study of Schema Mapping Technique for Efficient Establishment of Geospatial DB)

  • 강준묵;박준규;조현욱;이철희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7
    • /
    • 2008
  • 지리정보의 중요성으로 정부에서도 많은 예산을 투자하여 국가지리정보체계(NGIS)를 구축중이다. 본 연구는 국가지리정보체계 추진계획에 의해 구축한 수치임상도DB 등 기 구축되어있는 이 기종 지형DB들을 활용하여 국방지형DB의 산림 레이어를 효율적으로 구축할 수 있는 스키마매핑 기법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상지역의 이 기종 지형DB들의 스키마를 각각 분석한 후 관련속성들을 연결한 매핑테이블을 작성하고 도형 및 속성들을 일괄 처리하여 대상지역의 국방지형DB산림 레이어를 효율적으로 구축하였다. 실험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한 스키마매핑 기법으로 기 구축되어있는 이 기종 지형DB들 간의 자료 호환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KOMPSAT-2 위성영상을 이용한 산림의 수관 밀도 추정 (Estimation of Canopy Cover in Forest Using KOMPSAT-2 Satellite Images)

  • 장안진;김용민;김용일;이병길;어양담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83-91
    • /
    • 2012
  • 다양한 산림 정보 중 수관 밀도는 단위면적 당 수관점유 면적의 비율로 정의되며,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는 중요한 정보이다. 기존의 측정 방법들은 항공사진 판독 또는 현지 조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이로 인하여 수관 밀도를 측정함에 있어 시간적/인적/경제적 자원의 소모가 크고, 판독자의 주관 및 경험이 반영되어 자료 제작의 일관성이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KOMPSAT-2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국내 산림 지역의 수관 밀도를 추정하였다. 고해상도 위성영상에 적합한 영역 기반의 수관 밀도를 추정하기 위해 영상 분할 기법과 임분 경계 정보를 이용하여 산림 내부를 일정 영역으로 구분하고, 판별 분석 기법과 산림 비율 기법을 통해 구분된 영역의 수관 밀도를 추정하였다. 현장 조사 및 영상 판독을 통해 구축한 참조자료와 비교해본 결과 판별 분석 기법은 약 60%, 산림비율 기법은 약 85%의 정확도를 보였다. 연구 결과와 수치 임상도의 비교를 통해 갱신이 필요한 후보지 추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공간기후모형을 이용한 농업기상정보 생산 (Visualization of Local Climates Based on Geospatial Climatology)

  • 윤진일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72-289
    • /
    • 2004
  • The spatial resolution of local weather and climate information for agronomic practices exceeds the current weather service scale. To supplement the insufficient spatial resolution of official forecasts and observations, gridded climate data are frequently generated. Most ecological models can be run using gridded climate data to produce ecosystem responses at landscape scales. In this lecture, state of the art techniques derived from geospatial climatology, which can generate gridded climate data by spatially interpolating point observations at synoptic weather stations, will be introduced. Removal of the urban effects embedded in the interpolated surfaces of daily minimum temperature, incorporation of local geographic potential for cold air accumulation into the minimum temperature interpolation scheme, and solar irradiance correction for daytime hourly temperature estimation are presented. Some experiences obtained from their application to real landscapes will be described.

Site Suitability Assessment for Joint Forest Management(JFM) - a Geospatial Approach

  • Jayakumar, S.;Ramachandran, A.;Bhaskaran, G.;Heo, Joon;Kim, Woo-Sun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473-481
    • /
    • 2007
  • Joint Forest Management(JFM) is a concept of developing partnerships between fringe forest user groups and the Forest Department(FD) on the basis of mutual trust and jointly defined roles and responsibilities with regard to forest protection and development. In India, JFM was started during 1992 and it was implemented in many states. However success rate of JFM activity was not promising. Though there are many factors attributed to the failures, one of the main factors is the JFM site. This paper deals with the significant ground works to be done before planning for JFM using recent technologies such as remote sensing(RS)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GIS). Also it deals with the advantages of weighted overlay analysis in selecting suitable sites for JFM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various criteria. As a result of weighted overlay analysis, there were four types of suitability classes viz., less, moderate, highly and un-suitable. The moderately suitable class occupied maximum area(13209.64 ha) than less and highly suitable classes. If JFM is implemented on the suitability area, then the failure could be avoided in the future.

Analysis of Changes in NDVI Annual Cycle Models Caused by Forest Fire in Yangyang-gun, Gangwon-do Using Time Series of Landsat Images

  • Choi, Yoon Jo;Cho, Han Jin;Hong, Seung Hwan;Lee, Su Jin;Sohn, Hong Gyoo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11
    • /
    • 2016
  • Sixty four percent of Korean territory consists of forest which is fragile for forest fire. However, it is difficult to detect the disaster-induced damages due to topographic complexity in mountainous areas and harsh weather conditions. For this reason, satellite imaging systems have been widely utilized to detect the damage caused by forest fire. In particular, ground vegetation condition can be estimated from multi-spectral satellite images and change detection technique has been used to detect forest fire damages. However, since Korea has clear four seasons, simple change detection technique has limitation. In this regard, this study applied the NDVI(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annual cycle modeling technique on time-series of Landsat images from 1991 to 2007 to analyze influence of forest fire of Yangyang-gun, Gangwon-do in 2005 on vegetation condition. The encouraging result was obtained when comparing the areas where forest fire occurs with non-damaged areas. The mean value of NDVI was decreased by 0.07 before and after the forest fire. On the other hand, annual variability of NDVI had been increasing and peak value of NDVI was stationary after the forest fire. It is interpreted that understory vegetation was seriously damaged from the forest fire occurred in 2005.

지형공간정보 기반의 침투위험도 예측 모델을 이용한 최적침투지역 분석 (Analysis of Infiltration Area using Prediction Model of Infiltration Risk based on Geospatial Information)

  • 신내호;오명호;최호림;정동윤;이용웅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99-205
    • /
    • 2009
  • A simple and effective analysis method is presented for predicting the best infiltration area. Based on geospatial information, numerical estimation barometer for degree of infiltration risk has been derived. The dominant geospatial features influencing infiltration risk have been found to be area altitude, degree of surface gradient, relative direction of surface gradient to the surveillance line, degree of surface gradient repetition, regional forest information. Each feature has been numerically expressed corresponding to the degree of infiltration risk of that area. Four different detection probability maps of infiltration risk for the surveillance area are drawn on the actual map with respect to the numerically expressed five dominant factors of infiltration risks. By combining the four detection probability maps, the complete picture of thr best infiltration area has been drawn. By using the map and the analytic method the effectiveness of surveillance operation can be improved.

드론을 활용한 산림공간정보 조사 및 분석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Forest Geospatial Information Using Drone)

  • 박준규;정갑용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602-607
    • /
    • 2018
  • 산림공간정보는 국가산림계획 및 산림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주기적으로 구축 및 관리되고 있으며, 이 중 임야의 훼손에 대한 정보는 토사유출이나 산사태 등 추가적인 재해 발생의 위험이 있어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하지만 기존의 목측 및 줄자에 의한 산림조사 방법은 많은 인력과 시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업무의 효율성이 떨어진다. 최근 드론은 공간정보 구축 및 활용 분야에 효과적인 방법으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드론 관련 산업 시장의 규모는 나날이 커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드론을 활용하여 산림공간정보를 조사 및 분석함으로써 관련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드론을 이용하여 연구 대상지역을 촬영하고, 데이터 처리를 통해 정사영상과 포인트클라우드 형태의 DSM(Digital Surface Model)을 생성하였으며, 성과물을 이용하여 훼손지역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를 통해 임야훼손지역의 면적과 체적이 산출되었으며, 산림조사 분야에서 드론의 활용성을 제시할 수 있었다. 드론을 활용한 산림공간정보 조사 및 분석 방법은 기존 방법보다 인력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으며, 정량적인 분석이 가능하기 때문에 국가산림계획 및 정책 수립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