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cing culture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031초

ZYMV 감염시기가 오이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Infection Times by Zucchini yellow mosaic virus on the Yield and Growth in Cucumber)

  • 고숙주;김도익;강범용;김선곤;이용환;최홍수
    • 식물병연구
    • /
    • 제15권3호
    • /
    • pp.175-182
    • /
    • 2009
  • 본 연구는 시설오이의 ZYMV 감염시기 및 정식기 감염수준이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정식기부터 15일 간격으로 정식 후 75일까지 접종하였을 때 접종시기가 빠를수록 생육이 크게 영향을 받아 만장, 절간장, 엽수가 무처리에 비해 크게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수량도 접종시기가 빠를수록 무처리에 비해 감소율이 높은 경향이었다. 정식기 접종 수준에 따른 정식 20일 후 바이러스 발병율과 수량간의 회귀분석 결과 반촉성작형은 y = $9333.1e^{-0.0317x}$($R^2$= 0.8946), 억제작형은 y = $14695e^{-0.0303x}$($R^2$= 0.8735)의 회귀식을 구할 수 있었다. 또한 최종 수확일로부터 최초 바이러스 발생시기에 따른 수량감소율을 계산하여 최종 수확일까지 잔여일수와 수량감소율간의 회귀분석을 통하여 반촉성작형은 y = 1.0851x - 6.7067($R^2$=0.9567), 억제작형은 y = 1.0439x + 2.1321($R^2$=0.9674)의 회귀식을 산정하였다.

반촉성 관비재배 오이의 생육단계별 시비관리를 위한 일일시비량 및 엽병즙액의 농도 기준 설정 (Determination of Daily Amount of N and K Required in Various Growth Stages and Establishment of Diagnostic Criteria Using Petiole Sap Analysis in the Semi-Forcing Culture of Cucumber)

  • 김기덕;이재욱;조일환;김태영;우영희;남은영;문보흠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96-101
    • /
    • 200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daily application rate and amount of N and K with fertigation during different growth stages in semi-forcing culture of cucumber plants (Cucumis sativus L. cv. Eunseongbaekdadagi). The diagnostic criteria for N and K also investigated based on petiole sap analysis. The dry weight increased slowly until 30 days after transplanting. The highest dry weights were observed at 60 days after planting, then it decreased. As the plant grew, the contents of N and K in the petiole sap and fruit of cucumber decreased. The daily uptake of N and K were highly correlated with the growing days. The $NO_3$ concentrations in petiole sap were in the range from 3,500 to 4,500 mgㆍ$L^{-1}$ in the early growth stage, but those were in the range from 2,000 to 3,000 mgㆍ$L^{-1}$ after then. However, K concentration in petiole sap were in the rang from 5,000 to 7,000 mgㆍ$L^{-1}$ The fluctuation in petiole sap concentration of K was severe in the monthly fertigation and moderate in the daily fertigation. The fertigation by petiole sap diagnosis forced EC of soil to be low and yield to increase compared to the control.

Effects of Different Rootstocks on Fruit Quality of Grafted Pepper (Capsicum annuum L.)

  • Jang, Yoonah;Moon, Ji-Hye;Lee, Ji-Weon;Lee, Sang Gyu;Kim, Seung Yu;Chun, Changhoo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1권6호
    • /
    • pp.687-699
    • /
    • 201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grafted peppers (Capsicum annuum) on different rootstocks on fruit quality. Three pepper cultivars, 'Nokkwang', 'Saengsaeng Matkkwari', and 'Shinhong' were grafted onto five commercial rootstocks that are known to be resistant to Phytophtora blight. Non-grafted or auto-grafted peppers were used as controls. Grafted plants were grown during two consecutive harvest periods by semi-forcing culture (April to August) and retarding culture (September to March the subsequent year). Full size green fruits were harvested and weighed weekly from June to August (Semi-forcing culture) and from December to March of the subsequent year (Retarding culture). The fruit size, weight, flesh thickness, and firmness were measured every month. Total marketable yield was not significantly influenced by either auto-graft of 'Nokkwang', 'Saengsaeng Matkkwari', and 'Shinhong' of pepper or grafted with the five commercial rootsctocks. By contrast, grafting influenced the apparent fruit quality of peppers. Fruit characteristics differed depending on the rootstock cultivars. However, the fruit characteristics of rootstock did not affect the fruit characteristics of scion grafted onto that rootstock. Fruit characteristics in each treatment differed among harvest time (first, second, and third harvest). Fruit quality parameters were also different as affected by the harvest period. In conclusion, apparent quality and textural property of pepper fruits were influenced by not only grafting with different rootstocks but also by the harvest period and harvest time. Accordingly, rootstock/scion combination, the scion variety and the harvest period must be carefully chosen to get the desired optimal fruit quality.

시설재배 오이의 생육시기별 엽 중 다량요소와 미량요소 함량 (Macro and Micro Nutrient Contents in Leaves of Greenhouse-grown Cucumber by Growth Stages)

  • 이주영;성좌경;이수연;장병춘;김록영;강성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215-220
    • /
    • 2011
  • 시설오이 재배작형에 따른 시기별 잎의 무기성분의 지표를 설정하기 위하여 촉성재배 지역 5농가, 반촉성재배 지역 5농가, 전체 10 농가포장을 대상으로 재배현황 및 수량성을 조사하였으며, 잎을 채취 분석하여 생육단계별 엽 중 무기성분 함량을 제시하였다. 작형별 수량은 생육기간이 9개월인 촉성재배가 14.8 톤 $10a^{-1}$, 생육기간이 6개월인 반촉성재배가 10.7 톤 $10a^{-1}$으로 촉성재배에서 현저히 높았다. 오이의 생육초기에 있어서 토양의 pH, 유기물, 치환성 칼륨 등 염기함량은 작형 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EC와 질산태질소, 유효인산 함량 등은 대체로 높은 함량을 보이면서 촉성재배지가 반촉성재배지에 비하여 적정수준이거나 적정수준에 근접하였다. 토양온도 역시 대체로 수량이 많았던 촉성재배지에서 적정수준으로 유지되었다. 엽 중 무기성분함량 중 다량요소인 NPK의 최고함량은 촉성재배에서 정식후 60~80일, 반촉성재배는 100일에서 높았으며, 최고함량으로 볼 때 촉성재배에서 다소 높았다. 촉성재배에서 Ca과 Mg함량은 생육시기별 큰 차이가 없으나 반촉성재배에서 정식 후 80~100일에서 최고값을 보였다. 엽 중 Fe, Mn, Zn 등의 미량요소 함량은 생육기간 간에 일정한 경향이 없었으나 Mn함량은 토양 pH가 다소 낮은 촉성재배에서, B함량은 토양의 유효 B함량이 높았던 반촉성재배에서 높은 결과를 보였다.

연분홍색의 절화용 스프레이국화 'Noble ND' 육성 (Breeding of a New Light Pink Spray-mum 'Noble ND' as Cut Flower)

  • 김현석;성전중;한윤열;최동진;우진하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8권5호
    • /
    • pp.895-898
    • /
    • 2010
  • 절화용 스프레이국화 'Noble ND'는 백색의 아네모네 화형인 '모나리자'에 분홍색의 아네모네 화형인 '다크웰던'을 2004년 10월에 교배를 하여 선발한 계통으로부터 육성하였다. 2006년부터 2년간 촉성재배, 자연재배 및 억제재배 작형에서 특성검정을 실시하였는데, 'Noble ND'는 연분홍색의 아네모네 화형으로 10월 하순에 자연개화하는 중생 추국으로 자연재배 작형에서 본당 착화수는 9.2개, 꽃의 직경은 4.8cm이었다. 촉성재배 작형에서의 개화소요일수는 57일이었고, 본당 착화수는 7.4개였다. 억제재배 작형의 개화소요 일수는 48일이었다.

연분홍색의 절화용 스프레이국화 '브라운엔디' 육성 (Breeding of a New Light Pink Spray-mum 'Brown ND' for Cut Flower)

  • 김현석;한윤열;성전중;최동진
    • 화훼연구
    • /
    • 제18권1호
    • /
    • pp.73-76
    • /
    • 2010
  • 절화용 스프레이국화 '브라운엔디'는 황색의 아네모네 화형인 '노을'에 분홍색의 아네모네 화형인 '달마'를 2003년 10월에 교배를 하여 얻은 계통으로부터 선발하였다. 2005년부터 3년간 촉성재배, 자연재배, 억제재배 등 특성검정을 실시하였다. '브라운엔디'는 연분홍색의 아네모네 화형으로 10월 하순에 자연개화하는 중생 추국으로 자연재배시 본당 착화수는 10.6개이며, 꽃의 직경은 4.1cm이다. 촉성재배시 개화소요일수는 59일이었고, 본당 착화수는 9.1개였다. 억제재배시의 개화소요일수는 49일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