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age Production and Quality

검색결과 310건 처리시간 0.025초

도입 베치 품종 및 한국 야생종의 생육특성과 수량 (Forage Performance of Introduced Vetch Cultivars and Korean Native Vetch)

  • 신정남;김동암;김용원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51-258
    • /
    • 2000
  • 본 시험은 호주에서 도입된 베치 품종과 우리나라 야생종베치의 생육특성, 사료가치, 및 건물수량을 평가하기 위하여 1998년 8윌부터 1999년 5월까지(1년차)와 1999년 9월부터 2000년 4월까지(2년차) 경북 경산 계명문화대학 실습목장에서 수행되었다. 월동륜은 가을 l차 예취구에서 Haymaker plus, Cappelo 및 Namoi가 각 26, 12 및 3%였고 가을에 예취를 하지 않은 구에서는 Haymaker plus와 Cappelo가 100%였고 Namoi가 70%였으며 Popany 와 Victa는 월동되지 못했다. 2년차 시험에서는 Aneto common을 제외하고 Haymaker plus, Namoi, Cappelo, 자운영 및 야생헤어리베치는 월동이 잘 되었다. 1년차 시험에서 50% 개화기는 Namoi가 4월 23일, Cappelo가 4월 24일, Haymaker plus가 4월 26일 이었다. 2년차 시험에서 50% 개화기는 Namoi와 Cappelo가 4월 12일 Haymaker plus가 4월 14일, 자운영이 4월 23일, Aneto common와 야생헤어리베치가 4월 30일 이었다 l년차 시험에서 건물수량은 Haymaker plus가 가장 높았으며(P<0.05), Cappelo와 Namoi는 Popany와 Victa보다 많았다(P<0.05). 2년차 시험에서는 Namoi, Haymaker plus, Cappelo 및 야생헤어리베치가 자운영이나 Aneto common보다 많았다(P<0.05). 조단백질의 함량은 비교적 높았으며 자운영과 Aneto common은 다른 베치 품종에 비하여 다소 낮았다. ADF 함량도 자운영이 낮았고 다른 베치 품종간에 유사하였다. 따라서 본 시험의 결과에 의하면 가을 파종용 베치 품종은 Haymaker plus를 선택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조사료 급여 수준이 Holstein 착유우의 산유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orage Feeding Level on the Milk Production Characteristics of Holstein Lactating Cows)

  • 이배훈;;김현섭;성경일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45-51
    • /
    • 2013
  • 본 실험은 조사료와 농후사료비율(조:농비)에 따라 low forage(LF)구 및 high forage(HF)구로 나누어 Holstein 착유소(초산) 10두를 각 5두씩 배치하여 실시하였다. LF구는 조:농비가 37:63로 BIRG 사일리지와 혼합건초를 포함한 조사료의 급여량을 줄인 반면 농후사료를 다량 급여하였다. HF구는 조:농비가 62:38로 농후사료 급여량을 줄인 반면 BIRG 사일리지와 혼합건초를 포함한 조사료를 다량 급여하였다. 평균 조사료섭취량은 LF구 7.1 및 HF구 13.0 kg으로 HF구에서, 평균 농후사료 섭취량은 LF구 12.3 및 HF구 7.9 kg으로 LF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총 사료 섭취량은 LF구 19.4 및 HF구 20.9 kg으로 HF구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CP, TDN 및 NEL 섭취량은 두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실제 산유량은 LF구 26 및 HF구 23.9 kg/d 으로 처리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p>0.05) LF구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 4% FCM은 LF구 22.8 및 HF구 22.3 kg/d 으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HF구에서 유지방 함량은 높고 MUN 함량은 낮았다. 우유의 C14:0, C16:0 및 C16:1n7 함량은 HF구가 LF구 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으나(p<0.05), 그 외의 우유지방산은 두 처리구간에 차이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연구에서와 같이 급여 사료 중 BIRG 사일리지와 수입건초와 같은 조사료를 적절하게 배합하여 다량급여 하여도 착유소(초산우)에 필요한 영양소 충족이 가능하여 산유량의 감소가 없는 것으로 사료된다.

수확시기별 예건시간에 따른 귀리의 수분함량과 사일리지 품질변화 (Effect of Pre-wilting Time on the Change of Moisture Content and Its Silage Quality at Different Harvest Stages of Whole Crop Oat)

  • 송태화;한옥규;윤성근;박태일;김경훈;김기종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35-142
    • /
    • 2010
  • 이 연구는 고품질 귀리 사일리지의 제조를 위한 수확시기별 적정 예건시간을 도출하고자 수행하였다. 시험은 국내 육성품종인 삼한귀리를 가을에 파종하고 이듬해 봄인 출수 후 20일 부터 10일 간격으로 3회에 걸쳐 수확하여 각 수확시기별로 0, 4, 8, 32시간동안 예건을 실시하였으며, 각 예건시간별 식물체의 수분변화와 사일리지 제조 후 품질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귀리는 출수 후 20일 정도에 수확할 경우 4시간 정도 포장예건을 하고, 출수 후 30일 정도에 수확할 경우에는 사일리지 제조에 적합한 수분함량에 도달하여 예건이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일리지도 수분함량이 약 55~65% 정도가 도달한 시기에 수확한 처리구나 그 수준에 도달하도록 예건한 처리구에서 전체적인 사료가치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일리지 품질 평가기준의 중요한 요인인 pH와 유기산은 수분변화에 따라 아주 큰 변이를 보였는데 55~65%의 수분조건에서 젖산 함량이 높게 나타났고, 초산과 낙산 함량이 낮았다. 따라서 귀리는 출수 후 20일 경에 수확 시에는 4시간 정도 포장예건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이후에는 바로 수확하여 곤포로 제조하여도 양질의 사일리지를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Effects of diet and castration on fatty acid composition and volatile compounds in the meat of Korean native black goats

  • Jinwook Lee;Hye-Jin Kim;Sung-Soo Lee;Kwan-Woo Kim;Dong-Kyo Kim;Sang-Hoon Lee;Eun-Do Lee;Bong-Hwan Choi;Farouq Heidar Barido;Aera Jang
    • Animal Bioscience
    • /
    • 제36권6호
    • /
    • pp.962-972
    • /
    • 2023
  • Objective: This study determined the effects of dietary treatments and castration on meat quality, fatty acids (FAs) profiles, and volatile compounds in Korean native black goats (KNBG, Capra hircus coreanae), inclu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pulation of rumen microbiomes and meat FA profiles. Methods: Twenty-four KNBG (48.6±1.4 kg) were randomly allocated to one of four treatments arranged into a 2×2 factorial structure. The factors were dietary forage to concentrate ratio (high forage [HF, 80:20] and low forage [LF, 20:80]), and a castration treatment (castration [CA] vs non-castration [NCA]). Results: Among meat quality traits, the CA group exhibited a higher percentage of crude fat and water holding capacity (p<0.05). The profiles of the saturated fatty acid (SFA) in meat sample derived from CA KNBG showed a significantly lower percentage compared to NCA individuals, due to the lower proportion of C14:0 and C18:0. Feeding a high-forage diet to KNBG increased the formation of C18:1n7, C18:3n3, C20:1n9, C22:4n6 in meat, and polyunsaturated fatty acid (PUFA) profiles (p<0.05). Consequently, the n6:n3 ratio declined (p<0.05). There was an interaction between dietary treatment and castration for formation of C20:5n3 (p<0.05), while C18:1n9, C22:6n3, monounsaturated fatty acid (MUFA) and the MUFA:SFA ratio were influenced by both diet and castration (p<0.05). Nine volatile compounds were identified and were strongly influenced by both dietary treatments, castration (p<0.05), and their interaction. In addition,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revealed distinctly different odor patterns in the NCA goats fed LF diets. Spearman correlation analysis showed a high correlation between rumen bacteria and meat PUFA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e essential effects of the rumen microbial population for the synthesis of meat FAs and volatile compounds in KNBG meat, where dietary intake and castration also contribute substantially.

초지에 대한 인산질비료의 시용에 관한 연구 I. 초지조성 및 관리시에 인산질비료의 시용이 목초의 수량 및 에너지축적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Phosphatic fertilizer Application Grassland I. Effect of phosphatic fertilizer at th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grassland on the yield and energy value of grasses)

  • 박근제;이필상;최기준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99-104
    • /
    • 1993
  • With a purpose of finding out the effects of phosphatic fertilizer application at the grassland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n the dry matter yield and quality of grasses, a field experiment was arranged with four treatments as a randomized complcte block design and lasted from September, 19 89 to October, 1991 in hilly area near Suwon.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s a early plant growth. winter hardiness. growth vigour and coverage of grasses of the plots with phosphatic fertilizer were better than those of the plots without $P_2O_5$. and the effect of application at the management was much better than that at the establishment of grassland. 2. The effect of phosphatic fertilizer on DM yield of legume was higher than of grass. Total DM yield with phosphatic fertilizer at the only establishment (5.688 kg/ha). at the only management (8.014 kg/ha) and at both th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grassland (1 1,082 kg/ha) was much more increased by 38, 95 and 169% than that without phosphatic fertilizer (4.1 19 kg/ha), respectively. 3. The chemical component of crude protein and crude fat with phosphatic fertilizer was a little higher, on the other hand, content of NFE was lower than that without $P_2O_5$ fertilization, but the contents of crude fiber and crude ash did not tend to differentiate between treatments. 4. Production of encrgy(TDN, StE and NEL) with phosphatic fertilization at the establishment and the management of grassland was appeared to increase by 34 to 390h and 72 to 99% than that without $P_2O_5$, respectively. Production of curde protein with $P_2O_5$ tended to be similar to production of energy.

  • PDF

Effect of Moisture Content and Storage Periods on Nutrient Composition and Organic Acids Change in Triticale Round Bale Silage

  • Ilavenil Soundharrajan;Jeong-Sung Jung;Hyung Soo Park;Hyun Jeong Lee;Ouk‐Kyu Han;Ki-Choon Choi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270-275
    • /
    • 2022
  • Livestock production costs are heavily influenced by the cost of feed, The use of domestically grown forages is more desirable for livestock feed production. As part of this study, triticale, which is an extremely palatable and easily cultivable crop in Korea, was used to produce low moisture silage bales with lactic acid bacteria (LAB) and then stored for different periods. We examined the nutrient content of silage, such as crude protein (CP), acid detergent fiber (ADF) and neutral detergent fiber (NDF), as well as their organic acids, including lactic acid, acetic acid, butyric acid, at different storage periods. The nutrient content of silages, such as crude protein, ADF, and NDF,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throughout storage periods. Organic acid data indicated that lactic acid concentrations increased with increasing moisture contents and storage periods up to nine months. However, further extending storage to 12 months resulted in a reduction in the lactic acid content of all silages as well as an increase in their pH. Based on the present results, it suggested that the production of low moisture silage with the LAB may be able to preserve and maintain its quality without altering its nutritional composition. Also, the lactate content of the silage remained significant for at least nine months.

연맥-헤어리베치 혼파에 의한 사료가치 및 생산성 향상 연구 (Studies on the Quality and Productivity Improvement by Mixed Sowing of Oat-Hairy Vetch)

  • 김종근;정의수;윤세형;서성;서종호;박근제;김충국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31-36
    • /
    • 2002
  • 본 연구는 동계 사료작물의 사료가치와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겨울철에 일년생 두과작물 헤어리베치와 연맥을 3년간('99∼'01) 혼파 재배하였는데 도출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맥과 헤어리베치의 혼파재배시 연맥과 헤어리베치의 출수기 및 개화기 등 생육은 큰 차이가 없었다. 사료가치를 보면 건물함량이 가을수확에서 15∼16%, 봄 수확에서 19∼20% 였고 조단백질 함량은 헤어리베치 단파시 30.1%로 가장 높았는데 연맥과 헤어리베치를 혼파했을 때는 연맥 단파보다 조단백질 함량이 높아졌다. ADF, NDF, 건물소화율 및 TDN 함량 등도 연맥단파보다 연맥+헤어리베치 혼파시 더욱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물 수량은 연맥 단파구에서 3.7∼4.4톤/ha를 얻을 수 있으나 가을에 연맥과 헤어리베치를 혼파할 경우는 가을에 일차적으로 수확하여 사초로 이용하고 이듬해 봄에 재생한 헤어리베치를 또한 사료로 이용할 수가 있어 전체 약 9.5톤/ha 이상의 사초 건물수량을 얻을 수 있었고 이 때 조단백질 수량 및 TDN 수량도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기존의 가을에 연맥을 단파하는 것보다 연맥의 파종시 헤어리베치를 혼파하여 파종하는 것이 사초수량 뿐만 아니라 사료의 가치를 높일 수 있어 바람직하였다.

수단그라스, 수단그라스잡종 및 수수-수단그라스잡종의 사초생산성 V. 수단그라스계 장려품종의 비교 (Performance of Sudangrass, Sudangrass Hybrids and Sorghum-Sudangrass Hybrids for Forage Production V. Comparison of recommended cultivars of sorghum-sudangrass hybrids)

  • 김동암;김종림;권찬호;김원호;김종관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58-263
    • /
    • 1991
  • 현재 축산업협동조합중앙회가 권장하는 수단그라스계 잡종의 장려품종은 10종이 있으나 이들은 동일한 환경조건하에서 함께 평가된 일이 없다. 따라서 본 시험은 수원소재 서울대 농대의 사초시험포장에서 2년간에 걸쳐 수단그라스계 잡종의 축협장려품종에 대한 사초수량과 사료가치를 비교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10종의 공시품종중 G83F 및 NC$^{+}$855는 조생품종으로 분류되었으며 Pioneer 988 및 Sordan 79는 다른품종에 비하여 잎마른병에 강하였다. Jumbo, Sordan79 및 SX-17 품종은 도복이 많이 되었다. 사초의 건물수량에 있어서는 공시품종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Pioneer 988, TE-Haygrazer 및 G83F는 1989년에 다른 품종보다 수량이 좀 높았고 NC$^{+}$855 및 Pioneer 988은 1990년에 높았다. 1990년에 조사된 공시품종간의 CP, ADF, NDF 및 RFV에 있어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3회 수확시 수단그라스계 잡종의 ADF, NDF 및 RFV는 1회 및 2회 수확시보다 높았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축협장려품종인 10종의 수단그라스계 잡종간에는 사초수량에 있어서 차이가 없다고 할 수 있다

  • PDF

조숙 내도복 종실 다수성 조사료용 트리티케일 품종 '조영' ('Choyoung', Triticale Cultivar for Forage of Early-Heading, Resistance to Lodging and High Seed Production)

  • 한옥규;박형호;박태일;오영진;안종웅;구자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68-74
    • /
    • 2019
  • 트리티케일 품종 '조영'은 2015년에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에서 육성되었다. '조영'은 넓이가 중간이고 길이가 긴 녹색 잎과 갈색이면서 중간 길이의 종실을 가졌다. '조영'은 출수기가 전국 평균 4월 30일로 표준품종인 '신영'보다 2일 빨랐으며, 한해는 '신영'과 대등하였고, 줄기가 굵고 초장이 짧아 도복에는 강하였으며, 습해 흰가루병 잎녹병 등에 저항성을 보였다. 생초수량은 ha당 평균 40.5톤, 건물수량은 15.7톤으로 표준품종과 대등하였다. 품질특성으로 '조영'은 '신영'에 비해 조단백질 함량이 5.9 %로 다소 높았고, NDF 및 ADF 함량도 각각 57.3 %와 33.9%로 다소 높았으며, TDN 함량은 62.2 %로 약간 낮았다. '조영'은 종실 수량이 ha당 5.59톤으로 4.05톤인 '신영'에 비해 38 %가 많았다. 적응지역은 1월 최저평균기온이 $-10^{\circ}C$ 이상인 지역이면 전국 어느 곳에서나 재배가 가능하다.

연맥의 사초특성 및 품질에 미치는 파종량 및 파종기의 영향 (Seeding Rate and Planting Date Effects on Forage Performance and Quality of Spring Oats)

  • 김수곤;김종덕;박형수;김동암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33-240
    • /
    • 1999
  • 가을철 봄 연맥의 생산을 위해 파종량과 파종기간의 관계를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시험은 파종량 및 파종시기가 사초용 연맥 (Avena sativa L.)의 사초특성 및 사료가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1997년 8월 15일부터 10월 24일까지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부속실험목장의 사초시험 포장에서 실시되었으며, 파종량은 ha당 150, 200 및 250kg을 주구로 하고, 파종시기(월/일) 인 8/15, 8/22, 8/29, 9/5를 세구로 하는 분할구 시험법으로 3반복 설계 배치하였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건물 함량(DM%)은 파종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9월 5일 파종기(24.8%)를 제외한 다른 파종기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P<0.01), 8월15일 파종시는 23.0%, 22일은 21.5%, 29일은 20.5%가 됐다. 연맥의 건물 함량에 대하여 파종량 및 파종시기간에는 유의적인 교호작용이 있었다(P<0.01). 조단백질(CP) 함량은 파종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15.6%에서 27.9%로 유의적으로(P<0.01) 증가됐다. 연맥의 조단백질 함량에 대하여 파종량 및 파종시기간에 유의적인 교호작용이 있었다(P<0.01). ADF 및 NDF 함량은 파종시기가 빠른 것이 높게 나타났으며(P<0.01), 파종량에 있어서는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In vitro 건물 소화율은 파종량이 많고 파종시기가 늦은 것이 높게 나타났다(P<0.01). Ha당 평균건물 수량은 2,647kg에서 615kg으로 나타나 파종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유의적으로 계속 감소하였으며(P<0.01), 파종량간에 있어서는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연맥의 평균 건물수량에 대하여 파종량 및 파종시기간에는 고도의 유의적인 교호작용이 있었다. 평균 조단백질 수량은 ha당 171kg에서 410kg으로 나타나 파종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계속 증가하였으며, 파종량에 있어서는 파종량이 많을수록 유의성이 인정되었다(P<0.01). 따라서 연맥의 평균 조단백질 수량에 대하여 파종량 및 파종시기간에는 유의적인 교호작용이 있었다(P<0.01). In vitro 가소화 건물(IVDDM)수량은 파종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계속 감소하였으며(P<0.01), 파종량에 있어서는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 우리나라에서 사초용 연맥의 수량 증수 및 사료가치의 향상을 위해 파종량은 ha당 200kg, 파종시기는 8월29일 이전이라고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