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age Grasses

검색결과 207건 처리시간 0.027초

표고 400m 제주 중산간 지역에서 혼합조합별 초지 생산성 및 식생구성 (Effect of Seed Mixture on Forage Yields and Botanical Composition at an Altitude of 400 m in Jeju island)

  • 채현석;김남영;우제훈;신문철;손준규;성필남;이왕식;김시현;황경준;김영진;박남건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9-27
    • /
    • 2017
  • 본 연구는 제주지역의 표고 400 m에서 말 방목용으로 적합한 남방형 및 북방형 목초를 활용하여 북방형과 남방형 목초를 혼합하거나 북방형 목초 만을 파종하였고 또한 말의 방목 시 섭취 특성을 고려하여 북방형 목초는 상번초와 하번초로 구별하여 처리를 나누었다. 북방형 목초는 하번초인 캔터기블루그라스(Kentucky bluegrass)와 레드톱(redtop), 상번초인 오차드그라스(orchard grass), 톨페스큐(tall fescue)를 공시하였다. 남방형 및 북방형 혼합 형태에서 처리 1은 하번초 위주로 구성하여 버뮤다그라스에 캔터키부루그라스+레드톱을 혼합하였고, 처리 2는 버뮤다그라스에 상번초인 톨페스큐+오차드그라스를 혼합하였다. 북방형 목초 만으로 혼합한 형태인 처리 3은 하번초 위주인 캔터키부루그라스+레드톱을 혼합하였고 처리 4는 상번초인 톨페스큐와 오차드그라스를 혼합하였다. 제주지역의 표고 400 m에서는 남방형 목초인 버뮤다그라스가 한해 피해를 입어 생육이 저조하였다. 초장은 평균적으로 남방형 및 북방형 목초 혼합구 보다는 북방형 목초 만혼합한 처리구에서 더 크게 자랐으며 특히 상번초인 톨페스큐+오차드그라스를 혼합한 처리구에서 가장 크게 성장하였다. 건물 수량은 남방형 및 북방형 목초 혼합구 보다는 북방형 목초구에서 더 많은 수량을 나타내었고 특히 하번초인 켄터기블루그라스+레드톱 혼합 처리구가 가장 높은 수량은 나타내었다. 식생분포에서는 1차 조사의 경우 처리 1과 처리 2에서 버뮤다그라스가 11.7%, 13.3%으로 저조한 생육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겨울철 버뮤다그라스가 한해 피해를 받아 생육이 저조하였고 반면에 켄터키블루그라스, 레드톱, 톨페스큐, 오차드그라스의 생육은 양호 하였다. 2차 조사에서는 처리 1과 처리 2에서 버뮤다그라스가 5.0%, 11.7%으로 1차 조사 때 보다 더욱 생육이 위축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조단백질과 NDF, ADF의 소화율에서는 남방형 및 북방형 목초를 혼합한 처리구에서 더 우수한 목초의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상번초 보다는 하번초 혼합 처리구에서 좋은 값을 나타 내었다. 무기물에서는 남방형 목초인 버뮤다그라스와 북방형 하번초가 혼합한 처리 1의 경우는 P 함량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고 Ca, Mg, Mn 함량이 낮게 나타났으며, 남방형 목초와 북방형 상번초인 처리 2는 Ca, K, Mg, Na, Cu, Zn, Fe 함량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북방형 하번초로 구성된 처리 3은 K, Mg, Na, Cu, Zn, Fe의 함량이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상의 결과를 살펴볼 때 제주지역 표고 400 m에서 말 방목에 적합한 방법은 남방형 목초는 겨울철 한해 피해로 생육이 저조하여 북방형 하번초위주로 혼합하여 파종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Effects of Surface-Applied Dairy Slurry on Herbage Yield and Stand Persistence : I. Orchardgrass, Reed Canarygrass and Alfalfa-Grass Mixtures

  • Min, D.H.;Vough, L.R.;Chekol, T.;Kim, D.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2권5호
    • /
    • pp.758-765
    • /
    • 1999
  • Comparative studies of the effects of rates and frequency of application of dairy slurry on herbage yield and stand persistence of alfalfa and various forage grasses have not previously been conducted. The results being reported here are part of a larger study having a primary objective of comparing the effectiveness of alfalfa (Medicago sativa L.), various grasses and alfalfa-grass mixtures for utilizing nutrients from applied dairy slurry. The objectives of this part of the study were to evaluate the effects of various rates and frequencies of application of slurry on herbage yield and stand persistence of orchardgrass (Dactylis glomerata L.), reed canarygrass (Phalaris arundinacea L.), and alfalfa-orchanrdgreass and alfalfa-reed canarygrass mixtures managed as a 4-cutting management system.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with treatments in a split plot arrangement with four replicates was used. The main plots consisted of 9 fertility treatments: 7 slurry rate and time of application treatments, one inorganic fertilizer treatment, and an unfertilized control. The sub-plots consisted of the two grasses and two alfalfa-grass mixture mentioned above. Slurry was composed from stored solids scraped from the alleyways of a free-stall housing barn and water added to form a slurry having about 8% solids. Manure was pumped from a liquid spreader tank into 10.4 L garden water cans for manual application to the plots. Herbage yields within species were generally unaffected by various rates of application in the first production year. Herbage yields of grasses and alfalfa-grass mixtures the second year were generally not affected by frequency of application for the same rate of slurry applied. Slurry application resulted in greater herbage yield increases in grasses than alfalfa-grass mixtures in the 4-cutting management system. In general, herbage dry matter yields of grasses from the dairy slurry treatments equaled or exceeded yields from the inorganic fertilizer treatment. Stand ratings of grasses and alfalfa-grass mixtures were not changed by manure application rates. In this study, the highest rate of slurry ($967kg\;total\;N\;ha^{-1}$ in 1995 plus $2,014kg\;N\;ha^{-1}$ in 1996) was not detrimental to herbage yields or stand persistence of any of the species. It was concluded that applying dairy slurry to these cool-season grasses and alfalfa-grass mixtures managed in a 4-cutting system is an acceptable practice from the standpoint of herbage yield and satnd persistence and by doing so the utilization of inorganic fertilizers can be reduced.

Effects of Natural Grass Forage to Concentrate Ratios and Feeding Principles on Milk Production and Performance of Crossbred Lactating Cows

  • Sanh, M.V.;Wiktorsson, H.;Ly, L.V.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5권5호
    • /
    • pp.650-657
    • /
    • 2002
  •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forage:concentrate ratios and feeding principles on milk yield, milk composition, body weight change, postpartum oestrus and feed cost. A total of 36 crossbred F1 cows (Holstein Friesian${\times}$Local Yellow) in the 8th week of lactation were used. In each experiment, animal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using a randomized block design according to the milk yield of the previous eight weeks. Cows were fed 30, 50 and 70% concentrate in the diet based on DM. In experiment 1 (Fc), cows were given the same amount of DM with constant ratios of forage and concentrate within treatments. In experiment 2 (Fa), cows were given the same constant amounts of concentrate as in experiment 1 and ad libitum forage. The forage consisted of a natural grass mixture based on 5 species of grasses with high nutritive values. There was no difference in total DM intake between treatments within experiments. However, cows fed forage ad libitum had higher DM intakes compared to cows fed constant forage (1.6, 4.5 and 9.5% for cows fed 70, 50 and 30% forage, respectively). Daily milk yield of cows fed forage ad libitum was higher than that of cows fed constant forage:concentrate ratio. Within experiment, milk yield was highest for cows fed 30% DM forage, followed by cows fed 50% and then cows fed 70% forage (11.17, 10.98 and 10.71 for the 30Fc, 50Fc and 70Fc cows; 11.73, 11.16 and 10.81 kg for the 30Fa, 50Fa and 70Fa cows, respectively). Decreased forage ratio in the diets resulted in decreased milk fat content and tended to increase milk protein. Increased concentrate ratio in the diet and feeding forage ad libitum increased body weight gain. The effect of forage:concentrate ratio on postpartum oestrus was not significant. The feed cost per kg milk produced was lowest for the cows fed 70% forage. It is concluded that increased ratio of concentrate resulted in increased body weight gain, milk yield, milk protein, and decreased milk fat. Feeding forage ad libitum increased feed intake, milk yield and body weight gain. The ratio of 50% forage is more suitable for milk production and animal condition, but in terms of feed cost and under the conditions of small dairy farmers, the 70% ad libitum forage feeding is recommended.

임간초지 발전에 관한 연구 IX. 임간초지에서 예취횟수와 예취높이가 목초의 생육과 수량 및 초지식생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Grassland Development in the Forest IX. Effect of cutting times and cutting heights on growth and dry matter yield of grasses, and botanical compowition on woodland pasture)

  • 서성;이종경;한영춘;박문수;황석중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35-140
    • /
    • 1988
  • 본 시험은 林間草地에서 연간 예측회수(3,4,5回)와 예취높이 (3,6,9cm)가 목초의 生育과 收量 및 초지地植生에 미치는 영향을 究明하여 임간초지의 생산량증대와 이용年限延長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실시되었으며, 林間地의 조건은 南向인 소나무 지대로 選光程度는 30%였다. 연간 예취回數별 乾物收量은 4회 예취구(6097kg), 3회 예취구 (5953kg) > 5회 예취구 (5305kg/ha)순이였으나, 館料價植를 고려한 수량차이는 크지 않을 것으로 사료된다. 예취높이별 乾物수량은 예취회수에 관계없이 예취높이가 3,6,9cm로 높아짐에 따라 有意的으로 증가하였으며 (P

  • PDF

제주지역 표고 200 m에서 혼합조합별 초지 생산성 및 식생구성 (Effect of Pasture Mixtures on Forage Yields and Botanical Composition in Jeju at Altitude of 200 m)

  • 채현석;김남영;우제훈;박설화;손준규;백광수;이왕식;김시현;황경준;김영진;박남건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325-332
    • /
    • 2016
  • 본 연구는 말 방목용으로 적합한 남방형 및 북방형목초를 선발하기 위하여 북방형과 남방형목초를 혼합하거나 북방형목초만을 파종하였고 또한 말의 목초 섭취 특성을 고려하여 북방형목초는 상번초와 하번초로 구별하여 처리를 나누었다. 북방형목초는 하번초인 캔터기블루그라스(Kentucky bluegrass)와 레드톱(redtop), 상번초인 오차드그라스(orchard grass), 톨 페스큐 (tall fescue)를 공시하였다. 남방형목초로는 하번초인 버뮤다그라스를 공시하였다. 남방형 및 북방형 혼합 파종으로 처리 1에서는 하번초위로 구성하여 버뮤다그라스에 캔터키부루그라스 + 레드톱을 혼파하였고, 처리 2는 버뮤다그라스에 상번초인 톨 페스큐+ 오차드그라스를 혼파하였다. 처리 3은 하번초 위주의 북방형목초 캔터키부루그라스+ 레드톱을 혼합 파종하였다. 처리 4는 상번초인톨 페스큐와 오차드그라스를 혼합 파종하였다. 표고 200 m에서는 한해와 도복 피해는 없었다. 초장은 평균적으로는 처리 1이 53.9 cm, 처리 2가 58.2 cm, 처리 3이 57.5 cm, 처리 4가 78.1 cm으로 남방형 및 북방형목초 혼합구 보다는 북방형목초구에서 초장이 더 컸으며 특히 북방형목초 중상번초로 구성된 처리 4의 초장이 가장 컸다. 건물 수량은 처리 1이 12,412 kg, 처리 2가 12,077 kg, 처리 3이 14,884 kg, 처리 4가 16,496 kg으로 남방형 및 북방형목초 혼합구보다는 북방형목초구에서 더 높은 수량을 나타내었고 특히 상번초인 처리 4가 가장 많았다. 식생분포는 1차 조사에서 는 처리 1과 처리 2에서 버뮤다그라스가 70%, 66.7%으로 버뮤다그라스가 우점이 되어 켄터키 블루그라스, 레드톱, 톨 페스큐, 오차드그라스의 생육이 전체적으로 저조하였다. 2차 조사에서는 처리 1에서 버뮤다그라스가 80.0%으로 버뮤다그라스 우점 현상이 더욱 심하여졌다. 조단백질과, NDF, ADF, TDN을 고려했을 때 켄터키블루그라스와 레드톱이 들어간 처리구가 사료가치가 우수하였고 톨 페스큐와 오차드그라스가 들어간 처리구가 상대적으로 좋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난방형목초인 버뮤다그라스를 혼합하였을 때는 중간 정도의 성적을 나타내었다. 이상을 종합해볼 때 말 방목에 적합한 방법은 남방형목초와 북방형목초를 혼파하였을 때는 남방형목초가 우점하는 경향을 나타내어 북방형목초의 생육을 방해하므로 남방형 및 북방형목초의 혼파를 피하고 서로 포장을 분리해서 한쪽은 남방형목초를 파종하고 다른쪽은 북방형목초를 파종해서 말을 윤환방목 시키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월동전후 초지관리에 관한 연구 IIV. 혼파초지에서 월동전 3요소 시비수준이 목축의 월동과 이른 봄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Grassland Management in Late-Autumn and Early-Spring IV. Effect of application levels of NPK fertilizer in late-autumn on witer survival, early spring growth and yield of grasses)

  • 서성;한영춘;박문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82-87
    • /
    • 1989
  • A field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s of 11 different application levels of nitrogen (N), phosphorous ($P_2O_5$) and potassium($K_2O$) fertilizer in late-autumn on the winter survival, early spring growth and dry matter(DM) yield, carbohydrate reserves (CHO-R) in stubble of grasses, and botanical composition in orchardgrass dominated existing pasture in Suwon from October, 1987 to May, 1988. Winter survival of grasses was high (ca. 90%) in all N-fertilized plots, regardless of $P_2O_5$ and $K_2O$ application, and those in zero-N and zero-NPK plots were low as 86.5% and 81.4%, respectively. Early spring growth was vigorous in N-fertilized plots. Heading rate at the fist harvest was 80-86% in all N plots, regardless of $P_2O_5$ and $K_2O$, while those in zero-N and zero-NPK plots were very low as 61% and 56%, respectively. The DM yield of first harvest was higher in the plots of N 35 kg(Site B) and N 70kg $ha^{-1}$ (Site A), regardless of $P_2O_5$ and $K_2O$ level, and those in zero-N and zero-NPK plots were very low (p < 0.05).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yield was observed between N 75 kg and N 105 kg. CHO-R in stubble and legumes were high in zero-N and zero-NPK plots, and low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winter survival and CHO-R of grasses. Winter survival, early spring growth and DM yield we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N fertilizer. In this experiment, the optimum application level of N in late-autumn could be recommended in 35-70 kg $ha^{-1}$, and no beneficial effects were observed by $P_2O_5$ and $K_2O$ fertilizer.

  • PDF

초지에 대한 인산질비료의 시용에 관한 연구 II. 초지조성 및 관리시에 인산질비료의 시용이 초지식생 및 목초의 무기물 함량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Phosphatic Fertilizer Application in Grassland II. Effects of phosphatic fertilizer application at th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grassland on the botanical composition and mineral content of grasses)

  • 박근제;이필상;최기준;황석중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68-273
    • /
    • 1993
  • 본 시험은 초지조성시와 관리시에 시용하는 인산질 비료의 시용이 초지식생, 목초 및 토양의 무기물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코자 무시용구의 3처리를 난괴법 3반복으로 포장 배치하여 1989년 9월부터 1991년 10월까지 수원 근교에서 수행되었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인산질 비료 무시용구의 식생은 불량하였으며 인산시용에 의해서 두과 목초의 비율이 증가되었는데 특히 초지관리시의 인산효과가 현저하였다. 2. 목초의 무기물 함량중 질소, 인, 칼슘, 마그네슘 등은 인산 시용구에서 증가되었고 K/Ca+Mg 당량비는 낮아졌으나, K 및 Ca/P는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3. 인산 시용에 의해 표토(0∼10cm)의 유효인산함량. Ca및 Mg의 치환용량은 현저히 증가되었으나 칼륨은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4. 산지 초지조성 및 관리시에 인산질 비료의 시용은 필수적이며 특히 초지관리시의 지속적인 시용은 조성시의 무시용을 거의 보완할 수 있었다.

  • PDF

조사료원에 따른 한국 재래산양의 채식습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ood habits of Korean native goats fed with roughage sources)

  • 강병호;이인덕;이수기;이형석
    • 농업과학연구
    • /
    • 제38권3호
    • /
    • pp.445-452
    • /
    • 2011
  • The object of this experiment was to investigate the food habits of Korean native goats fed with various roughage sources. The experimental trials were conducted at Unbong Animal Genetic Resources Station in 2008. The experimental roughages include five sources and 25 species in all; grasses and legumes: 5 species (mixed grasses, orchardgrass, tall fescue, alfalfa, white clover), native grasses and weeds: 5 species (mixed native grasses, Miscanthus sinensis Anderss, Arundinella hirta (Thunb.) Tanaka, Barnyard grass, short awn, forage crops and straw: 5 species (barley + hairy vetch, wheat + hairy vetch, rye silage, barley silage, baled rice straw), browse and fallen leaves: 5 species (Mixed browse, Oriental white oak, Quercus serrta Thunb., Oriental cherry fallen leaves, Japanese chestnut fallen leaves), and imported hay and straw: 5 species(timothy hay, tall fescue straw, annual ryegrass straw, klinegrass hay, alfalfa hay). Ten Korean native goats were selected which had nearly the same body weight (average $24{\pm}2.8$ kg).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dry matter digestibility of each roughage source and speci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the sampling area, plant species, growth stages and cutting period (p<0.05). Among all the 25 species of roughages, the favorite intake species order by Korean native goat was observed like this: Quercus aliena, Querancas serrta Thunb and Mixed browse, which was a lower intake compared to other domestic herbivores. The Korean native goats ate more roughages which had low fibrous contents, but high dry matter digestibility. The Korean native goats ate more roughages which had low fibrous contents, but high dry matter digestibility. On the other hand, compared to each roughage source, total intake amount by Korean native goats was showed as browse and fallen leaves (33.1%) among trials roughage sources. Based on these results, the food habit of Korean native goats seems to be closer to the browser.

토양산도의 차이가 주요화본과목초의 뿌리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fferent Soil pH on the Root Growth of Temperate Grass Species)

  • 이혁호;박근제;이종열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7
    • /
    • 1987
  • A pot experiment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oot elongation and weight of grasses, i.e. Orchardgrass, tall fescue and perennial ryegrass under the conditions adjusted pH of half vertical part of pot soil to seven levels from 2 to 8. 1. Root growth was drastically decreased as soil pH was lowed. 2. Higer the soil pH, longer the root length. Increase of soil pH to 6 increased the root length of orchardgrass, perennial ryegrass and tall fescue. 3. Regardless of grass species, most of roots distributed to the soil which adjusted pH from 6 to 7. 4. Dry weight of root was increased to pH 7 of soil in orchardgrass and perennial ryegrass and was 55 to 78% of production of pH 6 compared with soil pH 7. In case of tall fescue, dry root weight in the soil pH 7 was 69.8% of root weight growed in soil pH 6.

  • PDF

임간초지 개발에 관한 연구 IV. 임간지에서 춘파초지개량 가능성과 주요 미기상 조사 (Studies on the grassland Development in the Forest IV. Possibility of the grassland improvement by spring sowing and microenvironmental conditions in the forest)

  • 박문수;한영춘;서성;이병석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31-37
    • /
    • 1986
  • 본(本) 시험(試驗)은 임간지(林間地)(차광정도(遮光程度) 50%)에서 춘파초지(春播草地) 개량(改良) 가능성(可能性)을 나지(裸地)(자연광(自然光) 조건(條件))와 병행하여 비교(比較) 검토(檢討)하고자 파종시기(播種時期)를 3월(月) 20일(日)과 4월(月) 10일(日)로 하여 출현(出現), 식생피복도(植生被覆度), 목초율(牧草率), 잡초율(雜草率), 근중(根重) 및 수량(收量) 등과 주요(主要) 미기상(微氣象)을 1984년도(年度) 수원(水原) 축산시험장(畜産試驗場)에서 동시에 조사(調査)하였던 바 얻어진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파종후(播種後)부터 생육초기(生育初期)에는 나지초지(裸地草地) 임간초지(林間草地)에 비해 유리(有利)한 환경조건(環境條件)이었으나 그 후의 생육(生育)은 임간초지(林間草地)에서 더 유리(有利)하였다. 특(特)히 한발(旱魃) 및 고온기간중(高溫期間中) 임간초지(林間草地)는 지표온도(地表溫度) $6{\sim}7^{\circ}C$, 지중온도(地中溫度) $3{\sim}4^{\circ}C$의 저하효과(低下效果)와 함께 토양수분(土壤水分)을 계속하여 높게 유지(維持)시켜 주었다. 2. 3월(月) 20일(日) 파종구(播種區)에서 목초(牧草)의 출현(出現)은 나지초지(裸地草地)가 임간초지(林間草地)에 비해 8일(日)정도 빨랐으나 4월(月) 10일(日) 파종구(播種區)는 차이가 없었다. 3. 임간지(林間地) 목초(牧草)는 나지(裸地)에 비해 초형(草型)은 부복특성(俯伏特性)을 보여 주었으며 엽상태(葉狀態)는 약간 불량(不良)하였다. 4. 예취시(刈取時) 임간초지(林間草地)의 목초율(牧草率) $80{\sim}85%$로 높았으나, 나지초지(裸地草地)는 $15{\sim}20%$로 낮았으며, 목초율(牧草率) 파종시기(播種時期)가 빠를 때 높은 경향이었다. 5. 근중(根重) 및 근장(根長) 등 목초(牧草)의 뿌리 발육상태(發育狀態)는 임간초지(林間草地)가 나지초지(裸地草地)에 비해 불량(不良)하였으며(P<0.05), 파종시기별(播種時期別) 차이는 없었다. 6. 3회(回) 예취(刈取)한 목초(牧草)의 건물수량(乾物收量)은 임간초지(林間草地)가 나지초지(裸地草地)에 비해 뚜렷한 증가를 보였으며(P<0.05). 파종시기(播種時期)가 빠를 때 수량(收量)은 많아 임간초지(林間草地)의 3월(月) 20일(日) 파종구(播種區)의 총건물수량總(乾物收量)은 401.1kg/10a으로 양호(良好)하였다. 7. 이상(以上)의 결과(結果)로서 임간지(林間地)에서 춘파(春播)에 의한 초지개량(草地改良)은 충분한 가능성(可能性)이 있으며, 가능하면 3월(月) 중하순(中下旬)으로 일찍 파종(播種)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