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od Poisoning

검색결과 507건 처리시간 0.025초

A Retrospective Study on the Comparison of Outbreaks of Food Poisoning for Food Hygiene in Korea and Japan

  • Lee, Won-Chang;Chung, Choog-Il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77-285
    • /
    • 1996
  • Retrospective study on the comparison of outbreaks of food poisoning for food hygiene in Korea and Japan. The average value of morbidity rate by year in Korea during the period of 1971 to 1992 was 2.9 per 100,000 population, and that of Japan was 29.1. The mean value of mortality rates in case of food poisoning by year in Korea was 2.33%, and that of Japan was 0.07%. When compared the rates of morbidity and mortality between Korea and Japan during the same period, the morbidity rates of Japan were much higher than those of Korea (p<0.01). However, mortality rate of patients in Korea were much higher then those of Japan(p<0.01). Resulting from comparative observation of food poisoning by preparing facilities between Korea and Japan. The highest list the places where the outbreaks occurred was home-made foods accounted for 48.8% of the total cases in Korea and that of Japan was restaurants accounted for 33.0%. Causative foods in Korea, the most common incrimination vehicles were seafood, meat and animal products and grain and vegetables, including mushroom. However, in the case of the common incrimination vehicles Japan were unknown and other foods, seafood, vegetables and meat and animal products etc.. Food poisoning of pathogenic substance in Korea were 60.9% of bacterial food poisoning of the total cases showing that Vibrio species, Salmonella spp., Staphylococcus spp., pathogenic E. coli, Clostridium spp. and other spp. were 33.3%, 26.2%, 16.3%, 5.3%, 0.4% and 18.5%,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in Japan, major causes were Vibrio spp. (45.7%), Staphylococcus spp. (23.7%), Salmonella spp. (16.8%), pathogenic E. coli (3.8%), Clostridium spp. (0.2%) and other spp. (9.6%).

  • PDF

Genetic Diversity of Foodborne Pathogen Detected in Commercial Shellfish in Metropolitan Area

  • Park, Jung Hun;Cho, Kyu Bong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83-91
    • /
    • 2022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ontamination status of microorganisms that cause food poisoning in shellfish distributed in the metropolitan area of South Korea. The analyses were conducted according to the sample type, season, and region. In particular, the genotype of food poisoning viruses that explosively cause collective food poisoning was analyzed. Total 483 each of four types of shellfish (Crassostrea gigas, Mytilus coruscus, Pectea albicans albicans, and Scapharca subcrenata) were collected from four distribution sites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We investigated foodborne pathogen by multiplex PCR and RT/Nested PCR from shellfish. As a result, Vibrio parahaemolyticus and Bacillus cereus were detected in 13 and 21 samples and Norovirus (NoV) GI and GII were detected in 7 and 12 samples, respectively. V. parahaemolyticus and NoV GI and GII showed differences in types of shellfish and seasons, and no correlation was confirmed with regional differences. Also, as a result of genotyping for the detected NoV GI and GII, they were confirmed as NoV GI.7, GI.5 and GII.3, which are causes of collective food poisoning. Therefore, cross-infection with shellfish can cause food poisoning. In particular, attention must be paid to the handling and cooking of shellfish in organizations that implement group feeding, a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management system for microorganisms that cause food poisoning in the process of shellfish farming and distribution.

증강현실 게임(식중독잡GO)을 적용한 식중독예방 교육·홍보 사례 연구 (A Case Report on the Prevention of Food Poisoning by Applying Augmented Reality (AR) Game (Sik-Jung-Dok-Jop GO))

  • 고수일;김현정;황인영;이선규;정휘관;임선미;김민희;임주은;안광수;김장열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62-266
    • /
    • 2017
  • 식품의약품안전처는 효율적인 식중독 예방 교육 홍보를 위하여 모바일 증강현실 게임인 '식중독잡GO'를 개발하고 식품안전의 날 등 11개 행사에서 시범운영을 하였다. 행사장에서 '식중독잡GO'를 체험한 사람을 대상으로 식중독에 대한 인지정도를 설문조사를 통해 살펴보았다. 설문조사 결과 '식중독잡GO' 게임 전후대비 식중독예방 3대 요령 인지도는 게임 전 51.8%에서 게임 후 78.8%로 향상되었고, 개별 식중독균 인지도는 평균 2.1배 향상되었다. 설문조사자의 95%가 식중독 이해에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하였으며, 90%가 게임이 재미있었다고 응답하였다. 따라서, '식중독잡GO'를 유 초 중 고등 교육에 적용을 하면 식중독균의 주요증상, 원인식품 등 식중독 예방요령의 다양한 교육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최근 한국에서 발생한 식중독 모니터링 및 추이 분석 (Monitoring and Trends Analysis of Food Poisoning Outbreaks Occurred in Recent Years in Korea)

  • 박희옥;김창민;우건조;박선희;이동하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80-294
    • /
    • 2001
  • 지난 20년간 우리나라의 식중독발생건수가 계속적으로 증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마련은 미흡한 실정이었다. 식중독사고는 국민건강에 악영향을 줄뿐만 아니라 심한 경우에는 국민의 목숨을 앗아가므로. 이 문제를 법적 조치만으로 해결하기보다는 업계종사자 및 국민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을 통하여 좀더 효과적으로 해결해 나가야만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최근 우리나라의 식중독 발생현황을 모니터링하고 그 경향을 분석함으로써 문제점을 발견하고 그 해결 방안을 제시하며, 아울러 지역공중위생수준의 향상과 국민의 건강증진 및 보건에 대한 의식수준의 향상을 목적으로 최근 10년간(1991∼2000년)의 국·내외 학회지와 관련기관의 연구보고서를 근거로 하여 우리나라 식중독 발생현황을 원인균별, 원인식품별, 원인시설별로 분석하였다. 먼저 전체적인 식중독발생에 있어서, 우리나라의 식품위생수준이 예전에 비해 전반적으로 향상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식생활 형태의 변화로 식중독 발생은 해마다 증가하고 사건당 발생환자수 역시 90년도에 20명 정도였던 것이 2000년에 이르러서는 3.5배인 69.8명에 가까워져 식중독 발생이 점차 집단화 및 대형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월별 식중독 발생양상은 97년도 이전까지는 기온이 높은 5∼9월의 하절기에 집중적으로 식중독이 발생하였으나, 98년과 2000년에 들어서는 식중독발생 범위가 하절기뿐만 아니라 연중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한편, 지난 10년간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식중독의 주요 원인균은 살모넬라균과 황색포도상구균 및 장염비브리오균이었고 이 세가지 균이 우리나라 식중독 사고발생의 85∼90%를 차지하고 있다. 주요 식중독 원인식품으로는 육류 및 그 가공품, 어패류 및 가공품, 김밥과 도시락 같은 복합조리식품을 들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사건수나 환자수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육류에 있어서는 돼지고기와 닭고기가 원인인 경우가 많고 어패류에 있어서는 회의 섭취가 주요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김밥과 도시락 같은 복합조리식품에 의한 식중독발생은 90년대에 들어 중·소규모의 도시락 제조업체와 외식업체의 수가 늘어났기 때문이다.

  • PDF

주방 종사원의 식중독 관리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Food Poisoning Control Method of Employees in the Kitchen)

  • 엄영호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227-245
    • /
    • 1999
  • This research devided food poisoning so offer prevention specially employee in the food treatment at kitchen affect much direct effect. So indivisual sanitation and culinary sanitation are offered, but the writer feel at a loss despite and loide observation not offered professional knowledge. In the further, the wide must have to research varity food contanitation and food posioning many diffence type.

  • PDF

대한민국에서 복어독에 의한 식중독 발생 특성 (Characteristics of Puffer Fish Poisoning Outbreaks in Korea (1991-2002))

  • 김지회;궁경례;목종수;민진기;이태식;박정흠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33-138
    • /
    • 2003
  • 우리나라에서 1991년부터 2002년 사이의 복어독 중독 발생상황에 대하여 신문에 보도된 내용을 검색하여 정리하고 특성을 분석하였다. 조사기간 중 우리나라에서는 총 32건의 복어독 중독사고가 발생하여, 111명이 중독되었고 그 중 30명이 사망하여 27.0%의 치사율을 나타내었으며, 연도에 따라 중독건수, 환자수 및 사망자수의 변동이 심하였다. 사망자는 29세 이상의 남성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식중독 발생건별 환자수를 보면 4인 이하의 소규모 중독사건이 전체 발생건수의 75.0%인 24건을 차지하였고, 식중독 통계 집계기준인 5인 이상의 집단 식중독은 8건에 지나지 않았다. 우리나라에서 복어독 중독 발생건수의 59.4%(19/32)가 11월부터 익년 1월 사이에 발생하였고, 이 시기의 환자수 및 사망자수 또한 각각 65.8%(73/111), 66.7%(20/30)로 나타나 복어중독은 겨울철에 집중되었다. 지역적으로는 발생 건수의 75.0%(24/32)가 부산, 경남, 전남, 제주 등 남해안 지역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하였다. 섭취장소별로는 총 32건 중 18건(56.3%)이 선박에서 발생하였고, 가정에서 8건(25.0%)이 발생하였으며, 음식점에서 발생한 것은 5건(15.6%)이었다. 복어독 중독의 가장 중요한 원인 음식물은 국(탕 포함)으로 발생건수의 68.8%(22/32), 환자수의 64.0%(71/111), 사망자의 66.7%(20/30)를 차지하였고, 그 외 찜, 회, 내장탕, 알 등도 원인이 된 경우가 있었다.

수학여행중 국민학교학생의 포도구균식중독 발생에 대한 역학적조사 (Investigation of a Staphylococcal Food Poisoning Outbreak Among School Children)

  • 노인규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5권1호
    • /
    • pp.111-114
    • /
    • 1972
  • There was an outbreak of food poisoning on the 17 October, 1970 among the primary school children who came from a rural area, Yeongi-gun, Choongcheongnam-do to Seoul City on an educational trip. Of the 199 children participating in the trip, 149 cases of food poisoning developed a 74.9% attack rate. The acute onset of symptoms, of abdominal pain, diarrhea, vomiting and headache which occurred 1-5 hours after eating their lunch suggests that the outbreak was due to staphylococcal food poisoning. The common source of food was identified as the lunch packed in a chip-box which were eaten on October 17 during the trip. Most probable kind of food of the lunch as the cause was the favoured fish paste. The lunch were prepared at restaurant A in Seoul City. One of the personnel of the restaurant had a unhealed cut wound on the third finger tip of the left hand, from which it was considered that the food was contaminated with Staphylococcus during preparation. The chance of multiplication of Staphylococcus to produce enterotoxin in the food might be existed during flavouring the food with some degree of heat, and also during about 10 hours elapsed before serving the food after preparation.

  • PDF

식중독 발생 예측모형 (Models for forecasting food poisoning occurrences)

  • 여인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3권6호
    • /
    • pp.1117-1125
    • /
    • 2012
  • 식중독 발생에 대한 기존 연구에서는 기온과 습도와 같은 기후변수가 주된 설명변수로 취급되어 왔다. 이 논문에서는 주별 식중독 발생건수와 기후변수 간에 관계를 고찰하고 식중독 발생건수를 예측하기 위한 모형으로 포아송 회귀모형과 자기회귀이동평균모형을 비교한다. 비교결과 우리나라 식중독 발생은 시차를 두고 기후 변수에 영향을 많이 받고 있으나 식중독 발생 예측은 이들 변수보다 이전 시점의 식중독 발생 건수에 더 많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포아송 회귀모형은 예측의 관점에서 문제가 있음을 보였다.

스콤브로이드 생선 중독과 히스타민 식중독 (Scombroid Fish Poisoning and Histamine Food Poisoning)

  • 정성필
    • 대한임상독성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6
    • /
    • 2019
  • Scombroid fish poisoning (SFP) is a form of histamine food poisoning caused by the ingestion of improperly stored fish. The term "scombroid" derives from the family name of the fish family first implicated, such as tuna and mackerel. On the other hand, non-scombroid fish species, such as sardine and herring, can also cause histamine poisoning. The histamine is converted from histidine by a bacterial enzyme in the causative fish. Because the symptoms of SFP can easily be confused with food allergies, it is believed to have been significantly under-reported. In 2016, an outbreak of SFP occurred among primary school students who had eaten yellowtail steak in Korea. The most common findings consisted of a rapid onset of flushing of the face and trunk, erythematous and urticarial rash, diarrhea, and headache occurring soon after consuming the spoiled fish. Usually, the course is self-limiting and antihistamines can be used successfully to relieve symptoms, but several life-threatening SFP cases have been reported. Clinical toxicologists should be familiar with SFP and have competency to make a differential diagnosis between fish allergy and histamine poisoning. SFP is a histamine-induced reaction caused by the ingestion of histamine-contaminated fish, whereas a fish allergy is an IgE-mediated reaction. This review discusses the epidemiology, pathophysiology, diagnosis, treatment, and preventive measures of SFP.

Reverse dot hybridization 방법과 16S rRNA gene(16S rDNA)을 이용한 식품에서 식중독균의 탐색 (Using Reverse Dot Hybridization Method and 16S rRNA Gene (16S rDNA) for Identifying the Food Poisoning Microorganism in Foods)

  • 김민성;신규철;이형구;한명수;민병례;최영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470-474
    • /
    • 2003
  • 식중독은 세균에 의한 발병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식품에서 식중독 원인균을 신속하게 탐색하게 식중독으로부터의 되면 피해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고전적인 식중독 원인균 탐색은 증균, 선택적 배지를 이용한 isolation, 생화학적 특징을 활용하는 분석이 있으나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을 갖고 있었다. 본 연구는 16S rRNA gene(16S rDNA)로부터 얻은 DNA 염기 서열을 이용 식중독 원인균의 특이적 oligonucleotide probe을 제작 reverse dot blot hybridization과 PCR 방법을 이용하여 고전적인 방법보다 빠른 시간 내에 식품에서 원인균을 탐색 할 수 있었다. 우유를 인공적으로 본 연구에서 사용한 균주로 오염시킨 후 DNA를 추출하여 PCR 증폭산물과 oligonucleotide probe를 hybridization 시킨 결과 oligonucleotide probe를 hybridization 시킨 결과 oligonucleotide probe가 위치한 곳에서 발색 반응이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본 연구를 통해 DNA microchip으로 활용 짧은 시간 내에 많은 종류의 식중독 원인균을 탐색 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