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racteristics of Puffer Fish Poisoning Outbreaks in Korea (1991-2002)

대한민국에서 복어독에 의한 식중독 발생 특성

  • Kim, Ji-Hoe (Food Sanitation Division,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
  • Gong, Qing-Li (Fisheries College, Ocean University of China) ;
  • Mok, Jong-Soo (Food Sanitation Division,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
  • Min, Jin-Gi (Food Sanitation Division,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
  • Lee, Tae-Seek (Food Sanitation Division,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
  • Park, Jeong-Heum (Food Sanitation Division,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 김지회 (國立水産科學院 食品衛生科) ;
  • 궁경례 (中國海洋大學 水産學院) ;
  • 목종수 (國立水産科學院 食品衛生科) ;
  • 민진기 (國立水産科學院 食品衛生科) ;
  • 이태식 (國立水産科學院 食品衛生科) ;
  • 박정흠 (國立水産科學院 食品衛生科)
  • Published : 2003.09.01

Abstract

The data on outbreaks of puffer fish poisoning during 1991 to 2002 in Korea were gathered from press reports, and characterized information collected. During the period, a total of 32 outbreaks of puffer fish poisoning was reported. These outbreaks caused 111 persons to become poisoning, among the cases 30 persons were fatal. The mean case fatality rate was 27.0%, and most of deaths (93.3%) were the male of above 29 years old. Patient number of below 4 persons per a poisoning accident occupied 75.0% of total outbreaks; 65.8% of total cases; and 66.7% of total deaths) was occurred in the months, November through January. Most of puffer fish poisoning (75.0% of total outbreaks; 68.5% of total cases; and 73.3% of total deaths) were found along the south coastal area of Korea, including Busan, Gyeongsangnam-do, Jeollanam-do and Jeju-do. Over than 80% of puffer fish poisoning outbreaks occurred at fishing boat and home where privately made food was cause, and outbreaks in restaurants accounted for 15.6%. Most commonly implicated foods were Guk, boiled soup with puffer fish meat and spices.

우리나라에서 1991년부터 2002년 사이의 복어독 중독 발생상황에 대하여 신문에 보도된 내용을 검색하여 정리하고 특성을 분석하였다. 조사기간 중 우리나라에서는 총 32건의 복어독 중독사고가 발생하여, 111명이 중독되었고 그 중 30명이 사망하여 27.0%의 치사율을 나타내었으며, 연도에 따라 중독건수, 환자수 및 사망자수의 변동이 심하였다. 사망자는 29세 이상의 남성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식중독 발생건별 환자수를 보면 4인 이하의 소규모 중독사건이 전체 발생건수의 75.0%인 24건을 차지하였고, 식중독 통계 집계기준인 5인 이상의 집단 식중독은 8건에 지나지 않았다. 우리나라에서 복어독 중독 발생건수의 59.4%(19/32)가 11월부터 익년 1월 사이에 발생하였고, 이 시기의 환자수 및 사망자수 또한 각각 65.8%(73/111), 66.7%(20/30)로 나타나 복어중독은 겨울철에 집중되었다. 지역적으로는 발생 건수의 75.0%(24/32)가 부산, 경남, 전남, 제주 등 남해안 지역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하였다. 섭취장소별로는 총 32건 중 18건(56.3%)이 선박에서 발생하였고, 가정에서 8건(25.0%)이 발생하였으며, 음식점에서 발생한 것은 5건(15.6%)이었다. 복어독 중독의 가장 중요한 원인 음식물은 국(탕 포함)으로 발생건수의 68.8%(22/32), 환자수의 64.0%(71/111), 사망자의 66.7%(20/30)를 차지하였고, 그 외 찜, 회, 내장탕, 알 등도 원인이 된 경우가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장동석, 신동화, 정덕화, 김창민, 이인선: 자세히 쓴 식품위생학. 정문각, 451 pp. (1999)
  2. 홍종해, 이용욱: 우리나라에서 報告된 集圄 食中毒의 發生特徵에 關한 硏究(1981-1989).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5, 205-212 (1990)
  3. Lee, Y.-W. and Kim, J.-G.: A study on the trend of food poisoning outbreaks, reported cases, in Korea. Kor. J Food Hygiene, 2, 215-237 (1987) (In Korean)
  4. 李容旭, 金宗圭: 우리나라의 食中毒에 관련된 文點考榮,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4, 199-256 (1989)
  5. 박희옥, 김창민, 우건조, 박선희, 이동하, 장은정, 박기환: 최근 한국에서 발생한 식중독 모니터링 및 추이분석.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16, 205-212 (2001)
  6. 장동석, 김영만, 김영목, 김지희, 목종수, 박미연, 박욱연, 성희경, 신일식, 오은경, 이명숙, 이원동, 이태식, 이희정, 조학래, 최종덕, 허성호: 수산식품 위생학. 도서출판 정명당, 부산, pp. 93-103 (2000)
  7. 식품의약품안전청: 식중독발생 현황 및 예방대책. 17pp. (2001)
  8. 식품의약품안전청: 식중독발생 현황 및 예방대책. 24pp. (2003)
  9. Bean, N.H., Goulding, J.S., Daniels, M.T. and Angulo, F.J.: Surveillance for foodbome disease outbreaks-United States, 1988-1992. J. Food Protect., 60, 1265-1286 (1997)
  10. Mead, P.S., Slutsker, L., Dietz, Y., McCaig, L.F., Bresee, J.S., Shapiro, C; Griffin, P.M. and Tauxe,R.Y.: Food-related illness and death in the United States.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5, 607-625 (1999) https://doi.org/10.3201/eid0505.990502
  11. 山中英明:魚介類のよる自然毒に食中毒の現狀. 食衛誌, 27, 343-353 (1986)
  12. 塩見-雄: 日本における魚貝毒による被害狀況. 海洋と生物, 18, 284-288 (1996)
  13. 日本辱生勞動省醫藥局: 食中毒 . 食品監禮關聯情報. http://www.rnhlw.go.jp./topics/ syokuchu/index.htrnl (2003)
  14. 李應果, 金世權, 曺圭大: 韓國沿岸 水産物의 營養成分과 催康.有一文化社, pp. 50-54 (1997)
  15. 塩見一雄, 田中榮治, 熊谷純智, 山中英明,菊池業武昭, 河端俊沿: 冷凍フグ解凍時における筋肉の毒化. 日本誌, 50, 341-347 (1984)
  16. 塩見-雄, 柴田, 哲, 山中英明, 菊池武昭: 冷凍フグ解凍時における筋肉の毒化に影辯をおよぼす諸因子の檢討. 日本誌, 51, 619-625 (1985)
  17. 道野英可: フグの街生確保對策について(ナシフダの販賣等の禁上に際して). 食品衛生硏究, 43(6), 15-22 (1993)
  18. 加納碩雄: 脊維動物におけるフグ毒の分布. Inフグ毒硏究の最近の進步(橋本周久締).恒星社厚生閣,東京, pp. 32-44 (1988)
  19. Gong, Q.-L.: Situation of Fugu's culture and it's safety ofedibility in China. In The 1st Busan IntemationalSaengseonhoe Symposium. Executive Committee, BusanSaengseonhoe Expo 2002. pp. 60-68 (2002)
  20. 김지회, 이태식, 이희정, 김광수, 박정흠, 변한석, 손광태: 부산시내 자갈치 어시장에서 시판되는 자주복 Fugu rubripesrubripes의 독성.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15, 46-50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