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cus Group

검색결과 2,659건 처리시간 0.034초

Assessing Needs for Practical Training in Intensive Care Unit to Enhance Nursing Education: A Focus Group Interview

  • 박선아;김보경
    • 중환자간호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55-70
    • /
    • 2024
  • Purpose : The demand for skilled critical care nurses and the significant impact of the practice-readiness gap underscore the need for educational programs bridging nursing education and clinical practice. This would ensure safe, high-quality patient care and a stable workforc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educational needs of critical care nurses to develop an essential nursing education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addressing the practice-readiness gap they may encounter as new nurses. Methods : The study espoused a qualitative approach by utilizing focus group interviews conducted in South Korea in April and May 2022. A total of 11 nurses participated in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three focus groups, each consisting of three to four nurses from intensive care units.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using a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Content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interview data using thematic analysis. Ethical approval for the study was obtained from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Results : Nursing education programs in intensive care units should prioritize fundamental nursing competencies such as basic nursing and physical examinations. Participants' critical care nursing education needs were categorized into four main themes: holistic nursing competency, advancement of practical education, skilled communication, and systematic critical care nursing education. Conclusion : The study's findings provide valuable insights and guidelines for developing critical and intensive care nursing education programs tailored for nursing students.

쇼핑체험과 충동구매간 관계에서 의류 구매자의 조절초점 역할에 관한 연구 (The Moderating effects of clothing consumers' regulatory focu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hopping experience and impulsive buying)

  • 서용한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2권2호
    • /
    • pp.237-257
    • /
    • 2013
  • 본 연구는 쇼핑체험이 충동구매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소비자의 조절초점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검토하는데 초점을 맞춘다. 즉 의류매장에서 느끼는 쇼핑체험이 소비자의 조절초점성향에 따라 충동구매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는지를 실증한다. 실증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의류매장의 체험요소인 감각적 체험과 감성적 체험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충동구매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합리적 체험은 충동구매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쇼핑체험 요소가 충동구매에 미치는 영향은 소비자의 조절초점성향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감성적 체험이 충동구매에 미치는 영향은 예방초점 소비자보다는 향상초점 소비자에게서 더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합리적 체험이 충동구매에 미치는 부(-)적 영향은 향상초점 소비자보다는 예방초점 소비자집단에서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소비자의 쇼핑체험은 충동구매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영향은 소비자의 조절초점에 따라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 PDF

포커스 그룹을 이용한 치과위생사 커뮤니케이션 교육에 관한 질적연구 (Qualitative Research on Communication Education of Dental Hygienist by Focus Group Interview)

  • 최진선;마득상;정세환;박덕영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13-123
    • /
    • 2018
  •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에게 요구되는 커뮤니케이션 교육에 관한 임상가와 교육자의 견해를 확인하기 위해 치과의사, 치과위생사, 교수의 초점집단면접을 진행하였고, 각 초점집단의 견해를 해석하고 개념화하여 분석한 결과, '커뮤니케이션 교육시기와 방법', '교과목 표준화와 교육환경', '커뮤니케이션 역량 평가', '커뮤니케이션 교과목에 대한 인식'이라는 4개의 핵심범주와 '교육시기', '교육방법', '임상현장실습', '표준화된 교과목의 부재', '교수역량 향상', '평가방법', '국가고시 도입', '교수와 학생의 태도'라는 8개의 하위범주를 확인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임상가 및 교육자 초점집단은 공통적으로 인문사회학적 소양은 대학교육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진술하였다. 다만, 치과위생사 초점집단은 임상현장에서의 시행착오적 학습도 효과적인 교육이라고 강조하였다. 교수 초점집단은 대학졸업 이후에도 커뮤니케이션 교육의 연속성을 위해 보수교육이 제공되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임상가 및 교육자 초점집단은 공통적으로 치과 의료기관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환자 불만사례를 적용한 역할극을 요구하였다. 교수 초점집단은 교과목 학습목표와 실습모듈 표준화를 요구하였고, 교육 환경 인프라가 구축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더불어, 커뮤니케이션 교과목 담당 교수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커뮤니케이션 교과목 연구회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치과위생사의 커뮤니케이션 역량 계발을 위하여 임상현장의 요구에 부응하는 교육개발이 필요함을 확인하였고, 치과위생사 커뮤니케이션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을 제안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여성의 외모관심도에 따른 성형태도와 의복행동 (Attitude toward Plastic Surgery and Clothing Behavior according to Females' Appearance Concerns)

  • 박은희;조현주
    • 패션비즈니스
    • /
    • 제18권2호
    • /
    • pp.132-147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appearance concern into groups and analyze the differences of the attitude toward plastic surgery and clothing behavior by groups. Questionnaires are administered to 206 female adults in their 20's-50's living in Deagu and Kyungbook areas from $10^{th}$ July to $19^{th}$ July, 2013. Frequenc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cluster analysis, ANOVA, Duncan-test and ${\chi}^2$-test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appearance concern is categorized as follows: appearance harmony focus and body focus. The attitude toward plastic surgery was found as risk tolerance, image improvement/surgery desire and keeping the secret of surgery. Clothing behaviors are found as individuality focus, other focus, convenience and luxury ostentation. The appearance concern shows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sub-variable attitude toward plastic surgery and clothing behavior. One test in the groups is determined by demographic variables like occupancy and monthly income. Appearance concerns a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as follows: appearance concern group, low appearance concern group and body concern group. The groups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ttitude toward plastic surgery and clothing behavior. This difference indicates that the 20's show a high body focus on their appearance concern, an attitude of image improvement/surgery desire toward plastic surgery and another individuality focus on clothing behavior while 50's care more about convenience in their clothing behavior.

대학 교양영어 FnF수업유형이 목표어휘와 목표문법의 습득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College English FnF (Focus on Form) Class Types on Target Vocabulary and Grammar)

  • 김영희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7권12호
    • /
    • pp.371-380
    • /
    • 2017
  • 본 연구는 대학 교양영어 교육에서 영어학습 부진아 학생들을 대상으로 목표어의 유창성과 정확성을 모두 얻기 위해서 언어의 형식적인 특성을 체계적으로 지도해야 할 필요성을 느끼고 기능 중심의 교양영어 교육을 하면서 기본적인 언어 요소인 문법과 어휘를 강화시키는 방법인 'focus on form'(FnF)를 투입하여 그 효과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동질성이 검증된 3개 집단을 선정하여 의미중심의 의사소통 수업의 비교반과 FnF의 입력 강화 과제 방식 수업의 실험 A반, FnF의 출력 강화 수업의 실험 B반으로 구성하여 13주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입력 강화의 실험 A반은 비교반에 비해 문법 습득에 유의한 효과가 있었고, 출력 강화의 실험 B반은 비교반에 비해 어휘 습득에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어휘와 문법 습득에서 FnF의 두 방식의 통계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교양영어수업에서 부진아 학생들에게 문법 항목과 관련해서는 인지적 부담이 낮은 입력 강화를 적용한 수업을 하고, 어휘 항목은 출력 강화를 적용한 FnF수업을 섞어서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본 연구의 결과가 시사한다.

경상북도 수학여행과 현장체험학습 활성화 방안 연구: Focus Group Interview(FGI)를 통한 질적 연구 (A Study on Ways to Activate School Trips and Field Trips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 : Focus on the Gyeongsangbuk-do Area)

  • 남태석;허종국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29-42
    • /
    • 2020
  • 본 연구는 경상북도 23개 시군의 수학여행 및 현장체험학습의 새로운 개념, 체험의 중요성에 따른 투어 프로그램 개발과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숙박 책임자, 관광 관련 이해관계자, 관광공무원 이해관계자, 그리고 관광학 교수를 대상으로 FGI(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한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FGI 분석결과를 통해 경상북도 지역의 이해관계자들이 인식하는 경상북도 수학여행 및 현장체험학습을 유치하기 위한 숙박수용태세, 식음료, 안전·서비스 개선 관련의 문제점, 지자체 관광공무원의 협력 관계, 독특한 관광자원·홍보와 연계한 학생단체 방문객에 대한 만족도 제고와 수용태세 진단과 도입, 관리를 통한 지역 주민과 지역관광관계자, 공무원에 대한 인식전환을 통하여 관광정책 방향성과 프로그램 제시 필요로 하는 연구 계기가 되었고, 경상북도 숙박 수용태세, 식음료 시설 개선, 안전·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구축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 간 관계, 그리고 경상북도 수학여행·현장체험학습 방문객 유치를 위한 지역경제 활성화 방안 등의 주제를 도출하였고, 또한, 경상북도 지역의 관광 홍보관 책임자, 관광공무원 이해관계자, 관광 분야 전문가, 다양한 전공 분야의 교수에 대한 표본의 수를 좀 더 확보하여 분석 방법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높일 수 있도록 질적 연구를 강화하기 위한 노력도 수반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문화와 커뮤니케이션 관계 파악을 위한 분석 방법론 수립에 관한 연구 - 사용자의 문화적 차이를 고려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ethodology for Relation between Culture and Communication with Considering on the Difference of Culture in Focus Group Interview)

  • 정지연;김정하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8년도 학술대회 2부
    • /
    • pp.210-215
    • /
    • 2008
  • 기술의 발전과 급속한 세계화가 이루어짐으로 인하여 시장이 확대되면서 디자인이란 영역은 다양한 매체를 통하여 시대의 핵심 역량과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분야로 화두가 되고 있다. 과거 디자인이 '미적인 아름다움', '장식', '감성의 만족'들을 추구했다면 이제는 시대와 기술의 변화에 따라 또한 다양한 문화를 배경으로 한사용자를 중심으로 분명히 다른 가치가 존재하며 그에 따른 다른 방법들이 필요한 시점이 되었다. 이러한 필요에 따라 최근 상품 개발 과정이나 평가 과정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포커스 그룹 인터뷰 방법론과 같은 문화적 기반의 명확한 사용자의 니즈(needs) 파악이 가능한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연구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다양한 문화의 배경 및 개인의 기질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는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문화적 특성이 커뮤니케이션 방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관성을 밝히고자 한다. 또한 문화적 특성은 개인 기질에까지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문화적 특성과 개인의 기질을 근간으로 MBTI에 나타난 결과에 따라 대조군을 설정하고 문화적 특성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방식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한 실제적인 분석 방법론을 수립하였다.

  • PDF

공감모듈과 신뢰가 의료서비스 품질 및 의료 신뢰, 행복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ympathy Module and Trust on Medical Service Quality, Medical Trust and Happiness)

  • 조충식;김재익;남승규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90-100
    • /
    • 2015
  • There are a lot of effort to improve medical service quality and medical trust in Korean Medicine. However, in spite of importance of personalized medicine, there are still few research about it.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ope ways to improve medical service quality and medical trust by sympathy module group and personalized trust. People over 19 were participated in investigation. We divided respondents into 4 groups depending on sympathy module group and 2 groups depending on speed of trust. Questionnaire was consisted of questions about sympathy module group, speed of trust, medical service quality, medical trust, satisfaction and happiness. This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through personal interviews. Total 220 members responded to the survey an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Rational type had the highest proportion. At Medical service quality scale, Prevention focus group had most highest figure on Confidence. Promotion focus group and Rational Group had most highest figure on Sympathy. At Medical trust scale, Medical team had the highest proportion at all group. Prevention focus group put more emphasis on sense of sanitation, At Satisfaction and Happiness scale, Satisfaction and Happiness was most affected by Trust in Sincerity and Ability. This study can be very useful for composing kit of treatment of personalized medicine. But this study has also some limits such as respondent selection, disease selection etc. So, more detailed and comprehensive survey is needed.

Mothers' perceptions of children's food behaviors: use of focus group interview study

  • Lee, Young-Mee;Kim, Jung-Hyun;Oh, Yu-Jin;Lee, Min-June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2권4호
    • /
    • pp.259-268
    • /
    • 2008
  • Children's food behaviors have been expressed in a various ways because of recent changes in their family environment. Thu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in-depth qualitative research on the mother's perception on children's food behaviors by focused group interview. This study was designed in four steps of planning, collection of participants, process, and analysis. Participants for the focus group interview were recruited and sampled from households with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Seoul and Gyeonggido areas. Groups were divided by total income and education expense levels. 1) High income household: It is better to improve currently existing web sites for nutrition education. 2) Mid income household: Easy, practical, and inexpensive off-line cooking class/nutrition education classes for mothers are needed. Nutrition programs for children should be developed through mass media and be promoted in the broadcasting circle. 3) Low income household: Motivation is required for mothers' educatior and the serious nutritional problems of children should be informed through mass media and home correspondence from school. And interesting educational materials should be developed for children to read whenever they want.

환자안전에 대한 환자의 이해: 초점집단토의 결과를 중심으로 (Patient Understanding of Patient Safety: Based on Results from Focus Group Discussion)

  • 임지혜;옥민수
    •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50-60
    • /
    • 2022
  • Purpose: To examine the degree of recognition regarding the concept of patient safety, as perceived by the patient, using a focus group discussion. Methods: A focus group discussion was conducted with a patient group comprising seven patients. Results: When the participants heard the term "patient safety" they seemed to understand it to be related to the hospital environment or satisfaction with the overall hospitalization experience. The participants emphasized communication between the medical staff and the patients in relation to the explanation of treatments, as well as the provision of information regarding prevention, experience, and the treatment of incidents with patient safety. They agreed on the need for indicators reported by patients. However, they emphasized that additional items and a questionnaire method that considers the patients' point of view are needed.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d implement various strategies that can raise the awareness of patient safety using patient safety indicators and increase participation in patient safety activ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