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aming property

검색결과 73건 처리시간 0.031초

난백분말 제조 조건에 따른 엔젤 푸드 케이크의 특성 변화 (Effects of Egg White Manufacturing Conditions on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Angel Food Cakes)

  • 양혜영;김민영;김정연;심재용;임지영;박기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67-172
    • /
    • 2009
  • 거품성능과 겔형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된 난백분말(pH 6.34, 72.5$^{\circ}C$; pH 6.74, 66.5$^{\circ}C$; pH 7.72, 76$^{\circ}C$)과 상업용 난백분말로 각각 엔젤 푸드 케이크를 제조하여 일반적인 특성을 조사하였다. pH 6.74, 66.5$^{\circ}C$와 pH 7.72, 76$^{\circ}C$의 조건으로 제조된 난백분말로 만든 엔젤 푸드 케이크의 거품과 반죽의 비중, 케이크의 부피 및 물성 등을 측정한 결과는 난백을 사용하여 만든 대조구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상업용 난백분말로 제조한 케이크는 모든 면에서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적 기호도 면에서는 처리 조건 pH 6.74, 66.5$^{\circ}C$의 난백분말로 만든 엔젤 푸드 케이크만이 대조구와 유사하게 평가되고 나머지는 다소 낮았으며, 상업용 난백분말로 만든 엔젤 푸드 케이크는 아주 낮았다. 따라서 난백의 pH를 6.74로 조정한 후 건조온도 66.5$^{\circ}C$에서 제조한 난백분말은 엔젤 푸드 케이크를 만드는데 적합한 조건으로 나타났다.

Comparative Study on Compositions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Porcine, Chicken and Duck Blood

  • Sorapukdee, Supaluk;Narunatsopanon, Supawadee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228-241
    • /
    • 2017
  • Hematological, chemical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porcine, chicken and duck blood were evaluated. A porcine blood sample showed the most abundant red blood cell, hemoglobin concentration, packed cell volume and plasma protein content as well as its freeze-dried blood possessed the highest contents of protein, fat, Cu and Cr with the highest percentage of heme iron (p<0.05). Unlike porcine blood, chicken blood showed a well balance in some essential amino acids, specifically for a higher isoleucine content (p<0.05). Furthermore, it possessed the highest contents of carbohydrate, Zn and non-heme iron (p<0.05). The most rapid response to form a strong gel, especially at $70^{\circ}C$ and $80^{\circ}C$, was found in chicken blood, followed by duck and porcine blood, respectively. The result of emulsion activity index (EAI) and emulsion stability index (ESI) at the low protein concentration indicated that chicken blood had the most superior emulsion properties (p<0.05). Regarding duck blood, it exhibited the highest content of Mg and Mn (p<0.05). Moreover, duck blood had similar foaming properties to porcine blood in which they showed higher values than chicken blood (p<0.05). Specific characteristics of blood were therefore diminished by animal species in which this information could be used as food supplementation or product development based on their potential applications.

압출 적층 조형법과 입자 추출법을 결합한 이중 공극 BCP/Silica 인공지지체의 제작 (Fabrication of BCP/Silica Scaffolds with Dual-Pore by Combining Fused Deposition Modeling and the Particle Leaching Method)

  • 사민우;김종영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40권10호
    • /
    • pp.865-871
    • /
    • 2016
  • 조직 공학에서는 전통적인 인공지지체 제작 방식인 가스 발포, 염 침출, 스폰지 복제 그리고 동결주조 법 등이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다양한 공극 형태 및 크기를 가지고 있어서 세포 상호 작용 효과 및 충분한 기계적 특성에 한계가 있다. 그러나 열 용해 적층 법은 조직공학에서 폴리머 재료를 이용하여 다양한 3차원 인공지지체를 제작할 수 있는 가장 적절한 기술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PCL 몰드를 제작하고 실리카와 알긴산 나트륨 염을 포함하는 세라믹 슬러리를 제조하여 몰드에 주입시켰으며, 1일 동안 자연 건조를 시켰다. 제작된 3차원 슬러리 몰드는 PCL 몰드의 제거 및 슬러리를 경화시키기 위해 $100^{\circ}C$의 오븐에서 2시간 열처리 되었고, 열처리 후에 $1100^{\circ}C$에서 소결되었다. 제작된 인공지지체는 주사전자현미경을 통해 관찰되었고, 압축 시험을 통해 알긴산 나트륨 염의 혼합량에 따른 인공지지체의 기계적 특성은 평가되었다.

민태(Johnius belengeri) frame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인산화에 의한 기능성 개선 (Improvement of the Functionalities by Phosphorylation of Hoki(Johnius belengeri) Frame Protein Hydrolysates)

  • 전유진;이병조;박표잠;변희국;김세권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2권2호
    • /
    • pp.128-133
    • /
    • 1999
  • 참치내장 중 유문수 조직에 내재되어 있는 단백질 분해효소를 부분정제하여 추출한 후 민태 frame 단백질의 효소적 가수분해에 이용하였으며, 제조된 가수분해물을 한외여과막을 이용하여 분자량 크기에 따라 분획한 후 기능성을 개선시킬 목적으로 cyclic sodium trimetaphosphate를 이용하여 인산화 민태 frame 단백질 가수분해 물을 제조하고, 용해도, 유화성 및 포말성 등과 같은 기능성을 검토하였다. 1 가수분해물의 기능성 개선을 목적으로 가수분해물에 STMP를 처리하여 인산화된 가수분해물을 제조하였으며, IR 스펙트럼으로 인산화를 확인한 결과, $1300\;cm^{-1}$에서 P=O의 흡수띠를, $1000{\sim}1100\;^{-1}$에서 P-O-C와 alkyl group에 결합된 P-O-C의 흡수띠를 확인하였다. 2. 민태 frame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인산화시킴으로써 용해도는 물론 유화성 및 유화 안정성 그리고 포말 안정성 등 기능성의 개선에 크게 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분자량이 가장 큰 획분인 P-30K 가수분해물은 모든 기능성 부분에서 좋은 결과를 나타내어 미이용자원으로부터 기능성이 부여된 새로운 가치의 물질로서 활용이 기대된다.

  • PDF

Characteristics of a Black Soybean (Glycine max L. Merrill) Protein Isolate Partially Hydrolyzed by Alcalase

  • Yoon, Ji-Ho;Jung, Dong-Chae;Lee, Eun-Hye;Kang, Yoon-Seok;Lee, Sung-Yong;Park, Sae-Rom;Yeom, Hye-Jung;Ha, Mi-Sun;Park, Sang-Kyu;Lee, Yu-Si;Ha, Sang-Do;Kim, Gun-Hee;Bae, Dong-Ho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2호
    • /
    • pp.488-493
    • /
    • 2009
  • A protein isolate was prepared from black soybean (Glycine max L. Merrill) that possessed higher antioxidant activity than ordinary white soy protein isolates. The isolate was partially hydrolyzed by alcalase to reduce the allergenicity of black soybean. Alcalase remarkably reduced the molecular mass of the major soybean allergens that have molecular weights of 53, 38, and 24 kDa. Hydrolytic breakdown occurred more effectively in Gly m Bd 30K than in Gly m Bd 60K or Gly m Bd 28K. Alcalase hydrolysis increased the solubility and hydrophobicity of the black soybean protein isolate. The foaming activity and stability of black soybean proteins were highly increased by the partial hydrolysis.

열팽창캡슐 적용 발포폴리프로필렌의 물리적 특성 비교 (Physical Properties of Polypropylene Foam Blended with Thermally Expandable Microcapsules)

  • 하진욱;정선경;이평찬;황예진;남병국;한인수;곽성복;이재용
    • 폴리머
    • /
    • 제39권1호
    • /
    • pp.64-70
    • /
    • 2015
  • 열팽창 캡슐은 코어에 위치한 발포가스가 기화온도 이상이 될 경우 캡슐을 팽창시켜 상온상태보다 큰 부피를 지닌 형태를 이루게 되는데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플라스틱의 발포소재로 적용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자동차 내외장재 용도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을 베이스 원료로 하여 기존 화학발포제와 열팽창 캡슐을 이용하여 PP 폼을 제조하였으며, 제조된 시편의 물리적인 특성을 비교하였다. 화학 발포제와 열팽창 캡슐을 적용하여 제조된 PP 폼은 모두 첨가된 발포제 및 열팽창 캡슐 함량 증가에 따라 시편의 밀도가 감소하였고, 인장강도를 포함한 기계적 물성 또한 감소하였다. 하지만, 열팽창 캡슐을 이용해 제조된 PP 폼의 경우는 화학 발포제를 적용하여 만들어진 시편대비 충격강도 감소량이 크지 않았다. 발포제 종류별로 상이한 물리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PP 폼의 매트릭스를 분석하였으며, 다른 형상의 모폴로지를 관찰하였다.

새로운 화장료 함침재의 개발과 이를 활용한 메이크업 유중수형 에멀전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the Novel Cosmetics Impregnation Material and Study on Makeup W/O Emulsions using It)

  • 강성수;김현정;오세웅;박상욱;김경섭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27-33
    • /
    • 2017
  • 지금까지 저점도 메이크업 유중수형 에멀전을 함침재에 침적시켜 휴대 간편성과 사용 편리성을 높인 화장품이 개발되어 왔다. 종래에는 주로 경도가 높고 다공의 망상구조를 갖는 폴리우레탄 스펀지가 함침재로서 사용되어 왔으며, 이러한 스펀지는 구조적인 특성상 화장료 함침이 잘 되기 때문에 제조가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초기 토출량이 높고, 사용 횟수에 따라 토출량의 감소가 큰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발포형태의 스펀지를 개발하고 이를 활용한 다양한 특징을 갖는 메이크업 유중수형 에멀전에 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우선 상기 목적에 맞는 다양한 소재를 조사하고, 이를 토대로 natural rubber (NR)와 styrene butadiene rubber (SBR)의 조합을 통해 성형성이 우수하며 화장료 조성물의 적절한 흡수 및 배출 능력을 가지는 새로운 물질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함침재는 고무와 같은 탄성성질의 부드러움과 높은 신율 및 균일한 토출력을 가지는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되는 여러 종류의 오일의 극성도(polarity)에 따른 신규 스펀지의 특성을 이해하고, 메이크업 유중수형 에멀전의 점성을 조절하여 메이크업 제품 개발이 가능함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새로운 특성을 갖는 화장료 함침재로써의 가치가 매우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단열성능향상 재료를 사용한 구조용 콘크리트의 열전도 특성 (The Thermal Conduction Property of Structural Concrete using Insulation Performance Improvement Materials)

  • 박영신;강민기;김정호;지석원;전현규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9-15
    • /
    • 2016
  • 건물에서 에너지 손실이 가장 큰 부위는 외피로서, 이 부분의 에너지 손실을 감소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이는 대부분 창호 및 단열재를 사용한 연구이며 건물 외피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콘크리트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건물의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 자체에서 단열성능을 확보할 수 있어야 하며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보통콘크리트보다 열전도율을 2배 이상 개선시킨 구조용 단열성능향상 콘크리트 개발 연구의 일환으로 마이크로기포제, 규조토 미분말, 경량골재를 사용하였으며, 콘크리트 내부공극을 다량확보하여 열전도율을 낮추고자 하였다. 실험결과, 슬럼프와 공기량은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단위용적질량에서는 마이크로기포제를 사용한 모든 배합에서 보통콘크리트보다 14.3~35.1 % 감소된 결과를 나타내었고 압축강도는 단열성능 향상 재료를 사용하여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본 실험의 목표 강도(24MPa)를 모두 만족하였다. 또한 열전도율은 보통콘크리트 대비 최대 2배 이상 개선된 결과를 나타내었다.

볶음온도가 참깨 분리단백질의 항영양인자와 기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oasting Temperature on the Antinutrients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Sesame Protein Isolates)

  • 김진;박정륭;전정례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435-441
    • /
    • 1999
  • 본 실험에서는 5$0^{\circ}C$, 10$0^{\circ}C$. 15$0^{\circ}C$. 20$0^{\circ}C$ 온도에서 20분간 가열하여 전처리한 참깨를 압착해서 참기름을 제거한 후 제조한 참깨 분리단백질의 항영양인자인 phytate와 phenolic acid의 함량의 변화와 식품학적인 기능적 특성을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참깨 분리단백질의 함량은 볶음 온도를 15$0^{\circ}C$로 상승시켰을 때 68.9%, 5$0^{\circ}C$에서의 65.5%에 비해 증가하였으나, 20$0^{\circ}C$에서는 64.1%로 오히려 감소하였고, 총페놀. 축합형 탄닌함량과 phytate함량 5$0^{\circ}C$에서 20$0^{\circ}C$로 볶음온도를 상승시에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색도는 고온 처리한 참깨박 분리단백질은 L값과 b값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a값은 20$0^{\circ}C$에서 처리한 경우에 증가하였다. 전반적으로 고온처리시에 짙은 갈색을 띄었으며, 겉보기 밀도와 지방 흡수력 그리고 수분 흡수력은 볶음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유화성은 5$0^{\circ}C$에서 15$0^{\circ}C$로 온도가 상승시에 증가하였지만 20$0^{\circ}C$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기포성은 볶음온도에 따라 5$0^{\circ}C$와 10$0^{\circ}C$에서는 기포성의 감소가 크게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15$0^{\circ}C$와 20$0^{\circ}C$에서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기포안정성은 10$0^{\circ}C$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20$0^{\circ}C$에서 볶아서 제조한 참깨 분리단백질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 PDF

폴리우레아 도자기 복원 재료의 적용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oly-Urea for Porcelain Restoration)

  • 한원식;위광철;오승준;이영훈
    • 보존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23-29
    • /
    • 2018
  • 도자기 복원을 위한 폴리우레아를 합성하여 메움제로 제조한 후 이를 도자기 보존 처리과정에 필요한 성형에 적용하였다. 합성된 폴리우레아는 이액 반응형 경화 재료로 경화되는 과정에서 수축이 없고 무황변 소재로 제조되었다. $180kg/cm^2$의 접착 강도와 $200kg/cm^2$의 전단 강도를 비교하여 볼 때, 기존의 시판 에폭시 퍼티의 수준으로 제조되었으며, 구조상 유사 형태인 우레탄 복원제의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던 기포가 발생하지 않았으며 경화 시간과 가사 시간도 첨가되는 반응 촉매의 량에 따라 조절할 수 있었다. 현대 유물 복원에 사용된 조성의 폴리우레아의 경우 가사 시간 약 1 시간, 완전 경화 시간 ($T_{90}$) 12 시간 정도를 나타내고 있었으며 $2{\times}2{\times}2cm$ 크기의 시편을 xylene에 첨가하였을 때 약 2 시간 후에서부터 분리가 시작되어 24 시간 후에는 용액 내에서 완전 분말화가 이루어져서 가역성을 나타내고 있었고 이를 직접 현대 유물에 적용하여 복원 가능성과 편리성, 채색성 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