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uoroscopic radiology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21초

Transbronchial Lung Cryobiopsy for Diagnosing Interstitial Lung Disease: A Retrospective Single-Center Experience

  • Park, Jin Han;Jang, Ji Hoon;Kim, Hyun Kuk;Jang, Hang-Jea;Lee, Sunggun;Kim, SeongHo;Kim, Ji Yeon;Choi, Hee Eun;Han, Ji-yeon;Kim, Da Som;Kang, Min Kyun;Kang, Eunsu;Kim, Il Hwan;Lee, Jae Ha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85권4호
    • /
    • pp.341-348
    • /
    • 2022
  • Background: An accurate diagnosis in patients with interstitial lung diseases (ILDs) by multidisciplinary discussion (MDD) based on histopathologic information is essential for optimal treatment. Transbronchial lung cryobiopsy (TBLC) has increasingly been used as a diagnostic alternative to surgical lung biopsy.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appropriate methods of TBLC in patients with ILD in Korea. Methods: A total of 27 patients who underwent TBLC were included. TBLC procedure details and clinical MDD diagnosis using TBLC histopathologic information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Results: All procedures were performed under general anesthesia with the fluoroscopic guidance in the operation room using flexible bronchoscopy and endobronchial balloon blocker. The median procedure duration was less than 30 minutes, and the median number of biopsies per participant was 2. Most of the bleeding after TBLC was not severe, and the rate of pneumothorax was 25.9%. The most common histopathologic pattern was alternative (48.2%), followed by indeterminate (33.3%) and usual interstitial pneumonia (UIP)/probable UIP (18.5%). In the MDD after TBLC, the most common diagnosis was 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33.3%), followed by smoking-related ILD (25.9%), nonspecific interstitial pneumonia (18.6%), unclassifiable-ILD (14.8%), and others (7.4%). Conclusion: This first single-center experience showed that TBLC using a flexible bronchoscopy and endobronchial balloon blocker with the fluoroscopic guidance under general anesthesia may be a safe and adequate diagnostic method for ILD patients in Korea. The diagnostic yield of MDD was 85.2%.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evaluate the diagnostic yield and confidence of TBLC.

CT 유도하 국소적 폐질환의 경피적 흡입생검의 장점과 결과 분석 (Analysis of the Result and Merit of Computed Tomography Guided Percutaneous Needle Aspiration Biopsy of Focal Lung Lesion)

  • 장유송;조길호;변우목;황미수;박복환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0권1호
    • /
    • pp.127-134
    • /
    • 1993
  • PTNB는 최근 CT 기술의 발전과 20 gauge 또는 22 gauge의 세침의 개발로 합병증을 줄이는 한편, 성공율이 높아 점차 임상적으로 널리 이용되는 추세에 있다. 이에 저자는 최근 44례의 PTNB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환자의 분포는 50대 남자가 17례로 가장 많았고 종괴의 크기와 위치는 4cm 전후가 36례(84%)로 가장 많았다. 종괴의 국소적 위치는 변연부에 위치한것이 33례(75%)의 주로 폐의 변연부에 위치하였다. 조직 채취는 42례(95%)에서 가능했으며, PTNB의 민감도는 61%(27/44)였고 악성종괴와 양성종괴에 대한 민감도는 각각 79%(19/24), 44%(8/18)였다. 민감도가 비교적 낮은 이유는 단 1회 시술로 결과를 얻었고 민감도를 높이기 위한 반복 PTNB는 시행하지 않았기 때문으로 생각한다. 합병중인 기흉이나 각혈은 각각 1례에서 얻었고 모두 특별한 치료없이 호전되었다. 이상에서 PTNB는 다른 검사 방법 보다 간편하고 안전하며 기관지경을 통한 생검이 불가능하거나 생검후에도 병리소견을 못얻을 경우 PTNB를 통해 양성질환과 악성질환을 구분하므로서 환자의 치료 방침 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국소적 폐 질환의 진단에 있어서 PTNB의 유용성은 더욱 증가하리라고 전망된다.

  • PDF

혈관조영 및 중재적 시술 분야 내 종사자의 눈에 대한 선량평가 (Dose Assessment of the Eye of the Operator in the Field of Angiography and Interventional Radiography)

  • 김정훈;조용인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209-216
    • /
    • 2018
  • 혈관조영 및 중재적 방사선학 분야의 경우, 업무 특성상 눈의 방사선 피폭에 대한 위험성이 높다고 알려져 있으나, 현재 구분된 선량평가 및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술 환경 내 종사자의 눈에 대한 선량평가 및 차폐분석을 위해 첫 번째로, 시술자가 주로 위치하는 지점을 선정하고, 두경부 팬텀 눈의 외안각 지점에 포켓선량계를 부착한 뒤 눈에 대한 피폭선량을 평가하였고, 현재 상용화된 납 안경 착용 시 차폐효과를 산정하였다. 두 번째로, 실측과 동일한 기하학적 구조 내 모의실험을 통해 눈의 피폭선량에 대한 경향성 평가와 차폐효과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선량계를 이용한 측정의 경우, 방사선 투시촬영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누적선량이 증가하였고, 또한 시술자의 위치에 따라 각기 다른 양상을 보였다. 모의실험의 경우, 수학적 팬텀 내 눈의 수정체의 경우 각막보다 약 1.1 ~ 1.3배 높은 선량분포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고, 납 안경의 방호효과는 눈의 각 기관별로 최소 3.7 ~ 최대 21.4% 차폐효과를 보였다.

경두개방사선사진에서의 하악과두 위치와 관절원판 위치간의 상호관계 (INTERRELATIONSHIP BETWEEN MANDIBULAR CONDYLAR HEAD POSITION IN TRANSCRANIAL VIEW AND ARTICULAR DISC POSITION)

  • 고재희;최순철;유동수
    • 치과방사선
    • /
    • 제25권2호
    • /
    • pp.319-330
    • /
    • 1995
  •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condylar head position in transcranial view and the articular disc position in the arthrography. The condylar positions were assessed by subjective method and linear measurement method on the transcranial view. The subjects for this study consisted of 24 symptomatic joints with normal disc position, 37 joints with anterior disc displacement with reduction and 44 joints with anterior disc displacement without reduction that were classified by arthrotomography under the fluoroscopic guidance.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condylar head position in transcranial view and the articular disc position in the arthrography was evaluated by Chi square test.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re was no significant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position of condylar head in closed mouth state on transcraniaJ view and articular disc position in the arthrography (p>0.05). 2. There was no significant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changes of interarticular distance in 1 inch opening state and articular disc position in the arthrography (p>0.05). 3. There was no significant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position of condylar head related to the apex of articular eminence in 1 inch opening state and articular disc position in the arthrography(p>0.05). 4. There was significant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changes of interarticular distance that is assessed by linear measurement method in maximum opening state and articular disc position in the arthrography(p<0.0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interrelationship when the condylar head position was assessed by subjective method(p>0.05). 5. There was significant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condylar translation in maximum opening state and articular disc position in the arthrography(p<0.05). 6.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wo methods to assess the position of condylar head were 0.7989: the condylar head position in articular fossa in closed state, 0.6847: interarticular space in 1 inch opening state, 0.8965: the degree of condylar translation in 1 inch opening state, 0.5944: the changes of interarticular space in maximum opening state, 0.9215: the degree of condylar translation in maximum opening state.

  • PDF

NaOH 용액을 이용한 부식성 식도 협착 동물모델 형성에 관한 연구 (Corrosive Stricture Model Induced-Esophageal Burn : Animal Pilot Data)

  • 김민태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643-647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부식성 식도 협착 모델을 만들어 전임상연구 모델로서의 가능성과 활용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20마리의 백서를 Healthy group / Corrosive group으로 나누고, 부식성 화상은 하부 식도에 30% NaOH를 사용하여 모델링하였다. 수술 후 행동 및 체중 변화를 매주 모니터링했습니다. 수술 후 3주 뒤에 식도조영술을 시행한 후 모든 쥐를 안락사 희생시키고 병리학적 분석을 위해 하부식도를 파라핀블럭 제작하였다. 부식성 협착에 대한 기술적 성공은 100%였습니다. 총 2마리의 백서가 연하곤란과 관련된 부식성 화상으로 Corrosive group에서 14일 이내에 사망했다. 식도 협착 비율은 Corrosive group이 Healthy group보다 유의하게 높았다(각각 40.1 ± 9.2% 및 1.4 ± 7.2%; p = 0.001). 조직 증식 비율도 Corrosive group에서 유의하게 더 높았다(각각 62.5 ± 9% 및 22.08 ± 6%; p = 0.001). 결론적으로, 30% 농도의 NaOH를 이용한 백서 부식성 모델은 전임상 연구 평가 툴로서 다양한 부식성 식도 협착 치료 전임상 연구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뇌졸중 후 연하장애 환자에서 비디오 투시 연하 조영검사의 유용성 (The Usefulness of Video Fluoroscopic Swallowing Study in Post-Stroke Dysphagia Patients)

  • 은성종;김성길;홍재란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4권3호
    • /
    • pp.19-25
    • /
    • 2010
  • 연하장애는 뇌졸중 후 환자들에게 일반적으로 발생하지만 동시에 매우 심각한 증상이다. 기도 흡인을 동반한 뇌졸중 환자는 탈수, 영양실조, 폐렴, 폐혈증 심하면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최근까지도 구개반사와 숨막힘 경험 등이 기도흡인을 결정하는 임상적 지표로 주로 사용되어져 왔다. 이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후 연하장애 환자들을 대상으로 비디오투시 연하검사를 통해 기도흡인을 평가하고 적절한 식이 형태를 선택하는데 있다. 58명의 뇌졸중 환자와 10명의 정상군을 대상으로 하였고 액체, 푸딩, 요플레, 밥 등을 바륨과 혼합하여 투시를 실시하며 먹게하였다. 두명의 재활의학과 의사와 한 명의 방사선사가 위상(구강기, 인두기, 식도기)을 분석하였고, 식도 통과시간을 체크하였다. 인두기는 38명의 환자에서 비정상으로 나타났고, 13명의 환자가 구강기와 인두기에서, 3명의 환자는 구강기에서 2명의 환자는 인두기와 식도기에서 비정상적인 소견을 보였다. 전체 환자중 43명(65.2%)에서 기도흡인을 보였고, 그 중 23명은 턱을 치켜 올리는 자세를 취하여 개선이 관찰되었다. 흡인이 일어난 환자중 34명은 액체타입에서, 2명은 죽타입에서 흡인이 일어났고, 밥에서는 흡인이 없었다. 비디오투시 검사 결과를 통해 비위관을 통해 음식을 섭취하던 23명중 13명이 구강으로 섭취방법을 변경하였으며, 구강 섭취를 하던 43명중 2명은 비위관으로 섭취방법을 변경하였다. 결론적으로 비디오투시 연하조영검사는 뇌졸중 후 연하장애환자의 기도흡인을 평가하는데 매우 유용하다고 할 수 있다.

움직임 기반 진단 및 치료 평가를 위한 인공폐결절 개발 (Development of Artificial Pulmonary Nodule for Evaluation of Motion on Diagnostic Imaging and Radiotherapy)

  • 우상근;박노운;박승우;유정우;한수철;이승준;김경민;강주현;지영훈;엄기동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24권1호
    • /
    • pp.76-83
    • /
    • 2013
  • 진단 및 치료분야에서 호흡 움직임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외부 움직임을 관찰하여 실시되었으나, 이러한 외부 움직임은 내부 장기의 실제 움직임을 반영하지 못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개의 흉부 내 비침습적 이식이 가능한 인공 폐결절을 제작하여 동물실험에 대한 적용가능성을 확인하고 PET 영상 획득 및 방사선조사 시 움직임의 영향을 평가하고자하였다. 인공폐결절은 8 Fr 일회용 위장용 영양공급튜브를 개조하여 제작하였다. 제작된 결절모델은 마취된 개 4마리에 기관을 경유하여 기관지에 삽입한 뒤 방사선투시장치를 이용하여 위치를 확인하였다. PET 촬영용 인공폐결절은 내강에 $^{18}F$-FDG를 주입한 뒤 호흡운동 모사체에 장착하여 정지 상태, 10 rpm과 15 rpm의 종축 왕복운동간 PET 촬영을 실시하였다. 방사선조사용 인공폐결절은 유리선량계를 이식한 뒤 PET 촬영 시와 동일한 호흡운동 모사체에 장착하여 정지 상태, 10 rpm과 15 rpm의 종축 왕복운동간 1 Gy 선량을 조사하였다. 인공폐결절은 방사선투시장치 영상에서 실험동물의 후엽 근위부 세기관지에 이식되며 호흡에 따라 결절의 위치가 변화함을 확인하였다. PET 영상에서의 인공폐결절은 모사된 호흡 움직임에 따라 움직임에 의한 인공산물을 나타내었으며, 호흡동조게이트 시 SNR은 7.21로 기준영상의 SNR 10.15에 비해 감소하였으나 프로파일상 게이트영상의 영상계수는 정적영상에 비해 기준영상과 유사하여 PET 영상의 질을 개선함을 확인하였다. 방사선조사 실험간 인공폐결절 내 삽입된 유리선량계에 조사된 조사선량은 정지 상태와 10 rpm의 종축 왕복운동에서 0.91 Gy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15 rpm의 종축 왕복운동에서 0.90 Gy로 오차범위 내 감소를 나타내었으며, 이온 전리함을 통한 조사선량 검출에서도 근소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본 실험에서 제작된 인공폐결절은 실험동물의 후엽 근위부 세기관지에 높은 재현성을 보이며 방사선투시 영상에서 폐의 내부 움직임을 반영하였다. PET 영상 내 움직임에 의한 인공산물이 관찰되며, 방사선 조사연구에서는 호흡운동이 미약한 영상 흐림을 일으킴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인공폐결절은 진단 및 치료분야에서 실험동물을 이용한 움직임 기반 진단 및 치료 평가에 유용한 도구로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Full HD 동영상을 이용한 FEES법이 VFSS의 진단적 가치를 향상 시키는 유용성에 대한 평가 (An Evaluation of Usefulness of FEES Method using Full HD Video that Improves Diagnostic Value of VFSS)

  • 김영란;김영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678-685
    • /
    • 2016
  • 현재까지 연하 장애의 검사법으로 Gold standard 한 검사법은 영상의학과의 투시 장비를 이용한 삼킴 검사법이었다. 그러나 근래에 들어서면서 내시경을 이용한 검사법이 이용되면서 진단에 많은 도움을 주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VFSS와 FEES를 동시에 수행함으로 FEES의 안정성과 유용성을 평가했습니다. 본 연구는 2013년 12월부터 2014년 3월까지 연하 곤란의 진단 또는 평가를 위해 VFSS와 FEES 두 가지 검사를 모두 시행한 13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장비는 VFSS(FELAVISION, SHIMADZU), FESS(EVIU LUCERA CV-260SL, OLYMPUS)을 사용하였다. Logemann의 protocal을 일부 변형하여 2.5 ml, 5 ml, 10 ml의 바륨 희석액, 바륨을 희석한 요거트, 바륨을 희석한 죽, 바륨을 희석한 밥을 준비하여 취식하게 한 후 pharyngeal residue, penetration, aspiration 등을 확인하였다. FULL HD동영상을 사용한 VFFS 검사에서와 FEES 검사에서는 총130명의 환자에서 36명이 두 검사 모두에서 Aspiration이 관찰되었다. 이중 VFFS 에서는 36명이 Aspiration이 발견되었고 FESS에서는 5명이 증가한 41명에서 Aspiration이 관찰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FEES 의 검사법이 연하곤란의 진단에는 더욱 민감하게 검출 되었으나 이 두 가지 검사법은 상호 보완적이기 때문에 보다 숙련된 내시경조작법과 정확한 투시검사가 병행될 때 진단적 가치는 훨씬 향상될 것이다.

영상의학검사 일반촬영 분야의 촬영기법에 대한 분석 (National Data Analysis of General Radiography Projection Method in Medical Imaging)

  • 김정수;김정민;이영한;서덕남;최인석;남소라;윤용수;김현지;민혜림;허재;한성규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7권3호
    • /
    • pp.169-175
    • /
    • 2014
  • 2013년 국민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의료기관 데이터베이스에 따르면 1118개의 병.의원에 영상의학과가 개설되어있다. 이들 병원에는 CT, 투시촬영장치, 일반촬영장치와 같은 의료용 방사선 발생장치가 운영되고 있다. 이 중에서도 일반촬영장치는 가장 많은 병원에서 운영되고 있는 장비이다. 일반촬영장치의 경우 film-screen 장치에서 digital radiography 로 급격하게 변하고 있다. 하지만 그 촬영기법은 films-screen 기법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어 디지털 장치의 맞는 촬영기법의 개발을 위한 전반적인 실태 조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의료기관의 일반촬영기법에 관한 조사를 시행하여 실제 병원에서 사용하고 있는 일반촬영기법의 기술적 항목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여 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의료기관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일반촬영기법 26개에 대한 촬영기법의 전국 단위 조사에서 흉부, 두부, 척추, 골반에 해당하는 검사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였다.

상강화기의 임상평가 (Clinical Evaluation for System Performance of Image Intensifiers)

  • Kim, Chang-Seon;Charles R. Wilson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9권3호
    • /
    • pp.143-154
    • /
    • 1998
  • 상강화기는 형광 영상장치에서 영상의 특성을 결정하는 주된 요소이다. 본 연구는 두가지의 상강화기를 임상에서 평가하기 위하여 간단하고 비파괴적이며 적당한 시간내에 행할 수 있는 계의 활동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크게 세 부분 즉, X-선 발생장치, 영상의 질, 조준으로 되어있다. X-선의 발생장치에 대하여 관전압의 정확도와 자동노출 조절기능을 비교하였다. 영상의 질을 위해서는 저대비 및 고대비 분해능 측정, 체격자 실험 등을 수행하였으며 이 실험에서는 비디오 모니터 및 순간영상을 필름화한 정량적인 분석을 분석하였다. 조준에 대해서는 상강화기의 유용한 영역의 직경과 상의 찌그러짐을 측정하고 정량적인 분석을 하였다. 이 실험들의 과정 및 결과들이 상강화기의 인수검사 및 계의 활동지수를 평가하는데 이용되기를 바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