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uoride-Ion

검색결과 222건 처리시간 0.022초

불소방출성 수복재의 불소 재충전에 따른 불소유리와 표면변화 (An Effect of Fluoride Recharging on Fluoride Release and Surface Change of Fluoride-Releasing Restorative Materials)

  • 문장원;유미경;이광원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1권1호
    • /
    • pp.25-32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n effect of fluoride recharging on fluoride release and surface change of fluoride-releasing restorative materials. Six commercially available fluoride releasing restorative materials (Fuji II LC Improved: FL, Compoglass F: CF, Dyract AP: DA, F2000: FT, Gradia Direct: GD, and Tetric Ceram: TC) were selected as experimental materials. Disk specimens were fabricated with split teflon mold to the final dimensions of 15 mm in diameter and 1 mm in thickness. Ten samples of each material were fabricated and stored in deionized water at $37^{\circ}C{\pm}1^{\circ}C$ for 3 months. Before fluoride recharging, all specimens were polished sequentially from #800 to #2000 emery papers. Fluoride recharging was done at 5-day interval using 2.0% NaF gel. The release of fluoride into the storage water was monitored using a fluoride ion electrode. Data were analyzed by one-way ANOVA and Tukey's multiple range test.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Fluoride recharge capability were FL > CF > DA and TC group after 12 times exposure to 2.0% NaF gel (P<0.05). 2. All the experimental materials, except for FT group, showed the increase of fluoride release and surface roughness. 3. Fluoride-releasing rates returned to base line within 3 days.

입자상 알루미늄 충전복극전해조에 의한 불소제거 (Fluoride Removal by Granular Aluminium Bipolar Packed Bed Electrolytic Cell)

  • 하지영;박정훈;우성훈;박승조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684-688
    • /
    • 2007
  • 입자상 알루미늄 충전 복극전해조를 이용하여 불소함유 수용액을 정전위 전해한 결과를 아래에 요약하였다. 이온크로마토그래피로 전해 시료를 분석한 결과 인가전압 1, 5, 10 V에서 불소이온 제거율은 각각 53, 73, 90%이었다. 지지전해질농도를 10, 30, 50, 70 mg/L로 조절하고 알루미늄 충전율을 0, 25, 50, 75%로 충전 후 전기량을 측정한 결과 지지전해질 농도가 50 mg/L일 때와 충전율이 75%일 때에 전기량이 $2.58A{\cdot}hr$이었다. 불소농도를 30, 50, 70 mg/L로 하여 10 V에서 3시간 전해실험 한 결과 불소제거율이 각각 93.3, 80.0, 68.6%이었고 전기량은 2.59, 3.89, $5.43A{\cdot}hr$이었다. 또한 단위전기량 당 불소 제거량은 불소농도 30, 50, 70 mg/L 에서 4.0, 3.5, $2.0mg/A{\cdot}hr$이었다.

글라스 아이오노머 수복재의 불소 유리 및 재흡수 양상 (FLUORIDE RELEASE AND RECHARGE OF GLASS IONOMER CEMENTS)

  • 배익현;김재문;김신;정태성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36-143
    • /
    • 2005
  • 이차 우식은 수복 실패의 주된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빈번히 재수복을 하게 된다. 이차 우식은 항우식 작용이 있는 불소를 함유한 수복물을 사용하여 예방될 수 있다. 구강내에서 불소를 유리하는 것으로 알려진 글라스 아이오노머 수복재는 불소를 장기간 유리할 뿐 아니라 불소의 재충전 및 재유리 능력이 있어 불소의 저장소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통상의 글라스 아이오노머와 고점도 글라스 아이오노머 및 복합 레진을 대상으로 불소의 유리 양상과 불소도포를 통한 재흡수 후 유리 양상을 알아봄으로써 기존의 수복재와 새로운 수복재간의 임상적 유용성을 평가할 목적으로 시행하였다. 4종의 수복재를 대상으로 불소 유리량 및 2% NaF로 재충전 후 불소 유리량을 각각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실험 대상의 모든 글라스 아이오노머 수복재는 초기에 다량의 불소를 유리하고 이후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2. 2% NaF 용액을 통한 재충전 후의 유리량은 Fuji IX, Ketac Fil, Ketac Molar, Z-100의 순으로 나타났다. 3. Fuji IX을 제외한 모든 실험 대상의 수복재에서 수분의 영향으로 표면 경도는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불소 재충전 후 유리량은 수분 흡수와 비례하였다(P<0.05). 4. Fuji IX이 초기 유리량에 비해 재충전 후 더 많은 불소를 유리였다(P<0.05).

  • PDF

불산 누출 사고 시 불산에 노출된 식물잎을 이용한 대기 중 불화수소 농도 추정 (Estimation of the Concentration of HF in the Atmosphere Using Plant Leaves Exposed to HF in the Site of the HF Spill)

  • 임봉빈;김선태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48-255
    • /
    • 2016
  • The leaves of three plant species, such as soybean, raspberry, and kudzu, exposed to hydrogen fluoride was collected in an area surrounding an emission source where the release accident occurred. The ultrasonic-assisted extraction and analysis of fluoride by ion chromatography was carried out. The mean concentration of fluoride in the leaves of three plant species exposed to hydrogen fluoride was $5,409{\pm}1,198mg\;F/kg\;dry\;wt$ and $788{\pm}339mg\;F/kg\;dry\;wt$, respectively. The mean fluoride concentration in ambient air were estimated to be $2.36{\pm}0.65mg/m^3$ ($2.89{\pm}0.79ppm$) and $0.35{\pm}0.15mg/m^3$ ($0.43{\pm}0.19ppm$) in exposed and unexposed sites, respectively. It seems likely that the passive monitoring using plant leaves could identify with respect to plant risk by fluoride in atmosphere.

산업폐기물인 적니를 이용한 불소 제거 (Fluoride Removal from Aqueous Solutions using Industrial Waste Red Mud)

  • 엄병환;조성욱;강구;박성직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5권3호
    • /
    • pp.35-40
    • /
    • 2013
  •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dsorption potential of red mud for fluoride removal. Different operation parameters such as the effect of contact time, initial concentration, pH, competing anions, seawater, adsorbent dose amount, and adsorbent mixture were studied. Nearly 3 hr was required to reach sorption equilibrium. Equilibrium sorption data were described well by Langmuir model and the maximum adsorption capacity of red mud was 5.28 mg/g. The fluoride adsorption at pH 3 was higher than in the pH range 5-9. The presence of anions such as sulfate, nitrate, phosphate, and bicarbonate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fluoride adsorption onto red mud. The fluoride removal by red mud was greater in seawater than deionized water, resulting from the presence of calcium and magnesium ion in seawater. The use of red mud alone was more effective for the removal of fluoride than mixing red mud with other industrial waste such as oyster shells, lime stone, and steel slag. This study showed that red mud has a potential application in the remediation of fluoride contaminated soil and groundwater.

pH, 이온종류 및 농도, 퇴적물의 성분에 따른 하천 내 불소의 거동특성 (Behavior Characteristics of Fluoride with pH, Ion Type and Concentration, and Sediment Characteristics in River)

  • 이동민;주광진;최이송;장광현;오종민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5권1호
    • /
    • pp.19-24
    • /
    • 2018
  • 하천에 유입된 오염물질은 다양한 환경 조건에 의하여 수체 및 퇴적물의 상호작용에 따라 수체의 수질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최근 수체의 수리학적 체류시간이 상대적으로 긴 정체수역 내에서는 퇴적물의 축적량이 증가하고 있어 퇴적물과 수체 내에서의 물질적 거동특성 파악은 중요한 수질적 관점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 내 pH, 이온종류 및 농도, 퇴적물의 점토함량에 따라 불소의 거동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검토하기 위하여 경기도에 위치한 중소하천을 대상으로 조건별 실험을 실시하였다. pH에 따른 흡착 및 용출특성 실험결과, pH가 높을수록 불소의 흡착량이 감소하였고, 용출되는 불소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이온농도 및 종류에 따른 흡착 및 용출특성 실험결과, $Cl^-$, $SO{_4}^{2-}$ 이온은 불소의 흡착능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불소와의 활발한 이온경쟁효과를 지닌 $OH^-$와의 반응에서는 흡착량이 줄고, 용출량이 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퇴적물의 성분에 따른 흡착 및 용출특성 실험 결과 상대적으로 입경이 작은 Silt와 Clay 성분이 많이 포함된 시료에서 불소의 흡착량이 많고 용출되는 불소량이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수체의 환경조건이 퇴적물 내 불소의 흡착 및 용출에 크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퇴적물 내 불소를 적절하게 관리하기 위해서는 수체의 환경조건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초미분말 석회석 현탁액을 이용한 전자산업 폐수 불소이온 제거연구 (Removal of Fluoride Ions from Electronic Industrial Wastewater Using Lime Stone Slurry)

  • 박현수;박연수;정구일;김재우;조영민
    • 공업화학
    • /
    • 제29권3호
    • /
    • pp.258-263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전자산업폐수에 함유되어 있는 불소성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미세 침강성 석회석을 적용해보고자 하였다. 석회석의 입자크기는 평균 $0.96{\mu}m$이었으며, 질량 기준으로 70%가 함유된 수용액상의 pH는 10이었다. 현탁액의 침강속도는 2 mL/hr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험용 석회석 수용액은 폐수 중화와 불소이온 제거능력 면에서 기존의 액상소석회와 동등 이상의 성능을 보여주었다. 추가적인 알칼리 증량제의 투입양에 따라 pH 7에 도달할 수 있는 시험용 칼슘원의 양은 기존의 석회수보다 적었다. 또한 불화수소로 고정시킬 수 있는 양도 미분말 석회석이 석회수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Minteq 평형모델링으로부터 다양한 불소와 칼슘화합물 형성이 예상되었다.

이온 크로마토그래피용 Open Tubular Capillary 컬럼의 개발 (Development of Open Tubular Capillary Columns for Ion Chromatography)

  • 표동진;김호현
    • 대한화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43-148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작은 양의 시료를 분석할 수 있는 이온 크로마토그래피용 open tubular capillary 컬럼을 개발하였다. 내경이 작은 모세관 컬럼을 사용하는 경우 이동상의 유속은 보통 1~10㎕/min 정도 되고 컬럽의 길이는 1.0~5.0m 정도이다. 컬럼은 fused silica 모세관(내경 : 50㎛)과 DMEOHA latex particles를 이용하여 만들었다. 또한 이런 모세관 컬럼에 맞는 새로운 전도도 셀과 억압장치도 함께 개발하여 사용하였다. 이 모세관 컬럼을 이용하여 실제 음이온들(fluoride, nitrite, chlorate, phosphate, sulfate)을 분석한 결과재현성 있고 좋은 크로마토그램을 얻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