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owering Date

검색결과 288건 처리시간 0.027초

시비량과 재식밀도가 목화의 개화 및 결삭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rtilizer Levels and Plant Densities on Flowering and Bolling in Cotton)

  • 김상곤;박홍재;성병열;정동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436-441
    • /
    • 1992
  • 목화 재배에 있어서 시비량별 재배밀도에 따른 화뢰의 착생, 개화 및 결삭의 양상과 이들 화뢰 또는 삭의 낙하에 관한 조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목화는 적채면 수확한계기인 8월 25일(목포지방)까지의 전체 개화수의 67%가 개화하였고 그 후 목채면으로 수확할 수 있는 개화수비율은 약 30%였다. 2. 비료수준은 1.5배비(표준비 4-4-5kg/10a)에서 화뢰, 개화 및 삭수가 가장 많았다. 3. 휴폭 50cm의 협폭하에서는 밀식할수록 양분쟁탈에 의한 생육 부진으로 개체당 화뢰, 개화 및 삭수의 감소가 심하였으나 다비조건의 70cm의 광폭에서는 주간이 좁을수록 그 수가 많은 반면에 소식에서는 과번무의 양상을 볼 수 있었다. 4. 화뢰수에 대한 개화비율은 약 70% 정도이고 개화수에 대한 결삭비율은 48% 내외였으며 개화수가 많으면 결삭비율은 오히려 낮아졌다. 5. 화뢰의 낙하비율은 30% 내외이며 협휴밀식할수록 높아지는 경향이었고 낙뢰율이 높을수록 낙삭율은 낮았다.

  • PDF

땅콩 종자의 $GA_3$ 및 IAA 침지처리가 개화 및 수량구성요소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e-sowing Seed Treatment with $GA_3$ and IAA on Flowering and Yield Components in Peanut)

  • 이효승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9
    • /
    • 1990
  • 땅콩의 종실체내 Gibberellin 및 IAA를 처리 침투시켜 Hormone의 활성을 자극시키므로서 배자의 발육을 촉진시키고 호분층내에 있는 e-amylase의 분필기능을 촉진시켜 땅콩의 발아상태를 호전시키고 초기 개화수 확보에 의한 결협상태를 개선코자 온실에서 서둔땅콩을 공시하고 약제처리는 GA$_3$ 10, 50, 100ppm과 IAA 50, 100, 200ppm 용액에 24시간 침지후 파종하였으며 출현 및 개화 그리고 수량구성 요소를 조사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출현요소 일수는 GA$_3$50ppm과 IAA 200ppm에서 모두 2일이 소요되었으며 무처리의 7일에 비하면 5일이 단축되었다. 2. 개화수를 보면 개화기까지는 GA$_3$ 및 IAA의 모든 처리구에서 무처리보다 11-17일이 단축되는 경향이 있으며 IAA 100ppm 처리의 경우 17일이 단축되었다. 3. 경시적 누적 개화수에서는 GA$_3$, IAA 처리 모두 개화후 30일까지 볼 때 초기 개화수가 현저히 증가되었으며 특히 IAA 100ppm 처리시 64화에 비하면 무처리의 경우 21화에 불과하였다. 4. IAA 100ppm 처리구에서는 주경장, 분지장, 주경절수 등이 어느 처리 농도에서도 지상부 생육이 양호하였으며 무처리 보다는 월등한 생육 차이를 보였다. 5. IAA 및 GA$_3$ 모두 100ppm 처리구에서 완숙입비율이 주당 협실중 및 중실중에서도 무처리에 비하여 각각 증가되는 경향이 있다.

  • PDF

Breeding of Early Heading Date with High Yield Using CRISPR/Cas9 in Rice

  • Eun-Gyeong Kim;Jae-Ryoung Park;Yoon-Hee Jang;Kyung-Min Kim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85-285
    • /
    • 2022
  • Recent unpredictable climate change is a major cause of rice yield loss. In particular, methane is a key factor in global warming. Therefore rice breeders are trying to breed the reducing-methane gas emission rice using the crossbreeding method. However, the traditional crossbreeding method takes 8 to 10 years to breed a cultivar, and the anther culture method developed to shorten the breeding cycle also takes 6 to 7 years. On the other hand, CRISPR/Cas9 accurately edits the target trait and can rapidly breed rice cultivars by editing the target trait as a homozygous in 2-3 years. In addition, exogenous genetic elements such as Cas9 can be isolated from the G1 generation. Therefore, the flowering time was regulated by applying CRISPR/Cas9 technology, and OsCKq1 genome-editing (OsCKq1-G) rice with early flowered and high yield was bred in the field. Genome-editing of OsCKq1 applied CRISPR/Cas9 technology up-regulates the expression of the flowering promotion gene Ehd1 under long-day conditions induces early flowering and increases the yield by increasing the 1,000-grain weight. And as the generations advanced, each agricultural trait indicated a low coefficient of variation. As a result, indicated that OsCKq1 plays an important role in regulating the flowering time and is related to the trait determining yield. Therefore, OsCKq1-G can suggest a breeding strategy for the Net-Zero national policy for reducing-methane gas emission rice by shortening the breeding cycle with the early flowered, and high-yield rice. CRISPR/Cas9 technology is a rapid and accurate breeding technology for breeding rice cultivars with important characteristics.

  • PDF

Effects of Cultivation Methods on Yield and Essential Oils of Chrysanthemum indicum L. (Gamgug)

  • Lee, Chang-Hoon;Lee, Kyung-Dong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56-361
    • /
    • 2008
  • Chrysanthemum indicum L. (Gamgug) has been examined to study their flowering habits, yields and bioactive compounds under different planting densities and mowing dates. The planting density experiment revealed a significantly increasing stem diameter, number of flowers and branches with decreasing plant density in the $100\;cm{\times}30\;cm$ and $130\;cm{\times}30\;cm$ treatments as compared to $70\;cm{\times}30\;cm$ treatments, but not plant height, leaf and flower width. On the other hand, the mowing date experiment showed that growth characteristics of plants were similar to the control plants (not mowing) and June 20 treatment, but July 20 treatments had significantly smaller than the control. The weights (g $plant^{-1}$) of dry flowers were affected by the planting density and mowing date. The flower yield of $586\;kg\;ha^{-1}$ obtained at $100\;cm{\times}30\;cm$ density was 11% and 22% higher than that of $120\;cm{\times}30\;cm$ and $70\;cm{\times}30\;cm$ treatments, respectively. The yield of dry flowers in the control and June 20 mowing date ranged $495-508\;kg\;ha^{-1}$, which is 40-42% higher than the yield in the July 20 treatments. The amount of essential oil (g $plant^{-1}$) in medically valuable flowerheads of C. indicum L. was statistically different between mowing dates but not among planting densities. The study showed that planting density and the mowing date could increase yields of flowerheads. An optimum planting density of $100\;cm{\times}30\;cm$ and mowing date of on or before June 20 is recommended for C. indicum L.

온도와 일장조건에 따른 참깨 개화 및 생육특성 영향 (Effect of Temperature and Daylength on Flowering and Growth Characteristics)

  • 심강보;구본일;신명나;전원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5권3호
    • /
    • pp.241-247
    • /
    • 2020
  • 온도와 일장처리를 달리하여 참깨 개화, 생육특성 및 수량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2019~2020년 2년에 걸쳐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단일조건(12시간)에서 온도 증가에 따른 참깨 품종의 개화일수 단축정도는 90일깨가 11일, 풍성깨가 10.5일, 아름깨가 10일이었으며 고온조건(28℃)에서 일장이 길어 질수록 참깨품종의 개화지연일수는 90일깨가 7.5일, 안산깨와 양백깨가 각각 9일, 풍성깨가 14.5일, 성분깨가 15일, 아름깨가 18일로 나타났다. 2. 개화일수와 경장, 주당삭수, 천립중, 10a당 수량간에는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는데 개화소요 일수가 길어 개화가 늦어지면 생식생장기간이 줄어들고 수량관련 형질들의 기본특성을 확보할 수 있는 기간이 부족해진다. 3. 일장과 온도에 따른 품종 간 수량성 변화를 보면 안산깨, 아름깨는 온도가 높아질수록 수량이 감소하였으나 양백깨, DT45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일장이 길어질수록 수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났으며 참깨 품종간 반응을 다양하게 나타났다. 4. 풍성깨, 성분깨는 파종기를 앞당겨서 조기파종에 적합하였으며 DT45, 풍성깨, 90일깨, 안산깨, 성분깨는 파종기를 늦추어 만파를 할 경우 적합하였다. 양백깨와 아름깨는 5월 상순부터 중순까지 파종을 하였을 경우 수량성 확보에 유리하였다.

파종기별 채엽이 들깨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ate and number of defoliation by different seeding date on growth and yield of perilla(Perilla ocymoids cv. Saeyupsildlkkae))

  • 김인재;김민자;남상영;이철희;박충범;김홍식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44-149
    • /
    • 2002
  • 채소로서 들깨 잎을 이용함에 따른 종실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 하고자 새엽실들깨를 4월 30일부터 20일 간격 4회 파종하여 채엽 유무에 따른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채엽에 따른 개화 및 성숙기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파종이 늦어짐에 따라 출아일수, 개화기 그리고 성숙기는 단축되었으며 , 채엽 유무와 파종기간 상호작용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 채엽 유무에 따른 지상부 생육은 차이가 없었으나, 만파할수록 경장은 140cm에서 96cm, 주경절수는 19마디에서 11마디, 주당 건경중은 541g에서 186g로 감소하였다. 3. 엽수량은 5월 20일까지 파종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이후 파종이 늦어짐에 따라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4. 화방군장과 주당 화방군수는 파종기에 따른 유의성이 없었으나, 화방당 삭수는 파종이 늦어짐에 따라 32개에서 25개로 감소하였으나, 1,000립중은 3.42g에서 4.62g으로 증가하였다. 5. 종실수량은 채엽 유무에 따른 파종기 간 차이는 없었으나, 파종기에 따라 6월 10일까지는 차이가 없었으나, 이후 파종이 늦어짐에 따라 감소 폭이 컸다.

Evaluation of Forage Production of Maize with Different Sowing Dates and Ridge Shape for Silage at Paddy Field in the Central Region of Korea

  • Youngchul Yoo;Dae-Woo Lee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00-100
    • /
    • 2022
  • This study was conducted in 2021 using Kwangpyeongok and Gangdaok, that showed good yield performance both under upland and lowland conditions in the previous year. Th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by sowing on April 22, May 14, May 30, June 19, and July 10, with aim to determine optimum sowing date in central region of Korea. The growing degree days (GDD) required to read the flowering stage were 1375.5-1725.3℃ for upland and 1582.7-1982.4℃ for lowland condition. The lowest GDD was observed in July 10 sowing regardless of ridge formation both under lowland and upland conditions for Kwangpyeongok. However, Gangdaok showed the lowest GDD under no-ridge in lowland and high-ridge in upland, both of which were sown on June 19. The difference in GDD between no-ridge and high-ridge treatment was little depending on the sowing date. In both lowland and upl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no-ridge and high-ridge treatments in stover dry matter, ear dry matter, and TDN between no-ridge and high-ridge treatments. Under upland condition,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iomass and TDN was observed among sowing date treatments and between varieties. Under lowland condition, biomass production was severely reduced in May 30 sowing treatment, whereas no varietal difference was observed. Reduced biomass in May 30 sowing treatment may be due to excess waterlogging and lodging by rainfall.

  • PDF

참깨 주요 병해의 저항성 품종 선발과 발병환경구명 (Varietal Evalution of Resistance and Developing Conditions on Sesame Disease)

  • 김흥배;김용욱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67-71
    • /
    • 1984
  • 참깨의 주요병해인 역병에 대한 품종선발시험과 엽고병에 대한 발병조건을 구명하기 위하여 포장과 온실을 이용하여 시험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중요 사항이 관찰되었다. 1. 역병에 대한 저항성품종은 Orotall. Suweon 7, Suweon 27 및 조치원이 저항성 품종으로 나타났고 PI 280795, IS 103도 다소 강한 품종으로 보였다. 2. 참깨 엽고병예 대한 발병률은 고온인 3$0^{\circ}C$에서 광의품종이 15%, 김포품종이 25%의 병반면적률을 보였고, 저온인 17$^{\circ}C$에서는 광의가 50%, 김포가 70%로 높은 이병성을 보였다. 3. 참깨 엽고병의 발병률은 다습조건에서 품종 광의가 55%, 김포가 80%의 병반면적률을 보였고. 건조조건에서는 광의와 김포품종이 각각 10%와 15%의 병반면적률을 보임으로서 다습조건에서 심한 발병현상을 보였다. 4. 엽령별 엽고병 발병정도를 보면 6엽기와 개화기에 각각 20%와 52.5%의 병반면적률을 보여 심한 발병현상을 보였고, 10엽기와 20엽기에는 이보다도 낮은 발병률을 보였다.

  • PDF

유색대두 수집종의 특성연구 제1보 유색대두 수집종의 종실 및 생육특성 연구 (Basic Studies on the Native Colored-Soybean Cultivars I. Seed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s in Growth and Yielding of Collected Colored - Soybean Cultivars)

  • 구자옥;민경수;하기용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11-215
    • /
    • 1983
  • 수집된 재래의 유색대두종을 일률적인 재배조건하에서 종실특성 변이와 종실종군별 생육진전 및 수량형질 특성을 조사한 결과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1. 유색대두 수집종들은 100립중을 기준으로 하여 20gr 이하의 소립중, 20-25gr의 중립중, 25-30gr의 대립종 및 30gr 이상의 특대립종 등 4개군으로 나눌 수 있었다. 2. 종실크기에 관련된 요인중 종실장과 종실폭의 변이는 종실후보다 크게 나타났다. 3. 종실중과 경중 및 주당협수 등의 형질들은 변이계수에서 생육일수나 결과일수 등의 형질보다 큰 경향이었다. 4. 생육일수와 성숙일수 및 개화시기는 립중군별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5. 개화기와 성숙일수는 경장 및 경중과 정의 상관관계를, 경장과 경중은 수량형질과 정의 상관을 나타내었으며, 주당협수는 100립중과 부의 상관을, 또한 수량과는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 PDF

중간신육 직립형 동부의 파종기 이동에 따른 재배적 특성 변화 (Effects of Sowing Date on Agronomic Characteristics of Intermediate-erect Type Cowpea)

  • 김동관;이경동;임요섭;정정성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504-510
    • /
    • 2016
  • 본 연구는 중간 신육형 직립 초형 동부 계통의 파종기 이동이 생태반응과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전남 나주(위도 35° 04' N, 경도 126° 54' E)에서 2013년과 2014년에 수행하였다. 시험계통으로 전남1호와 전남2호(옥당)를 이용하여 4월 중순부터 8월 중순까지 1개월 간격으로 5회 파종하였다. 출현일수는 4월 중순 파종에서 12일로 길었고, 기타 파종기에서는 5∼3일이었다. 개화일수는 4월 중순부터 7월 중순까지는 파종기가 지연됨에 따라 짧아지다 8월 중순 파종에서 길어졌다. 즉, 4월 중순 파종에서 62일 내외로 가장 길었고, 7월 중순 파종에서 35일로 가장 짧았다. 개화시에서 수확기까지의 소요일수는 4월 중순부터 7월 중순 파종에서 17∼15일로 짧았으나, 8월 중순 파종에서는 24일로 긴 편이었다. 경장은 5월 중순과 6월 중순 파종에서 긴 편이었고, 화경장은 4월 중순 파종에서 긴 편이었으며, 주경절수는 7월 중순 파종, 분지수는 4월 중순 파종에서 많았다. 전남1호와 전남2호(옥당)의 10 a당 수량은 4월 중순 파종에서 각각 199, 211 ㎏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7월 중순 파종에서 각각 191, 195 ㎏로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