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oristic region

검색결과 123건 처리시간 0.028초

제천의 관속식물상 (Floristic Study of Jecheon)

  • 한정은;임진아;오연숙;이만규;최미숙;김갑성;김효진;안진성;최은경;이호균;이병윤
    • 환경생물
    • /
    • 제32권3호
    • /
    • pp.176-210
    • /
    • 2014
  • 본 연구는 한국의 중부에 위치한 제천의 관속식물상을 밝히고 주요 식물을 조사하였다. 2013년 3월부터 동년 10월까지 총 18회의 현지조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127과 411속 678종 9아종 70변종 6품종 2교잡종의 765분류군의 분포를 확인하였다. 환경부 법적보호종인 멸종위기야생식물은 6분류군이며, IUCN 평가기준에 따른 적색목록은 21과 26속 29종의 29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한반도 고유종은 25분류군이 조사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122분류군으로 5등급 12분류군, 4등급 13분류군, 3등급 34분류군, 2등급 11분류군, 1등급 52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외래식물은 58분류군(7.58%)이 조사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종 분류에 관한 고찰 - 식물구계의 역리 - (Discussion on the Classification of Floristic Target Species - An Ecological Paradox of Floristic Regions -)

  • 김종원;엄병철;박정석;김윤하;최병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318-326
    • /
    • 2023
  • 식물구계학적 특정종은 식물상 정보를 이용한 지역환경을 평가하는 주요 수단이며, 종의 선정과 평가는 식물구계 정보에 의거해서 이루어진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식물구계에 대해 학술적 진의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식물구계 관련 핵심문헌 7편을 검토하였으며, 식물구계 적용 근거를 비교 검증하였다. 1919년의 Nakai 울릉도 식물상 조사보고서는 식물구계에 관련한 일반적인 지리구분(지방)을 처음으로 기재했다. Oh는 1977년에 한국의 유관속식물에 대한 식물지리구계도를 처음으로 제시하였다. 1978년에는 Lee & Yim이 중부와 남부를 가르는 구계도를 제시했고, 그 밖에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식물구계 경계는 조정되고 개정되었다. 마침내 2018년에는 Lee & Yim (1978)에서 변형된 식물구계학적 특정종의 식물구계도가 채택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식물구계들은 연구자 간에 차이가 있었고, 구계 지표 식물의 불일치성도 확인되었다. 그럼에도 그런 상이성에 대한 근거는 찾을 수 없었다. 결론적으로 도식화된 모든 식물구계도는 선험적으로 그은 임의 선에 의존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식물구계학적 특정종이 환경영향평가 및 국가 식물상 평가를 위한 과학적 수단으로서 그 실효성과 실체성을 확보하기 위해 다음의 두 가지 생태학적 전략을 제안했다 : 종분포 고유성(nativeness) 정보를 바탕으로 하는 식물상 및 식물구계의 성취와 서식처 기반(habitat-based) 식물상 장기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축.

금정산의 관속식물상 (Floristic Study on Mt. Kumjung)

  • 김맹기;배춘화;김종원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65-171
    • /
    • 1997
  • The floristic characteristics and ecological conservation measures for the plant resources of the Mt. Kumjung(801m), Pusan, Korea were discussed. The field works was done for about twenty times in nine major areas from March, 1995 to Octover, 1996. The total number of vascular plants In this area were summarized as 103 families, 312 genera, 493 species and 564 kinds. The fourteen kinds of artificially planted, ten kinds of Korean endemics and twenty-nine kinds of Korean rare and endangered species in the area were revised and compiled in the list. The flora of the area were categorized into the South-coast put of the Korean Region, where the species such as Platycarya strobilacea, Quercug serrata, Eutya japonica, Camellia japonica, Trachelosperm urn asia talcum vu . in termedium, Quercus acu tissima were roles as major floristic components in the Korean Region and endemized in the south-cosat part of Korea. The natural communities such as Pinus thunbergii Community, Quercus mongolica community, Cupinus laxiflora Community, Wistria floribunda Community and swamp vegetation in Bukmun area as well as upland grassland at the summit of Kodangpong were represented for their floristic values in the area. The thirty kinds of medichinal plant, fifteen kinds of ornamental plants and thirteen kinds of edible plants are faced potentially in endangered from the outrageous collections by the local peoples. The action plan for the conservation management of the area which enables sustainable use by the local peoples must have established in the near feature.

  • PDF

탐진강 하구역 일대(강진군)의 관속식물상 (Floristic Study of Tamjin River Estuary in Gangjin-gun, Korea)

  • 장현도;임효선;한세희;오아미;오병운;양선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579-603
    • /
    • 2020
  • In order to provide fundamental information about the floristic composition of the area along with an assessment of the environmental impact, a floristic study of the vascular plants in the Tamjin River estuary in Gangjin-gun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nine days, in the period from June 2014 to September 2014. We found that the vascular plants in this region comprised 424 taxa belong to 102 families, 281 genera, 390 species, 5 subspecies, 26 varieties, and 3 forma. Five taxa of Korean endemic plants including Weigela subsessilis (Nakai) L.H.Bailey, Lespedeza maximowiczii var. tricolor (Nakai) Nakai, and Clematis trichotoma Nakai were collected. Two least concern (LC) taxa of rare plants (as designated by the Korea Forest Service) were collected: Hydrocharis dubia (Blume) Backer and Platycladus orientalis (L.) Franco. Ten the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taxa from the third to the fifth grade were identified: two taxa belonged to grade IV, and eight taxa belonged to grade III. Twenty-four taxa of salt-tolerant plants, including Artemisia fukudo Makino, Carex rugulosa Kuk., and Suaeda glauca (Bunge) Bunge, as well as 44 taxa of aquatic plants, including Najas marina L., Nuphar oguraensis Miki, and Nymphoides indica (L.) Kuntze, were investigated in this region. Fifty-nine taxa of naturalized plants were recorded, among which the following six taxa were plants that caused ecosystem disturbance: Ambrosia artemisiifolia L., Humulus scandens (Lour.) Merr., Lactuca scariola L., Rumex acetosella L., Solidago altissima L., and Symphyotrichum pilosum (Willd.) G.L.Nesom.

월악산 국립공원의 관속식물상 (Floristic Study of Woraksan National Park in Korea)

  • 장창석;양선규;장현도;이로영;박민수;김기홍;오병운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35-63
    • /
    • 2015
  • 월악산 국립공원 지역(북위 $36^{\circ}46^{\prime}{\sim}36^{\circ}59^{\prime}$, 동경 $128^{\circ}02^{\prime}{\sim}128^{\circ}19^{\prime}$)에 자생하는 식물상을 밝히고 주요 식물들의 분포를 파악하였다. 2005년 3월부터 2012년 10월까지 총 41회에 걸쳐 현지조사를 실시한 결과 조사지역의 관속식물은 116과 429속 717종 4아종 78변종 16품종의 총 815분류군으로 정리되었다. 이 중 기존의 조사에서는 발견되지 않았으나 본 조사에서 최초로 밝혀진 분류군은 80분류군이었으며, 조사지역을 9개 대표 채집지로 구분하여 채집지별 주요 식물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월악산 국립공원에 자생하는 식물들 중에는 한국 특산식물 22분류군,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 15분류군,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야생식물 II급 1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중 III등급 이상에 해당하는 56분류군 등이 생육하고 있었다. 또한 월악산 국립공원 지역이 한반도 분포의 남한계인 식물로 청나래고사리, 갈기조팝나무, 개미취 등이, 중심지인 식물로 자주족도리풀, 가는잎향유, 선부추 등이 확인되었으며, 귀화식물은 54분류군이 조사되었다.

자병산 일대의 호석회 및 혐석회식물의 분류 (Classification of Calcicoles and Calcifuges in Mt. Jabyeong)

  • 김병우;오영주
    • 동굴
    • /
    • 제61호
    • /
    • pp.17-46
    • /
    • 2000
  • Mt. Jabyeong(872.5m), limestone region in the Taebaek mountains, located in 37° 32'N, 129° 25'E and in Sangye-ri, Okgye-myeon, Gangreung-si and Samok-ri, Imgye-myeon, Jeongseon-gun, Gangwon-do.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floristic composition from 1997 to 1998 in Mt. Jabyeong and report the distribution of Korean endemic plants, rare and vulnerable plants, calcicoles and calci fuges, The vascular plants in this area were composed of 93 families, 313 genera, 3 subspecies, 57 varieties, 13 forms, 495 species, totaling 568 taxa. Among the vascular plants, 21 taxa were Korean endemic plants and 7 taxa were rare and vulnerable plants. Calcicole and calcifuge plants in this study area were composed of 21 families, 30 genera, 36 species and 14 families, 15 genera, 17 species. The soil pH values of study site in Mt. chabyoung were ranging 7.4∼8, which showed that this site was a mostly limestone area with alkaline soil. And soil depth was formed to a relative thin layer, mostly 2~4cm thickness. This site showed high content of moisture and organic matter which were ranging 40-45% and 15-25%, respectively.

  • PDF

서운산 일대의 관속식물상 (Floristic Study of Mt. Seounsan in Korea)

  • 장현도;오아미;심선희;임효선;한세희;양선규;오병운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35-449
    • /
    • 2017
  • 행정구역상 경기도 안성시 서운면와 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에 걸쳐있는 서운산 일대의 관속식물상을 2014년도 4월부터 2015년 10월까지 총 9회에 걸쳐 조사하였다. 증거표본을 바탕으로 작성한 소산 관속식물은 97과 306속 439종 5아종 51변종 6품종의 총 501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이 중 기존의 조사에서는 발견되지 않았으나 본 조사에서 최초로 밝혀진 분류군은 185분류군이었다. 한반도 특산식물은 광릉골무꽃, 금오족도리풀, 병꽃나무 등 8분류군이 조사되었고, 산림청지정 희귀식물은 솔붓꽃, 들떡쑥, 뻐꾹나리 등 5분류군이 관찰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III~V등급에 해당하는 1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총 68분류군으로 조사되었고, 생태계교란종은 단풍잎돼지풀, 미국쑥부쟁이 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덕유산 국립공원지역의 관속식물상 (Floristic Study on T$\v{o}$kyusan National Park)

  • 임경빈;김용식;전승훈;전정일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91-103
    • /
    • 1994
  • 덕유산 국립공원 지역내에 생육하고 있는 관속식물상을 밝히고 나아가 식물구계학적 논의와 자원식물의 생태학적 보전대책을 강구하기 위하여 1993년 4월부터 7월까지 3회에 걸쳐 9개 조사구역별로 야외조사를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전체 관속식물의 수는 97과 297속 541종류로 확인되었고, 이 중에서 19종류는 인공식재된 수종이었으며, 한국특산식물은 12종류, 희귀식물은 16종류로 나타났다. 덕유산 국립공원내 식물의 구계학적 위치는 졸참나무, 쇠물푸레나무, 대팻집나무, 비목, 감태나무, 복분자딸기, 주목, 개비자나무 및 구상나무 등의 한국구 대표인자와 온대남부의 공통요소들이 자생하고 있는 전형적인 한국구남부에 속하였다. 덕유산 국립공원 지역을 대표하는 식물요소로는 복수초 군락, 주목 군락, 사스래나무 군락, 원추리류 군락, 흰참꽃나무 군락, 철쭉 군락, 금강애기나리 군락, 뻐꾹나리 군락, 구상나무의 분포사실 및 두문산 일대의 습지군락의 분포와 향적봉 일대의 고산초원 발달 등을 들 수가 있었다. 식물자원적 가치가 높아 과도한 이용압력을 받고 있는 종으로는 천마 외 15종의 약용식물, 복수초 외 7종의 관상식물 및 곰취 외 13종의 식용식물로 나타났는데 앞으로 현지주민의 소득자원으로서 지속가능한 이용이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치밀한 생태분류학적인 연구가 이루어져 그 결과에 따라 보전대책이 수립되야 하겠다.

  • PDF

주왕산국립공원의 관속식물상 (Floristic Study of Juwangsan National Park in Korea)

  • 장현도;임효선;한세희;소순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79-406
    • /
    • 2019
  • 주왕산국립공원의 관속식물상을 2017년도 3월부터 10월까지 총 13회에 걸쳐 조사하였다. 증거표본과 사진을 바탕으로 작성한 소산 관속식물은 112과 399속 672종 4아종 72변종 10품종의 총 758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이 중 기존의 조사에서는 발견되지 않았으나 본 조사에서 최초로 밝혀진 분류군은 221분류군이었다. 멸종위기야생식물은 가시오갈피, 큰바늘꽃 등 2분류군이 확인되었고, 희귀식물은 깽깽이풀, 백작약, 꼭지연잎꿩의다리 등 5분류군이 관찰되었다. 한반도 고유식물은 날개현호색, 노랑무늬붓꽃, 몽울토현삼 등 20분류군이 조사되었고,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III~V등급에 해당하는 40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총 55분류군으로 조사되었고, 생태계교란종은 가시상추, 돼지풀, 미국쑥부쟁이 등 3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기후변화 취약종은 총 36분류군이 분포하였고, 북방계 21분류군, 남방계 2분류군, 관심식물은 13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