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athead fish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4초

염건양태의 조리방법에 따른 관능적 특성(I) (The Characteristics of Sensory Evaluation by Various Cooking Methods of Salted-Dried Flathead)

  • 신애숙;이현덕;김경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512-523
    • /
    • 1999
  • 한국인의 전통적, 특징적인 생선섭취 형태는 생선을 건조하여 조리하고 섭취하는 방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실험재료로는 남해안 지방의 대표적인 건조생선인 양태로 하였으며, 염건양태를 각각 찌기, 삶기, 굽기의 세가지 형태로 가열조리를 한 후 시료로 사용하였다. 염건양태를 알맞은 염도로 먹을 수 있다고 판단되는 2, 4, 6(%)의 염용액에 2시간 담근 후 건조하여 그 각각의 양태를 찌기, 삶기, 굽기의 3가지 종류의 가열조리를 하되 조리시간을 5, 10, 15(분)으로 나누어 실시하여 검사시료로 사용하였으며, 사용한 관능검사 방법은 항목척도식 묘사분석과 반응표면 분석법이며, 관능검사 결과는 SAS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1, 찌기조리의 기호도에 있어서는 조리조건이 6% 염농도에 절여 말리고 5분간 찐 염건양태에 대한 선호도가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염농도 6%와 10분 조리, 2% 5분 조리, 2% 10분 조리, 4% 10분 조리의 순으로 선호도가 높았다. 2. 삶기조리의 기호도에 있어서는 조리조건이 염농도 6% 조리시간 10분간 삶은 염건양태에 대한 선호도가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이 6% 15분, 2% 5분, 2% 10분 조리의 순으로 나타났다. 3. 굽기조리의 기호도에 있어서는 염농도 6% 조리시간 10분간 구운 염건양태에 대한 선호도가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2% 5분 조리, 2% 15분 조리, 2% 10분 조리의 순으로 선호도가 높았다 4. 외관의 항목중 갈색정도와 익은정도는 굽기군이 선호도가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냄새의 항목에 있어서 구수한 냄새가 굽기군이 가장 선호도가 높은 반면, 비린내에서는 점수가 가장 낮아 바람직한 조리군으로 나타났다. 풍미의 항목에서 굽기군은 구수한 맛에 있어서는 선호도가 높고, 비린맛에서는 점수가 낮았으며, 조직감에 있어서도 굽기군이 쫄깃함의 선호도가 가장 높았다. 그러므로 3가지 조리방법중 염건양태의 표준조리법은 찌기조리에는 염분 6%에서 5분간, 삶기조리에는 염분 6%에서 10분간, 굽기조리에는 염분 6%에서 10분간 조리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여수 연안 숭어 (Mugil cephalus)의 연령과 성장 연구 (Age and growth of the flathead grey mullet (Mugil cephalus) in the coastal water of Yeosu)

  • 장창익;박희원;권혁찬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7권3호
    • /
    • pp.203-213
    • /
    • 2011
  • The age and growth of flathead grey mullet, Mugil cephalus, were studied using samples collected from the coastal water of Yeosu from September 2009 to August 2010. Spawning season estimated from the gonadosometic index (GSI) was from November to January. A method for increasing the readability of the otolith was described and criteria for the interpretation of otolith was provided. The annual ring was formed in September once a year. Annual ring in otolith for flathead grey mullet is validated for fish aged 1-8 using the marginal increment analysis. Using the sectioned otolith, between reader precision was 84%. Also, Within-reader agreement for sectioned otolith age readings was higher (reader 1=84%, reader 2=87%). The relationship between fork length and total weight was TW=$0.022FL^{2.818}$. The estimated von Bertalanffy growth parameters for the flathead grey mullet were $L_{\infty}$=67.97cm K=0.164/year and $t_o$=-0.81year.

양식 가숭어(Chelon haematocheilus)에서 최초로 분리된 갈고리벌레과 Cymothoids의 특성 연구 (First report and characteristics study of Cymothoids isolated from cultured flathead grey mullet (Chelon haematocheilus))

  • 서한길;오명주;조미영;한현자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403-408
    • /
    • 2023
  • 본 연구를 통해 한국의 양식 가숭어에서 최초로 분리된 등각류는 Nerocila japonica와 가장 근연한 종으로 확인되었으나, 향후 형태학적 분류 등 명확한 종 동정이 추가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약물의 직접 노출에 의한 구충 효과를 확인한 결과 trichlorfon이 가장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국산 Rogadius속(양태과) 어류 1 미기록종 Rogadius asper (A New Record of the Thorny Flathead Fish, Rogadius asper (Platycephalidae) from Korea)

  • 이충렬;주동수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6
    • /
    • 1994
  • 1993년 2월 부산에서 양태과 어류 중 체장이 120.2~168.6mm 되는 12개체를 수집하여 분류한 결과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는 서식이 확인되지 않은 미기록종인 Rogadius asper로 동정되었다. 본 종의 외부 형태는 Rogadius aspere와 흡사하나 전새개골 가시가 앞쪽으로 크게 나 있고 후두부 융기선에는 거치상의 작은 돌기가 4개씩 나 있으며 그외 제1등지느러미와 꼬리지느러미의 무늬 등에서도 R. asper의 특징이 잘 나타나고 있다. 아울러 본 종을 한국명으로는 "바늘양태속", "바늘양태"라고 명명하였다.

  • PDF

베트남 Platycephalus cultellatus Richardson, 1846 (Teleostei; Scorpaeniformes)의 전장 미토콘드리아 유전체와 분자계통 (The Complete Mitochondrial Genome and Molecular Phylogeny of the Flathead Platycephalus cultellatus Richardson, 1846 from Vietnam (Teleostei; Scorpaeniformes))

  • ;;최윤희;김근용;허정수;김근식;유정화;김경미;윤문근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17-225
    • /
    • 2021
  • 양태과는 경제적으로 중요한 저서성 바닷물고기로써 인도태평양과 지중해의 열대 또는 온대지역의 하구역에 서식한다. 이번 연구에서 우리는 차세대염기서열분석법을 이용하여 flathead의 일종인 Platycephalus cultellatus Richardson, 1846의 전장 미토콘드리아 유전체를 최초로 분석하였다. 그 총 길이는 16,641 bp이었고, 단백질암호화 유전자 13개, 리보솜 RNA 유전자 2개, 전량 RNA 유전자 22개로 구성되었다. 그 유전자의 구성과 배열은 전형적인 척추동물과 같았다. 단백질암호화 유전자 13개를 바탕으로 작성된 분자계통수에서 P. cultellatus는 같은 과에 속하는 종들과 단계통군을 형성하였고, P. indicus를 비롯하여 Platycephalus sp.로 등록된 표본들과 함께 분기하였다. 또한 DNA 바코딩 분자마커로 널리 사용되는 cox1 유전자를 바탕으로 작성된 분자계통수에서 우리의 표본은 같은 종에 속하는 표본들과 단계통군을 형성하여 그 분류학적 위치가 명확하게 밝혀졌다. 이번 연구에서 새롭게 분석된 P. cultellatus의 미토콘드리아 유전체는 이후 flatheads의 분류와 분자계통을 위한 중요한 기초정보로 활용될 것이다.

동해 강원연안 홍가자미(Hippoglossoides dubius)의 성숙과 산란 (Maturation and Spawning of the Flathead Flounder Hippoglossoides dubius off the coast of Gangwon Province, East Sea of Korea)

  • 최영민;윤병선;박정호;박기영;손명호;이재봉;김재원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835-842
    • /
    • 2013
  • Flathead flounder Hippoglossoides dubius is a commercially important fish in the coastal waters of Gangwon Province, which is its spawning ground and breeding habitat. A total of 1,669 gonads were sampled monthly from February 2011 to May 2013 to investigate ec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variations in maturation and spawning by gonad index, visual maturity stage, histological observations and oocyte diameter. Males were numerically dominant over females in the fishing grounds year round. The spawning season was from January to April, and the peak was from February to March. Oocyte number as a measure of fecundity was between 27,372 and 915,209 eggs with a length range of 26.0-48.7 cm TL, while the largest oocyte grew to 0.9-1.4mm in egg diameter during its spawning season. The relationship between fecundity and total length was $F=0.0016TL^{5.2539}$. The smallest mature lengths of the females and males were 28.4 and 22.6 cm respectively, and the 50% mature lengths of females and males were 32.9, 26.9 cm respectively.

Otolith microchemistry reveals the migration patterns of the flathead grey mullet Mugil cephalus (Pisces: Mugilidae) in Korean waters

  • Bae, Seung Eun;Kim, Jin-Koo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4권3호
    • /
    • pp.185-195
    • /
    • 2020
  • Background: The flathead grey mullet Mugil cephalus has the widest distribution among mugilid species. Recent studies based on mitochondrial DNA sequences showed that the species comprises at least 14 different groups, three of which occur in the northwest Pacific. We analyzed the otolith microchemistry of M. cephalus at several locations in Korea to improve understanding of migration pattern and population origin. Results: We collected 123 sagittal otoliths from seven locations and determined their concentrations of eight elements (7Li, 24Mg, 55Mn, 57Fe, 60Ni, 63Cu, 88Sr, and 138Ba) using laser ablation inductively coupled plasma mass spectrometry. Mean otolith elemental ratios differed significantly among the locations. The Sr:Ca, Fe:Ca, and Ba:Ca ratio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others, and useful chemical signatures for investigating the habitat use of M. cephalus populations. We identified five diverse and complicated migration patterns using the otolith data that we collected: estuarine resident (type I), freshwater migrant (type II), estuarine migrant (type III), seawater resident (type IV), and seawater migrant (type V). A canonical discriminant analysis plot revealed separation of two groups (type II in the Yellow Sea vs. other types in remaining locations). Two locations on Jeju Island, despite their close proximity, had fish with quite different migration patterns, corroborating previous molecular studies that distinguished two groups of fishes. Conclusion: We successfully showed that the migration patterns of the Korean mullet varied by location. Only fish from the western sector of Jeju had a unique migration pattern, which is likely confined population in this area. Among the eight otolith elements measured, the Sr:Ca ratio was found to be the best indicator of migration pattern and population origin.

한국산(韓國産) Inegocia속(屬)(양태과(科)) 어류(魚類) 1 미기록종(未記錄種) Inegocia guttata (A New Record of the Flathead Fish, Inegocia guttata (Platycephalidae) from Korea)

  • 이충렬;주동수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14-119
    • /
    • 1995
  • 1994년(年) 7월(月) 6일(日) 제주도(濟州道) 한림(翰林)에서 채집(採集)된 양태과(科)의 점양태속(屬) 어류(魚類) 1개체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는 보고(報告)된 적이 없는 Inegocia guttata (Cuvier)로 동정(同定)되었다. 본 종(種)은 형태적(形態的)으로 Cymbacephalus beauforti와 흡사(恰似)하나 측선(側線) 유공린수(有孔鱗數)는 측선린(側線鱗) 위쪽에 비스듬이 배열(配列)되어 있는 후하방(後下方) 종열린수(縱列鱗數)보다 매우 적으며 두부(頭部)에는 비극(鼻棘)이 있고 눈 위에 피판(皮瓣)이 없으며 간새개부의 피판(皮瓣)은 단일형(單一形)이고 가슴지느러미와 배지느러미에는 도형(圖形)의 검은 반점(斑點)이 존재(存在)하는 것 등의 특징(特徵)이 Cymbacephalus beauforti와 잘 구별(區別)되었다. 본(本) 종(種)의 한국명(韓國名)으로는 "악어양태" 라고 잠정적으로 명명(命名)하였다.

  • PDF

수산식품 중 노인성 퇴행성 질환과 관련된 알루미늄 함량 및 그에 따른 수산식품의 이용방안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Aluminum Content in Fishes Caught from Several Areas of the West Coast in Korea)

  • 김애정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512-518
    • /
    • 1997
  • 알루미늄 등 중금속 오염이 점점 심화되고 있는 서해안 일부지역에서 포획되고 있는 46종의 어패류 중 알루미늄 함량의 평균은 88.38$\pm$189.03ppm으로 그 범위는 0.97-827.70ppm이었는데 24종의 생선 중 알루미늄 함량은 그 범위가 0.97ppm에서 45.12ppm으로 건실치에 가장 많았고 도미에 가장 적게 함유되어 있었다. 15종의 연체류가 함유하고 있는 알루미늄 함량은 3.40ppm에서 827.70ppm으로 그 차이가 매우 컸는데 복족류인 소라에 3.40ppm으로 가장 적게 함유되어 있었고 이매패류인 대합에 826ppm, 해락에 812.55ppm으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7종의 젓갈의 알루미늄 함량은 2.50-295.15ppm으로 그 차이가 컸는데 황새기젓과 한치젓에는 그 함유량이 낮았지만 조개젓과 곤쟁이젓에는 많은 양의 알루미늄이 함유되어 있었다 생선과 연체류 및 젓갈중에 함유되어 있는 알루미늄 함량간의 유의차를 검증한 결과 연체류의 알루미늄 함량이 생선과 젓갈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1), 이는 일생동안 주거지를 크게 움직이지 않는 생육조건을 갖는 이매패류의 특성때문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