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acherie virus (FV)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7초

가잠의 바이러스성 연화증에 관한 연구 II. 장려잠품종의 원종에 대한 저항성 검정 (Studies on the Flacherie and Densonucleosis Virus in the Silkworm, Bombyx Mori L. II. Resistance to Flacherie and Densonucleosis Virus in the Parantal Lines of the Leading Silkworm Varieties in Korea.)

  • 김권영;강석권;이재창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48-51
    • /
    • 1986
  • 우리나라의 10개 장려 잠품종(1978년 당시)의 양원종의 품종별 FV 및 DNV(이나주)에 대한 저항성을 비교검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FV에 대한 저항성은 일본종에서는 한생 1호가 가장 높았고 무등이 가장 낮았으며 중국종에서는 잠108이 가장 높았고 잠 116이 가장 낮았다. 2. DNV에 대한 저항성은 일본종에서는 잠 117, 경추, 무등, 한생 1호 및 한생 3호가 완전 저항성을 나타냈으며 잠 115가 가장 낮은 저항성을 나타냈고 중국종에서는 공식된 모든 품종이 완전 저항성을 나타냈다.

  • PDF

누에 무름병 및 농핵병 바이러스의 주요 뽕나무 해충에 대한 교차감염 (Cross-Infection of Flacherie and Densonucleosis Virus of the Silkworm, Bombyx mori, to Mulberry Pests.)

  • 강석우;김근영;강석권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6-31
    • /
    • 1992
  • 수종의 주요 뽕나무 해충-멧누에, 뽕나무 명나방, 환불나방-에 누에 무름병 바이러스(Flacherie virus; FV)와 농핵병 바이러스(Densonucleosis virus: DNV)를 접종하여 감염여부를 2중 면역확산법과 조직관찰로 조사하므로서 이들 누에병의 뽕나무 해충에 의한 전염경로 차단 및 방제법 확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시험을 수행하였다. 1. 멧누에는 누에 FV 및 DNV-1 각각의 항혈청과 반응하여 침강대를 형성하였고, 뽕나무 명나방은 DNV-1 항혈청과 반응하여 비들의 교차감염을 인정할 수 있었으나, 흰불나방은 FV 및 DNV-1 항혈청과 반응을 일으키지 않아 교차감염을 인정할 수 없었다. 2. FV 접종 멧누에는 중장 배상세포 세포질에 바이러스 특이 공포 형성 및 27nm 크기의 바이러스 입자가 관찰되었다. 3. DNV-1 접종 멧누에는 중장 원통세포 핵이 비대하였으며 군집형과 연쇄상의 2종류의 바이러스 증식 형태가 관찰되었다. 4. DNV-1 접종 뽕나무 명나방은 중장 원통세포의 일부 핵에서 비대 현상이 관찰되었고, feulgen 염색결과 적자색으로 염색되었으며, 비대한 원통세포핵내에 소수의 바이러스들이 여러 곳에서 증식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 PDF

가잠의 바이러스성 연화병에 관한 연구 I. 장려품종에 대한 저항성 검정 (Studies on the Flacherie Virus in the Silkworm, Bombyx mori L. I. Resistance to Flacherie and Ina-flacnerie Virus in the Leading Silkworm Varieties in Korea)

  • 김권영;강석권;이재창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32-35
    • /
    • 1978
  • 현장려잠품종에 대하여 FV 및 이나주바이러스의 2령기잠 경구접종에 의한 품종간저항성을 비교검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FV 에 대한 품종별 저항성은 한생 1 호 $\times$ 한생 2 호가 가장 강하였고 무등$\times$선호가 가장 약했다. 2. 이나주 바이러스에 대한 저항성은 잠 117$\times$잠118, 경추$\times$소일, 무등$\times$선호, 한생 1호$\times$한생 2호 및 한생 3호$\times$4호 등 5개 품종은 완전저항성을 나타냈으며 잠 115$\times$잠116이 가장 약했다.

  • PDF

효소항체법에 의한 누에 바이러스성 무름병의 진단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ELISA) for the Rapid Detection of the Flacherie Virus Disease)

  • 강석우;김권영;강석권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35-40
    • /
    • 1992
  • 효소항체법에 의한 바이러스성 무름병의 조기진단 가능성을 구명하고자 무름병 바이러스 검출을 위한 효소항체법의 최적조건을 구명하고 이와 같은 조건으로 바이러스 검출감도 및 검출시기를 조사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효소항체법에 사용되는 항혈청의 농도는 15$\mu\textrm{g}$/$m\ell$이 적당하였으며, 효소결합 항체는 100배 희석액이 적당하였다. 2. 효소항체법에 의한 무름병 바이러스의 최소검출농도는 15ng/$m\ell$d;았거. 2증 aisdirgjlrtlsqkqd,; 32.5$\mu\textrm{g}$/$m\ell$보다 약 2,100배 정도 검출감도가 높았다. 3. 무름병 바이러스 접종 후 바이러스 검출시기는 효소항체법의 경우 24시간째로 2중면역확산법의 48시간보다 조기에 검출 가능하였다. 4.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바이러스성 무름병의 조기진단법으로 바이러스 검출감도가 높고 동시에 다량의 시료를 검정할 수 있는 효소항체법이 가능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 PDF

가잠의 바이러스성 연화병에 대한 저항성 유전양식 (Inheritance of Resistance to Flacherie Virus in the Silkworm, Bombyx mori L.)

  • 김근영;이호주;강석권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28-31
    • /
    • 1982
  • 가잠의 바이러스성 연화병에 대한 저항성의 유전양식을 구명하기 위한 시험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유전력 검정 1) FV저항성의 주동인자는 불완전 우성에 의한 상가적효과를 보였다. 2) 미동인자의 효과는 특히 저항성이 강한 계통과 약한 계통과의 교배조에서 나타났다. 3) 유전력은 0.93으로서 거의 유전적 요인에 의한것이며 환경변이는 적다고 생각된다. 2. 원종간의 조합능력 검정 1) 일반조합능력효과는 고도의 유의차가 있었으며, 잠 108이 13.1로 가장 높았고 경추가 -17.7로 가장 낮았다. 2) 특수조합능력효과도 고도의 유의차가 있었으며, 금호$\times$무등에서 13.7로 가장 높았고 잠115$\times$경추에서 -14.8로 가장 낮았다.

  • PDF

누에 전염성 연화병의 발병 억제제에 의한 방제 (Inhibitory Effect of Guanidine Hydrochloride on the Infectious Flacherie Virus of the Silkworm, Bombyx mori)

  • 강석권;김근영;이재창;조용섭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37-43
    • /
    • 1984
  • 누에병 중에 피해가 막대한 전염성 연화병을 방제하기 위하여 바이러스 증식을 특이적으로 억제하는 guanidine 유도체중에서 그 억제효과가 큰 guanidine hydrochloride(GH)를 도입하여 전염성 연화병 바이러스의 증식억제효과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1. 누에에 대한 GH의 약해시험 결과에서는 GH농도 0.01% 수준 이하에서는 약해가 전혀 없었다. 2. FV 감염잠 혼입에 따른 피해조사에서는 화용비율은 무처리(대조) 89.2% (100)에 대하여 1% 감염잠혼입구 70.7%(79), 5% 감염잠 혼입구 38.4%(43)이었으며 1만두수견양은 대조구 21.3kg(100)에 대하여 1% 혼입구 16.7kg(77), 5% 혼입구 8.8kg(41)으로서 전자와 같은 경향으로 나타났다. 3. FV에 대한 GH의 발병억제효과는 GH 0.01% 농도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약 10배의 억제효과가 있었다. 4. GH의 투여회수와 발병억제효과에서는 FV접종후 계속 투여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5. FV 접종후 GH투여시간에 대한 발병억제 효과는 접종과 동시에 투여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6. FV의 GH에 의한 시험관내 불활화조사에서는 GH가 시험관내에서 FV를 불활화시키는 작용이 인정되지 않았다.

  • PDF

가잠의 전염성 연화병 및 농핵병 바이러스 증식에 관한 연구 (Multiplication of Infectious Flacherie and Densonucleosis Viruses in the Silkworm, Bombyx mori)

  • 김근영;강석권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31
    • /
    • 1984
  • 가잠에 있어서 피해가 많은 전염성 연화병(Flacherie Virus; FV)과 농핵병 바이러스(Densonucleosis virus; DNV)의 증식에 관한 연구를 행하기 위하여 서당밀도 구배 초원심분리법에 의한 양바이러스의 정제 및 전자현미경에 의한 관찰, 바이러스 감염잠의 중장과 체액에서의 핵산과 단백질의 변동 및 감염중장 피막세포의 전자현미경에 의한 병리조직학적 관찰 등, 일연의 조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1. 서당밀도구배에 의한 초원심분리법을 이용하여 FV 및 DNV를 분획한 결과, base line이 낮고 좌우상칭의 단일 peak를 나타내는 전형적인 바이러스 분획을 얻었으며, 또한 이들 바이러스의 negative 염색에 의한 전자현미경 관찰에서 FV는 27nm, DNV는 21nm의 균일한 구형입자임이 확인되었다. 2. 두 바이러스 감염잠의 체중은 바이러스 접종 6일 후부터, 중장중은 바이러스 접종 3일 후부터 건전잠에 비해 뚜렷한 감소를 나타냈다. 3. DNA의 양적 변화는 FV 및 DNV 감염잠에서 공히 중장에서는 전기간을 통해 건전잠에서 보다 높았고, 체액에서는 바이러스 접종 초ㆍ중기에는 큰 변화가 없고 바이러스 접종 7일 이후에는 건전잠에서 보다 훨씬 낮았다. 4. RNA의 양적 변화는 FV 및 DNV 감염잠에서 다같이 바이러스 접종 초기에 중장에서는 건전잠에 비해 높았고, 체액에서는 건전잠에 비해 매우 낮았으나, 바이러스 접종 말기에는 중장 및 체액의 경우 공히 건전잠에서 보다 현저히 낮았으며 그 정도는 DNV 감염잠에서 더 심했다. 5. FV 및 DNV 감염잠에서 중장과 체액의 단백질은 바이러스 접종 중기까지는 건전잠에 비해 큰 변화가 없었으나, 접종 말기에서는 건전잠에서 보다 월등히 낮았다. 6. 바이러스 접종 8일 후의 FV 및 DNV 감염잠 중장 RNA 전기영동상은 건전잠의 중장 RNA인 26S, 17S, 5S 및 4S의 4종 band와 동일했다. 7. FV 및 DNV 감염잠의 중장 단백질 전기영동상은 바이러스 접종 1일과 5일 후에는 건전잠의 것과 큰 차이가 없고, 접종 8일 후에는 건전잠에 존재하는 이동도가 낮은 L band가 양 바이러스 감염잠에서는 공히 소실되는 반면, 건전잠에서 볼 수 없는 이동도가 중간인 M band가 새로이 나타났으며 비교적 이동도가 높은 건전잠의 N band는 양 바이러스 감염잠에서는 2개로 분리되었다. 8. 체액단백질의 전기영동상은 FV 및 DNV감염잠 공히 건전잠의 것과 유사하나, 바이러스 접종 8일 후에는 양적인 감소를 나타내어 건전잠의 약 40%에 지나지 않았다. 9. FV 감염중장조직을 pyronin-methyl green 2종 염색을 하여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바이러스 접종 8일 후의 중장원동세포내에서 A형 및 B형 봉입체가 형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10. FV감염 중장조직세포의 전자현미경 관찰에서는 바이러스 접종 5일 후에 배상세포의 'cytoplasmic wall'이 비대해지고 그 내부에 virus-specific vesicle이 형성되었으며, 바이러스 접종 8일 후에는 virus-specific vesicle, 바이러스 입자, linear structure, tubular structure 및 전자밀도가 높은 matrix 등의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특이적인 구조물이 배상세포의 세포질에서 관찰되었으며, microvilli내에서 바이러스 입자의 존재도 확정되었다. 특히 virus-specific vesicle 주위에서는 전자밀도가 높은 구형의 바이러스 입자 유사체가 관찰되었는데, 이것은 virus-specific vesicle 주위에서 바이러스 조립이 일어나는 것을 추정된다. 한편 원통세포 내에서 봉입체 관찰되고, 변형소구화된 배상세포가 중장강으로 탈락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11. DNV감염 중장조직을 acridine orange 염색을 하여 형광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DNV접종 5일 후에 본 바이러스 증식 장소인 원동세포핵의 비대가 뚜렷이 관찰되었다. 12. 전자현미경에 의해 DNV감염 중장조직세포를 관찰한 결과, 바이러스 접종 5일 후에 원동세포 핵내의 인이 소형 과립으로 붕괴되어 산재되었고, 접종 8일후에는 전자밀도가 높은 virogenic stroma가 출현하였으며, 감염 말기로 추정되는 핵내의 전자밀도가 전자보다 낮고 더욱 확대되어 핵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virogenic stroma도 관찰되었다. 또한 이들 virogenic stroma내에서 바이러스 입자유사체가 관찰되는 것으로 보아 이 virogenic stroma는 바이러스 전구물질의 합성 및 바이러스 조립장소임을 시사하고 있다.

  • PDF

한국산 연화병 바이러스의 분리 및 성상 (Characterization of Flacherie Virus of the Silkworm, Bombyx mori, isolated in Korea)

  • 김근영;강숙우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3-20
    • /
    • 1991
  • 국내 양잠농가에 분포되어 있는 FV를 분리하여 그 성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경기 3, 경북 4개 농가에서 연화병 증상을 나타내는 병잠을 모집, 바이러스를 분리하여 그 형태 및 크기, 핵산 및 단백질 성상과 항원성을 일본산 FV와 비교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경기 2, 경북 2개 농가의 연화병 증상을 나타내는 병잠으로부터 바이러스를 분리하였다. 2. 향남산 바이러스는 직경이 27$\pm$1.7nm의 구형입자였으며, 유천산 바이러스는 27$\pm$1.7nm 및 21$\pm$0.8nm의 구형 입자가 혼재되어 있었다. 3. 향산성 바이러스의 핵산은 RNA로 일본산 FV와 동일한 전기영동상을 보였다. 4. 구성단백질은 4개의 polypeptide로 되어 있으며 그 분자량은 각각 35,000, 33,000, 31,000, 11,400 dalton으로 일본산 FV와 동일하였다. 5. 향남산 바이러스는 일본산 FV와 같은 항원성을 가진 바이러스이며, 유천산 바이러스는 일본산 FV 및 DNV-1과 같은 항원성을 가진 2종류의 바이러스였다. 6. 이상의 결과로부터 향남 및 유천에서 분리한 직경 27$\pm$1.7nm의 구형 바이러스는 일본산 FV와 동일한 FV로 판명되었고, 유천에서 분리한 직경 21$\pm$0.8nm의 구형 바이러스는 DNV-1으로 추정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