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xatives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25초

사구체신염의 병리 - 표본제작 및 기본병변 - (Pathology of Glomerulonephritis - Specimen Preparation and Basic Pathologic Changes -)

  • 김용진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5권1호
    • /
    • pp.29-37
    • /
    • 2011
  • 신장질환은 같은 병명의 환자 일지라도 개개인의 증상과 치료에 대한 반응 정도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신장병을 전공하는 임상의사는 신장병리에 대한 폭 넓은 지식이 치료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생검 현장에서의 조직을 나누는 방법부터 기본적인 조직처리 과정까지를 설명함으로써 병리의 이해를 넓히고자 하였다. 광학현미경 판독을 위해서는 기본적인 특수 염색의 색깔 감별, 정상 사구체와 비정상 사구체의 감별점 등을 설명하였다. 면역형광 현미경 소견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형적인 막성사구체신병증과 IgA 신증의 침착 형태를 대표적으로 설명하였다. 전자현미경 판독을 위해서 면역 복합체인 고전자 밀도의 침착이 잘 생기는 부위를 질환별로 설명하여 참고가 되도록 하였고 전자현미경으로만 감별 가능한 질환들을 설명하였다. 이 논문은 신장질환의 병리학적 이해를 돕기 위한 소개에 불과하므로, 개별 질환의 판독을 위해서는 다른 신장병리 교과서나 문헌을 참고하여야 한다.

제초제 Paraquat와 Bentazon의 세포독성과 3-Methylcholanthrene의 독성경감효과 (The Cytotoxic Effects of Paraquat and Bentazon Compensatory Effects of 3-Methylcholanthrene on Kindney of the Rat)

  • 임요섭;서대호;한두석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17권2호
    • /
    • pp.123-129
    • /
    • 2001
  • This study we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cytotoxicity of paraquat and bentazon that is scattering to farm products were essensial for human diet and compensatory effects of 3-methylcholanthrene (3-MC) in vitro and in vivo. In vitro, The 5.0$\times$$10^4$ cell/ml of NIH 3T3 fibroblast in each well of 24 multidish were cultured. After 24 hours, the cells were treated with solution of paraquat and bentazon (1, 25, 50, 100 pM respectively). After the NIH 3T3 fibroblast of all groups were cultured in same condition for 48 hours, Sulfohordamin B Protein (SRB) assay were performed to evaluate the cytotoxicity of cell organelles. Paraquat and bentazon $SRB_50$ were 1860.73 $\mu\textrm{M}$, 1913.38 $\mu$M respectively. In vivo, Sprague Dawley male rats divided into paraquat and bentazon only administered group and simultaneous application group of paraquat and bentazon and 3-MC. At 30 min. and 1, 3, 6, 12, 24, 48 and 96 hrs. interval after each treatment, the animals were sacrificed by decapitation and kidney were immediately removed, immersed in fixatives, and processed with routine method for light microscopic study. Paraffin sections were stained with H-E, PAM, and PAS. Under the light microscope, atrophic change of renal corpuscles were frequently observed from 3 hrs after paraquat and bentazon treatment. The increase of the mesangium was apparent from 12 hrs later after paraquat and bentazon treatment. Necrotic changes of the epithelium and loss of brush border of proximal tubules were most severe at 48 hrs after paraquat and bentazon treatment, respectively. In contrast there were no evidences of the toxic effects on renal tissues at 48hrs in paraquat and bentazon plus 3-MC treated groups.

  • PDF

머리에 방사선 상해를 받은 흰쥐 흑색질의 미세구조 (Ultrastructural Study on the Substantia Nigra of the Head-Irradiated Rats)

  • 배학근;양남길;안의태;고정식;박경호;김진국
    • Applied Microscopy
    • /
    • 제22권2호
    • /
    • pp.30-45
    • /
    • 1992
  •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acute irradiation effects on the substantia nigra of head-irradiated rats were carried out. Rats anesthetized with sodium thiopental, were exposed only on their head areas with a single dose of 3,000 rads or 6,000 rads, respectively. Radiation was produced by Mitsubishi linear accelerator at the speed of 200 rads/min. Aminals were sacrificed on 6 hours, 2 days and 6 days following irradiations. By the perfusion fixation through the heart, rats were fixed with 1% glutaraldehyde-1% paraformaldehyde solution. Two hours later, brains were exposed and immersed in the same fixatives over night. Tissue blocks from subtantia nigra were punched out, and they were refixed in the 2% osmium tetroxide solution. Blocks were dehydrated through alcohol series, and embedded in the araldite mixture. Ultrathin sections were stained with uranyl acetate and lead citrate solutions, From the ultrastructural study, following results were made: 1. Six hours after irradiation, severe depletion of synaptic vesicles was occurred in the many axon terminals of the nigral neuropil. 2. Dramatical decrease of lysosomes and dense granules was observed. 3. Two days following irradiation, alterations of ribosomes, granular endoplasmic reticula, mitochondria, etc, were noticed. 4. Many of the malformations were seen to be repaired on the 6th day. 5. Above results were interpreted as follows. At the acute stage of heavy irradiation, neurotransmitters in the substantia nigra are released severely. But they are recovered within 6 days. It is concluded that acute head-irradiation may result severe disturbance of nigral motor control function during the first few days.

  • PDF

하지의 만성 골수염에 시행된 근 유리 판 이식술 (Muscle Free Flap Transplantation in Chronic Osteomyelitis of the Lower Extremities)

  • 이준모;송광훈;박종혁
    • Archives of Reconstructive Microsurgery
    • /
    • 제18권2호
    • /
    • pp.49-54
    • /
    • 2009
  • Purpose: To evaluate the result of muscle free flap transplantation in chronic osteomyelitis of the tibia and calcaneus occurred from open fractures and exposed bones and internal fixatives. Materials and Methods: The free muscle flap were transferred in the tibia and calcaneus and followed up average 7.3 years at the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from March 1997 to September 2009. Six patients were male and 1 case female averaged 50.3 years of age. Two latissimus dorsi myocutaneous free flaps were transplanted to the exposed 2/3 of the tibia with soft tissue defect, one rectus abdominis muscle free flap to the mid 1/3 of the tibia and four gracilis muscle free flaps to the distal 1/3 of the tibia and calcaneus. Results: At average 7.2 years follow-up, all of the 7 cases obtained solid bone union in the X-ray and kept sound soft tissues without pus discharges. The overall result of bone union, healed soft tissues defect and normal knee and ankle joint range of motion were excellent. Conclusion: The free muscle flap transferred to the chronic osteomyelitis of the tibia and calcaneus showed excellent results in bone union and eradication of the pus forming bacteria by its abundant blood flow.

  • PDF

토벽화 보존에 따른 고착제에 관한 연구 (The Consolidation Medium for the Conservation of Mud Wall Painting)

  • 한경순
    • 보존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38-51
    • /
    • 2002
  • 벽화 보존처리에서 우선 시 되는 부분은 채색층에 대한 보존처리이다. 채색층이란 그림이 그려진 표면층을 말하며 안료층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채색 층의 보존을 위하여 인위적으로 고착제(固着劑, Fixative)를 사용한다. 고착제란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접착제를 말하며 그 사용범위는 방대하다. 그 중에서 일부를 보완하여 벽화문화재 현장에서 적용하므로 그 목적성과 사용범위에 의해 고착제라 지칭하는 것이다. 이번 조사를 통하여 그간 유럽에서 사용된 벽화의 이상적인 고착제을 위한 연구성과에서 사용범위, 선택기준, 연구결과 등을 요약 기술하고 우리의 전통적인 접착제를 정리하였다. 현재 합성 수지를 이용한 고착제의 문제점이 과거 처리된 벽화 문화재에서 발생되고 이를 위한 대안을 찾기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이다. 특히 동양 벽화의 경우, 전통적인 방법을 통한 해결책을 제시하고 연구 중이다. 우리의 전통 접착제 중, 도박과 같은 해초풀의 활용을 통한 보존처리 현장의 적용이 가능할 것이며, 이를 위한 구체적인 실험과 연구가 절실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Study on the Gel Cleaning System for Removal of Poly (vinyl acetate) Fixative of the Mural Paintings of the Payathonzu Temple in Bagan, Myanmar (I) - Focusing on Properties and Removability of Gel Cleaners -

  • Yu, Yeong Gyeong;Han, Gyu-Seong;Lee, Hwa Soo;Han, Kyeong Soon
    • 보존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370-379
    • /
    • 2021
  • In the past, PVAc [poly(vinyl acetate)] was used as a fixative for the conservation of the murals in the murals of the Payathonzu temple located in Bagan, Myanmar. In this study, attention was paid to gel cleaning as a method for stably removing such PVAc fixatives. Based on the recent research trend related to the cleaning of murals in Bagan ruins, 3 types of gelling agents (Nevek®, Laponite®RD, Carbopol®980) and 2 types of organic solvents (Acetone, Dimethyl carbonate) were selected. Six types of gel cleaners were prepared by mixing gelling agents and organic solvents, and the properties and fixative removability of these cleaners were compared.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properties of the prepared gel cleaners, the pH of the cleaners was all in the weak acidic to weakly alkaline range, which was a stable condition for mural application. Also,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viscosity of the cleaners depending on the type of solvent, but there was a difference depending on the type of gelling agent used. Regarding the weight loss ratio of PVAc, which is an indicator of removability, the exposure conditions of the gel cleaners, the boiling point of the solvent used, and the viscosity of the gelling agent acted as factors affecting.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removability of gel cleaners, it was confirmed that the solvent's fixative solubility, the volatility of the solvent itself, and the solvent release control properties of the gelling agent had a great effect on the removability of the gel cleaners. In Part 2, the stability and the running applicability of the gel cleaners will be investigated by making mockup samples reflecting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s and techniques used to produce the mural paintings in the Payathonzu Temple.

한국 판벽화 채색층 보존처리 고착제의 내후성 연구 (A Study on the Weathering Resistance of Fixatives Used on Conservation of Painting Layer of Korea Wooden Painting)

  • 이슬;한경순
    • 보존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397-405
    • /
    • 2018
  • 현재 한국 판벽화에 대한 연구는 극히 드물며 정확한 정의, 손상원인 등의 연구 또한 명확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판벽화 및 단청의 채색층 박리부위 고착을 위한 고착처리제의 내후성을 비교하였다. 시료는 육송 위 총 5종의 호분, 자황, 석간주, 뇌록, 삼청안료를 채색하고 아교, 우뭇가사리, Methyl cellulose, PVAc계열 고착제(Caparol binder) 총 4종의 고착제를 각각 농도 0.5%, 1.5%로 도포하여 비교하였다. 고착 보존처리 후 문화재에 발생할 수 있는 환경변화 요소인 온 습도, 자외선을 인위적으로 조사(照射)하였다. 조사 후 환경에 따른 물성 변화는 색차변화, 박리손상도 평가, 표면관찰을 통해 다각적으로 관찰하였다. 실험결과, 아교는 타 고착제들에 비해 모든 채색층이 안정적으로 고착되었으나 실외에 노출되어 있는 삼청에 사용할 시 황변이 우려되었다. 우뭇가사리는 아교와 마찬가지로 삼청은 자외선에 의한 영향을 받으나 이외에 급격한 온 습도 변화에는 타 고착제에 비해 고착력이 가장 우수했다. Methyl cellulose는 일정 이상 농도에서 광택에 유의하여야 하며 급격한 온 습도 변화에 비교적 강했으며 PVAc계열 고착제(Caparol binder)는 타 고착제들에 비해 고착성이 현저히 떨어졌다.

한국 흙벽화 채색층 고착제의 보존환경에 따른 안정성 연구 (A Study on Stability according to the Conservation Environment for Fixative of Korean Mural Painting Layers)

  • 진병혁;위광철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6권3호
    • /
    • pp.150-171
    • /
    • 2013
  • 흙벽화 보존처리에 있어 가장 중요한 부분은 채색층에 균열이 발생되어 결속력을 잃었을 때, 또는 안료의 분말화가 일어났을 때, 고착제를 주입하여 손실위험에 처해진 벽화를 보존하는 것이다. 그러나 흙벽화 채색층에 사용되는 고착제의 안정성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흙벽체 시료를 제작하여 총 4종의 합분, 주사, 석록, 황토안료를 채색하고 Paraloid $B-72^{(R)}$, Caparol-$binder^{(R)}$, 우피아교(牛皮阿膠), Hydoxypropyl $cellulose^{(R)}$ 총 4종의 고착제를 도포하여 보존처리 후 발생할 수 있는 환경변화 요인인 온도, 습도, 자외선을 인공적으로 부여하였다. 안료별로 도포된 고착제의 보존환경에 따른 물성변화는 색안정성, 접촉각, 광택도, 접착력, 표면관찰을 통해 다각적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 자외선 및 고온다습한 환경은 합분을 제외한 고착제가 도포된 모든 채색층에서 명도와 채도의 변화가 일어나는 등 색안정성에 많은 영향을 미치며, 고착제의 노화가속에 영향을 주어 결국 분해시키는 요인으로 파악되었다. 그중 전통재료인 아교는 함께 실험한 합성수지들과 비교하여 볼 때, 채색층 표면에 대한 색안정성과 영향력(보존성) 유지, 친수성 면에서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접착력 부분에서는 모든 채색층에서 우수한 특성이 확인되었기에, 흙벽화 채색층 고착처리 시 안정성이 높다고 사료된다.

슬괵건 및 LA나사를 이용한 관절경적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 후 골터널의 확장 (Widening of Bony Tunnel after ACL Reconstruction Using Hamstring Tendon with Ligament Anchor(LA) Screw)

  • 송은규;윤택림;정종욱;정광철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69-73
    • /
    • 2001
  • 목 적 : 대퇴부의 고정을 위해 새로이 고안된 Ligament Anchor(LA) 나사와 슬괵건을 이용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후 임상결과와 골터널의 확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슬괵건 4가닥과 LA 나사를 이용하여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후 최소 2년 이상 추시 가능하였던 58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식건의 고정으로 대퇴골측은 LA나사를, 경골측은 생흡수성 간섭나사를 이용하였다 평균 추시기간은 28개월이었다. 임상적 결과로는 Lachmann 검사와 Lysholm 점수를 이용하였으며 방사선학적 결과로는 골터널의 확대정도와 $Telos^{\circledR}$ 기기(Telos stress device; Austin & Associates, Inc., Polston, US)를 이용한 전방 전위 방사선 사진을 촬영하여 건측과의 전방이완도 차이를 평가하였다. 결과 : Lysholm 점수는 술 전 평균 60에서 술 후 평균 94.0점으로 호전되었으며, 술 전 Lachmann 검사상 16예에서 경도의 양성, 24예에서 중등도, 18예에서 고도의 양성 소견을 보였으며, 술 후 Lachmann 검사상 50예는 음성이었으며, 8예에서만 경도의 양성소견을 보였다. $Telos^{\circledR}$ 기기를 이용한 전방전위 검사상 건측과의 차이는 술전 평균 12.9mm에서 최종 추시상 3.1mm로 호전되었다(p<0.05). 대퇴 터널은 전후방 방사선 사진상 수술직후 10.6mm에서 최종 추시상 12.7mm$(21.1\%)$로 확장되었으며, 측면 방사선 사진상 술 후 10.7mm에서 최종 추시상 12.4mm$(16.5\%)$로 확장되었다(p<0.05). 경골 터널은 전후방 방사선 사진상 술 후 9.8mm에서 최종 추시상 11.8mm$(20.7\%)$로 확장되었으며 측면 방사선 사진상 술 후 9.9mm에서 최종 추시상 11.7mm$(18.9\%)$로 확장되었다(p<0.05). 결론 : LA나사와 슬괵건을 이용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은 골터널의 확장이 적으며 임상 성적도 우수하여 슬관절의 전방 안정성을 회복하는데 좋은 이식물 및 내고정물이라 생각된다.

  • PDF

Paraquat의 세포독성과 흰쥐의 폐에서 3-Methylcholanthrene의 독성경감효과 (Cytotoxicity of paraquat and compensatory effects of 3-methylcholanthrene in rat lung)

  • 임요섭;김덕수;한두석;황인택
    • 농약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96-104
    • /
    • 2002
  • Paraquat의 세포독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NIH 3T3 섬유모세포에 적용한 후 MTT와 NR 분석법을 이용하여 세포독성을 측정하고, paraquat의 세포독성에 대한 3-MC의 독성경감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Spraque Dawley계 수컷 랫드에 paraquat 단독 및 paraquat와 3-MC 병용투여 후 랫드의 폐를 경시적으로 채취하여 관찰하였다. Paraquat의 NIH 3T3 섬유모세포에 대한 $MTT_{50}$$1668.97{\mu}M$, $NR_{50}$$1030.25{\mu}M$로 산출되어 Borefreund와 Puemer(1984)의 독성판정기준에 의하면 저독성 물질이었다. Paraquat 단독 투여 군은 H&E 염색에서 3시간째부터 폐 모세혈관 내에 적혈구 수가 증가하기 시작하여 24시간째에는 충혈상태에 이르렀으며, 폐포사이 중격에서는 큰폐포상피수가 증가하였다. 또한 폐 조직을 둘러싸고 있는 결합조직 내에는 임파구, 대식세포 및 다형핵 백혈구 등이 다수 관찰되었고, 48시간째부터 폐포사이 중격과 폐포내에 폐포큰포식세포가 증가하기 시작하여 96시간째에는 다수의 폐포큰포식세포가 관찰되었다. Verhoeff의 iron hematoxylin 염색에서도 paraquat 단독 투여 후 24시간째에 조직변화가 가장 심하였고, 교원섬유량의 급격한 증가, 폐포의 넓이와 폐포 구멍(alveolar pore) 간격의 확장 등이 관찰되었다. 한편, paraquat와 3-MC 병용투여군은 paraquat 단독 투여 군에 비하여 조직변화가 약하게 관찰되었는데, 병용투여 후 3시간째에는 단독투여 3시간째의 소견과 유사하였으나 점차 회복되어 폐 모세혈관 내에 적혈구 수가 증가하여 24시간째에는 대조군의 구조와 거의 유사하였다. 또한 폐 조직을 둘러싸고 있는 결합조직과 임파소절에서도 paraquat 단독 투여 군에서 보였던 변화가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Verhoeff의 iron hematoxylin 염색에서도 병용투여 후 24시간째에는 교원섬유량이 단독 투여 군에 비하여 크게 감소하였고 폐포와 폐포 구멍의 넓이도 대조군과 유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