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sh viscera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054초

넙치 Moist Pellet용 생사료 대체원으로서 어류가공부산물의 효과 (Availability of Fish Processing By-Procucts Substituted for Frozen Round Fish in Moist Pellet Diets for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강용진;이종윤;이상민;허성범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27-142
    • /
    • 1992
  • 넙치 모이스트펠렛용 생사료 대체원으로서 어류가공부산물의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전갱이 (대조구), 참치자숙부산물, 참치내장, 가자미중골, 먹장어살 및 전갱이($30{\%}$) + 참치내장($20{\%}$)을 분말사료와 1 : 1 비율로 혼합한 모이스트팰렛 6종을 제조한 후, 평균체중 13.4 g의 넘치를 실내 수조에서 51 일(제I기 28 일, 제II기 23 일)간 사육하여 성장, 사료효율, 어체성분 등을 검토하였다. 사육실험 결과, 평균증중량은 전갱이+참치내장구, 먹장어살구 및 가자미중골구가 각각 75.6 g, 74.7 g 및 68.9 g으로 전갱이구의 73.2 g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참치내장구 및 참치자숙 부산물구는 대조구보다 낮았다. 일간성장률도 평균증중량과 같은 경향으로 참치내장구 및 참치 자숙부산물구를 제외한 각 실험구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사료효율은 전갱이+참치내장구, 가자미중골구 및 먹장어살구가 각각 $138.7{\%},\;136.4{\%}$$134.9{\%}$로 전갱이구의 $138.8{\%}$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참치내장구 및 참치자숙부산물구는 대조구보다 낮았다. 단백질과 에너지 효율도 사료효율과 같은 경향으로 참치내장구 및 참치자숙부산물구를 제외한 각 실험구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성장 및 사료효율에 있어서 사육초기인 제I기에는 전갱이구가 부산물구보다 다소 높았으나, 사육기간이 경과한 제II기에는 부산물구가 전갱이구와 비슷하거나 다소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사육실험 후 실험어 전어체의 일반성분은 각 실험구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간의 조지방 함량은 참치자숙부산물구가 $13.9{\%}$로서 타실험구($19.8\~22.8{\%}$)보다 낮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먹장어살, 가자미중골 및 전갱이+참치내장을 넙치 모이스트펠렛용 생사료원으로 대체한 경우, 성장, 사료효율 및 영양성분 이용률이 전갱이와 비슷한 성적을 얻을 수 있었기 때문에, 사료원의 확보와 자원의 효율적인 이용면에서 유용하였다.

  • PDF

어류 단백질분해 조효소의 이용을 위한 몇가지 성질 (Some Properties of the Crude Pretenses from Fish for Application in Seafood Fermentation Industry)

  • 이동수;허민수;김두상;변재형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09-319
    • /
    • 1996
  • 어체 중에 분포하는 단백질분해효소를 어류가공 부산물의 회수 이용 측면에서 검토코자 혈합육어 (멸치와 전어)와 백색육어 (농어와 도다리)의 육과 내장에서 추출한 조효소에 대하여 식염농도의 차이가 활성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진공동결건조와 glycerol의 혼합이 저장 중 단백질분해능에 미치는 영향 등에 관하여 검토하였다. 그리고 멸치의 육과 내장 단백질분해 조효소에 대하여는 효소작용 시간별로 방어근원섬유단백질의 분해 생성물에 대한 Sephacryl S-100 gel chromatography 및 $C_{18}$ reversed phase HPLC chromatography분석도 병행하였다. 육에서 추출한 단백질분해 조효소는 casein과 방어 근원섬유단백질 기질에 대하여 식염농도의 증가와 더불어 효소활성의 저해도 증대하였으며, 효소활성의 저해도는 방어근원섬유단백질에 비하여 casein기질에서, 혈합육어 단백질분해 조효소보다는 백색육어의 단백질분해 조효소에서 더욱 현저하였다. 내장에서 추출한 단백질분해 조효소의 경우, 혈합육어 단백질 분해 조효소는 식염농도의 차이에 의하여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이 적었으나 백색육어의 단백질분해 조효소는 활성의 현저한 저하를 초래하였다. 전어와 농어의 육 및 내장 단백질분해 조효소의 활성에 미치는 동결건조 및 glycerol혼합에 의한 영향을 저장중에 비교한 결과, 기질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었지만, 전어의 육과 내장 단백질분해 조효소에 비하여 농어의 육과 내장 단백질분해 조효소가 훨씬 불안정하였다. 멸치육과 내장 단백질분해 조효소의 방어근원섬유 단백질에 대한 가수분해작용은 반응초기에 신속히 진행되었고, 가수분해물의 생성량은 첨가된 단백질분해 조효소의 비율에 따라 규칙적으로 증가하였다. 그리고, 효소작용에서 생성한 가수분해물을 분석한 결과, 효소작용시간의 경과와 더불어 세분화된 획분의 종류와 양이 점차 증가하였으며, 이 같은 경향은 근육 단백질분해 조효소에 비하여 내장 단백질분해 조효소에서 더욱 현저하였다. 이 결과는 효소분해생성물의 종류와 양이 규칙적으로 분해되어 일정한 분해생성물이 증가하여 가는 것을 암시하였다.

  • PDF

생선 폐기물의 혐기성 소화 처리(II) : Biochemical Methane Potential을 이용한 생분해도 평가 (Anaerobic Digestion of Fish Offal(II) : Evaluation of Biodegradability Using Biochemical Methane Potential)

  • 정병곤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54-159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생선폐기물의 혐기성 소화처리를 위한 생선폐기물의 혐기성 생분해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serum bottle을 이용한 BMP(Biochemical Methane Potential) test를 수행하였다. 어판장에서 배출되는 생선폐기물 중 고등어 손질 시 발생되는 폐기물 중 내장을 제외한 부분과 갈치손질 시 발생되는 폐기물 중 내장을 제외한 부분, 생선손질 시 발생되는 내장류 3개 군을 실험대상 기질로 선정하여 사용하였다. 각각의 생선폐기물들을 분쇄 후 serum bottle에 11 50 ml, 100 ml, 150 ml씩 혐기적으로 넣은 다음 BMP test를 실시하였으며 실험의 정확도를 위하여 동일 시료에 대하여 3개씩 중복으로 조제하여 실험하였다. 배양시간에 따른 누적 메탄가스 생성량과 메탄생성속도를 평가하였다. 이들 값들은 기질의 특성에 따라 다르기는 하나 통상 휘발성 고형물 (Volatiles Solids: VS) 1 kg당 420-470 ml의 메탄가스를 생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질 종류별로 볼 경우 갈치와 고등어군에 비하여 내장 군이 고형물 단위 중량당 메탄발생량과 분해속도 측면에서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 시료에 대해 원소분석을 실시한 결과, C/N비는 5.2로 나타났다. 원소분석 자료를 근거로 계산한 이론적인 최종 메탄생성량은 $522ml{\cdot}CH_4/g{\cdot}VS$로 나타났다. 이를 본 실험에서 구한 실제 최종 메탄생성량과 비교해 볼 때 생분해도는 0.847로 평가되었다.

  • PDF

선상에서 처리한 창란젓갈 원료에 관한 연구 (Quality Analysis of Viscera of Alaska Pollack Treated on Vessel for Raw Materials of Changran-Jeotgal)

  • 이원동;장동석;고병호;이명숙;정은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71-276
    • /
    • 1997
  • 어획한 명태를 선상에서 가공할 때 부산물로 생산되는 선상창란을 대상으로 선도에 따른 제품의 관능검사와 제조과정 중의 수율을 조사함으로서 산업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원료창란의 VBN판정기준을 설정하고 아울러 초기 VBN 값이 각기 다른 원료창란으로부터 젓갈숙성중의 VBN, pH, 그리고 생균수 변화를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선상에서 처리한 원료창란은 창란젓갈 원료가 되는 위와 창자의 비율이 $72\%$로서 시료명태 내장중 위와 창자의 비율인 $18.5\%$보다 약 4배정도 높았다. 2. 동일한 시료명태에서 백색육과 내장의 VBN을 조사한 결과, 내장의 VBN이 백색육보다 최소 2배에서 최대 14.2배였고, 명태육과 내장의 선도 사이에는 일정한 상관 관계가 없었다. 3. 원료창란의 VBN이 $70{\pm}2mg\%$ 이하인 경우 위와 창자만을 정선한 수율은 $52\%$ 이상이었고, 제품의 관능 검사 결과도 양호하였다. 그러나$ VBN\;80{\pm}2mg\%$ 이상인 경우 정선창란의 수율은 $43\%$ 이하였으며 제품의 관능검사 결과도 불량하여 유통상품으로서 가치가 적었다. 4. 원료창란의 $VNB\;35{\pm}2mg\%$$70{\pm}2mg\%$인 시료를 60일 동안 숙성시키면서 VBN, pH 및 생균수 변화를 조사한 결과, VBN은 $50.06{\pm}2mg\%,\;87.71{\pm}2mg\%로서 두시료 모두 숙성초기보다 각각 $15.06mg{\%},\;17.51mg{\%}$ 증가하였으며, pH는 숙성초기에 7.12와 7.44이던 것이 각각 6.22, 6.15로 감소하였고, 생균수는 초기균수 $3.4{\times}10^3\;CFU/g$$3.4{\times}10^4\;CFU/g$에서 각각 $2.8{\times}10^4\;CFU/g$$9.8{\times}10^5\;CFU/g$$1\~1.5-log-unit$가 증가하였다.

  • PDF

말쥐치 내장유의 정제 및 이용에 관한 연구 2. 말쥐치 내장유의 이용 (Studies on the Refining and Utilization of Filefish Viscera Oil 2. Utilization of Filefish Viscera Oil)

  • 강훈이;대도해명;소천천추;김동연;이응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81-186
    • /
    • 1992
  • EPA 및 DHA 함량이 높으면서 폐기되고 있는 말쥐치 내장유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하여 정제한 말쥐치내장유를 정어리 및 명태고기풀에 각각 첨가하여 어묵의 품질개선을 시도하였고 아울러 저장중 품질안정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고도불포화지방산을 다량함유하고 있는 말쥐치내장유의 첨가로 인해 어묵의 지질은 고기풀의 지질에 비하여 5~6% 증가하여 지질산패가 우려되나, 대두단백, 물 및 말쥐치내장유로 유화커어드 (emulsion curd)를 만들어 고기풀에 첨가함으로 인해 산소와의 접촉 기회를 줄이면서 항산화제인 sodium erythorbate를 첨가하고 저온으로 저장하기 때문에 대두유로 만든 어묵과 비교하여 지질산패도는 높지 않았다. 뿐만 아니라 말쥐치 내장유를 첨가한 어묵의 조직감은 첨가하지 않은 어묵에 비하여 개선되었고 또한 저장중에도 안정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고도불포화지방산이 다량 함유되어 영양학 및 생리학적 기능이 우수하면서 튀김유 등으로 소비가 곤란한 정제 말쥐치내장유를 저온저장 식품인 어묵, 어육소시지 등에 일정량 첨가하여 제조한 후 일상식으로 섭취한다면 폐기되는 말쥐 내장의 효율적인 이용과 동시에 국민보건 향상에도 기여하리라 판단된다.

  • PDF

Genetic identification of anisakid nematodes isolated from largehead hairtail (Trichiurus japonicus) in Korea

  • Kim, Jeong-Ho;Nam, Woo-Hwa;Jeon, Chan-Hyeok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9권5호
    • /
    • pp.26.1-26.8
    • /
    • 2016
  • Background: The nematode species belonging to genus Anisakis occur at their third larval stage in numerous marine teleost fish species worldwide and known to cause accidental human infection through the ingestion of raw or undercooked fish or squids. They may also draw the attention of consumers because of the visual impact of both alive and dead worms. Therefore, the information on their geographical distribution and clear species identification is important for epidemiological survey and further prevention of human infection. Results: For identification of anisakid nematodes species isolated from largehead hairtail (Trichiurus japonicus), polymerase chain reaction-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PCR-RFLP) analysis of internal transcribed spacers of ribosomal DNA were conducted. Mitochondrial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2 gene was also sequenced, and phylogenetic analysis was conducted. From the largehead hairtail (n = 9), 1259 nematodes were isolated in total. Most of the nematodes were found encapsulated throughout the viscera (56.2 %, 708/1259) or moving freely in the body cavity (41.5 %, 523/1259), and only 0.3 % (4/1259) was found in the muscles. By PCR-RFLP, three different nematode species were identified. Anisakis pegreffii was the most dominantly found (98.7 %, 1243/1259) from the largehead hairtail, occupying 98.7 % (699/708) of the nematodes in the mesenteries and 98.1 % (513/523) in the body cavity. Hybrid genotype (Anisakis simplex ${\times}$ A. pegreffii) occupied 0.5 %, and Hysterothylacium sp. occupied 0.2 % of the nematodes isolated in this study. Conclusions: The largehead hairtail may not significantly contribute accidental human infection of anisakid nematode third stage larvae because most of the nematodes were found from the viscera or body cavity, which are not consumed raw. But, a high prevalence of anisakid nematode larvae in the largehead hairtail is still in concern because they may raise food safety problems to consumers. Immediate evisceration or freezing of fish after catch will be necessary before consumption.

멍게껍질 추출색소 및 CLA (Conjugated Linoleic Acid)가 함유된 사료를 섭취한 고등어 (Scober japonicus)의 일반성분 및 지방산 조성 (Fatty Acid Composition of Chub Mackerel (Scomber japonicus) Fed a Diet Fortified with CLA and Ascidian (Halocynthia roretzi) Tunic Extracts)

  • 박은정;김종태;강석중;최병대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581-588
    • /
    • 2010
  • To examine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and ascidian tunic extracts in fish, we compared mackerel fed ascidian tunic extract and CLA (CA25) and a control group. The daily growth index of CA25 was 1.92 compared to 1.86 in the control group. The viscerosomatic index of CA25 was 36.7%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fter 8 weeks, the protein content decreased from 19.7 to 17.5% in the CA25 group. The ascidian tunic extract content in the viscera was much higher than in muscle (0.13 vs. 0.03 mg/100 g) after 8 weeks. At the start, the n-3 fatty acid content of the experimental fish was 25.2% in muscle and 23.7% in viscera. The CLA content in muscle in the CA25 group was 2.1% after 4 weeks and 2.3% after 8 weeks. By contrast, the CLA content in viscera did not change after 8 weeks.

고등어 내장으로부터 추출한 지질성분의 항산화효과 (Antioxidant Activity of Different Lipid Extracts from Mackerel Viscera)

  • 변대석;정용실;홍정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98-104
    • /
    • 1995
  • 미이용자원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해서 고등어 내장으로부터 항산화물질을 추출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본 실험을 행하였다. 내장으로 부터 총지질을 추출하여 다시 헥산 추출물, 사염화탄소-메탄올 추출물(1 : 1, 1 : 3, 1 : 9, v/v), 인지질, 포스파티딜콜린(PC), PC를 제외한 나머지 인지질획분(PCF)로 추출하여 $40^{\circ}C$ 항온기에서 10일간 산화억제실험을 하였다. 그 결과 헥산 추출물은 총지질이나 사염화탄소-메탄올 보다 산화억제 효과가 낮았고 사염화탄소-메탄올(1 : 1, 1 : 3, 1 : 9, v/v) 추출물은 극성이 높을수록 효과가 컸다. 극성지질인 인지질(PL)과 인지질을 구성하는 포스파티딜콜린(PC)과 그 나머지 획분(PCF=PC free PL)도 모두 현저한 산화억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그 중에서도 PC가 가장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PC의 항산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천연 및 합성산화제와의 효과를 비교한 결과 PC첨가군이 다른 항산화제 보다 2~3배 산화억제력이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인지질의 항산화작용을 인정할 수 있으며 그 주체는 PC임을 알 수 있다. 수산폐기물로 부터 항산화물질의 이용이라는 대단히 긍정적인 결과와 함께 어유의 산화안정효과에 대단히 큰 영향을 미치리라고 예상된다.

  • PDF

혈합육어(멸치, 고등어, 황다랭이 및 날개다랭이)의 Trypsin 1. 정제와 반응조건 (Trypsins from the Dark Fleshed Fish(Anchovy, Mackerel, Yellowfin Tuna and Albacore) 1. Purification and Optimal Reaction Conditions)

  • 변재형;조득문;허민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48-457
    • /
    • 1993
  • 혈합육어 중 연근해 온대산 멸치의 내장과 고등어의 유문수, 그리고 원양 열대산 황다랭이 및 날개다랭이의 유문수를 각각 시료로 하여 trypsin을 분리 정제하였으며, 그 분자량과 아미노산 조성 및 효소의 반응 최적조건에 관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멸치의 내장과 고등어, 황다랭이 및 날개다랭이의 유문수에서 각각 황산암모늄염석, benzamidine-Sepharose 6B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 DEAE-Sephadex A-50 크로마토그래피, Sephadex G-75 겔 여과 크로마토그래피 등의 방법을 혼용하여 고등어로부터는 2종의 trypsin (고등어 trypsin A와 고등어 trypsin B로 명명함)을, 그리고 다른 어류로부터는 각각 1종의 trypsin을 분리 정제하였다. 2. 멸치 trypsin과 고등어 trypsin B는 고등어 trypsin A와 황다랭이 trypsin 및 날개다랭이 trypsin에 비하여 그 고유활성이 월등히 높았다. 3. 이들 혈합육어 trypsin의 분자량은 22kDa-26kDa 범위였다. 4. 이들 trypsin은 공통적으로 glycine, serine, aspartic acid를 많이 함유하고 있었으며, tryptophan, methionine, lysine, tyrosine의 함유량은 적었다. 5. BA-$\rho$-NA기질에 대한 반응 최적조건은 멸치 trypsin은 pH 8.0에서 45$^{\circ}C$, 고등어 trypsin A와 B는 pH 8.0에서 5$0^{\circ}C$, 그리고 황다랭이 trypsin은 PH 9.0에서 55$^{\circ}C$, 날개다랭이 trypsin은 pH 9.0에서 5$0^{\circ}C$였다. 6. 위에 든 실험 결과들은 혈합육 어류의 서식온도가 이들 어류의 trypsin의 반응 최적 온도와는 어느 정도 관계가 있을 것으로 추측되었다.

  • PDF

Anisakis simplex Larvae: Infection Status in Marine Fish and Cephalopods Purchased from the Cooperative Fish Market in Busan, Korea

  • Choi, Seon-Hee;Kim, Jung;Jo, Jin-Ok;Cho, Min-Kyung;Yu, Hak-Sun;Cha, Hee-Jae;Ock, Mee-Sun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49권1호
    • /
    • pp.39-44
    • /
    • 2011
  • The infection status of marine fish and cephalopods with Anisakis simplex third stage larva (L3) was studied over a period of 1 year. A total of 2,537 specimens, which consisted of 40 species of fish and 3 species of cephalopods, were purchased from the Cooperative Fish Market in Busan, Korea, from August 2006 to July 2007. They were examined for A. simplex L3 from the whole body cavity, viscera, and muscles. A. simplex L3 were confirmed by light microscopy. The overall infection rate reached 34.3%, and average 17.1 larvae were parasitized per infected fish. Fish that recorded the highest infection rate was Lophiomus setigerus (100%), followed by Liparis tessellates (90%), Pleurogrammus azonus (90%), and Scomber japonicus (88.7%). The intensity of infection was the highest in Gadus macrocephalus (117.7 larvae per fish), followed by S. japonicus (103.9 larvae) and L. setigerus (54.2 larvae). Although abundance of A. simplex L3 was not seasonal in most of the fish species, 10 of the 16 selected species showed the highest abundance in February and April.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intensity of L3 infection and the fish length was obvious in S. japonicus and G. macrocephalus. It was likely that A. simplex L3 are more frequently infected during the spring season in some species of fish. Our study revealed that eating raw or undercooked fish or cephalopods could still be a source of human infection with A. simplex L3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