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sh species composition

검색결과 413건 처리시간 0.028초

경남 통영 풍화리 잘피밭의 어류 종조성 변동 (Variations in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in the Eelgrass Beds of Punghwa-ri, Tongyeong, Korea)

  • 김진성;노연희;이용득;정찬교;곽우석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01-112
    • /
    • 2023
  • 경남 통영시 풍화리 잘피밭에서 어류의 종조성 변동을 파악하기 위해 2021년 4월부터 22년 3월까지 지인망(surf net)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10년전 수행된 선행연구 결과와의 비교에서 종조성과 우점종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선행연구에서 출현하지 않았던 아열대성 어종인 독가시치(Siganus fuscescens), 쏠종개(Plotosus lineatus), 두줄베도라치(Petroscirtes breviceps)가 출현하였다.

한강 및 낙동강 수계 주요 하천을 중심으로 어류를 이용한 수생태 건강성 평가 (Ecological Health Assessment using Fish for the Han River and Nakdong River in Korea)

  • 노성유;최희락;박종영;황순진;김상훈;이재안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19-327
    • /
    • 2015
  •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biological criteria for aquatic ecosystem health assessment using composition and diversity of collected species. The sampling sites were a total of 67 sites in the Han River (29 sites) and the Nakdong River (38 sites), May and September 2012. During the survey period fish were collected totally 93 species. In each water system, 73 and 61 species were collected in the Han River and the Nakdong River respectively. The current composition of fish species between the Han River and Nakdong River showed similar pattern. The dominant species was Zacco platypus of the Han River, and the Nakdong River was Opsariichthys uncirostris. In particular,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O. uncirostris frequently appeared in general polluted waters. In conclusion, in the Nakdong River, average value of FAI (Fish Assessment Index) was averaged 41.3, indicating a "poor condition", and the Han River was 53.1, indicating a "poor condition". The aquatic health of the Nakdong River assessed based on FAI was considered to be worse than that of the Han River.

낙동강 하구해역에서 저인망에 의해 어획되는 어류의 종조성 및 계절 변동 (Seasonal Variations in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Fishes Collected by an Otter Trawl in Nakdong River Estuary)

  • 허성회;정석근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5권2호
    • /
    • pp.178-195
    • /
    • 1999
  • 낙동강 하구 주변 해역에서 1987년 2월부터 1988년 1월까지 1년 동안 매월 소형 기선저인망(otter trawl)을 이용하여 어류의 종조성 및 계절변동을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100개 어종에 속하는 23,008마리의 어류가 채집되었다. 가장 많이 채집된 어종은 실양태(Repomucenus valenciennei), 흰베도라치(Pholis fangi), 주둥치(Leiognathus nuchalis), 전갱이(Trachurus japonicus), 밴댕이 (Sardinella zunasi)였는데, 이들 5어종은 총 개체수의 63.0%와 생체량의 47.8%를 차지하였다. 계절별 우점종을 보면, 봄에는 흰베도라치와 실양태, 여름에는 실양태와 참서대(Cynoglossus joyneri), 가을에는 열동가리돔(Apogon lineatus)과 청멸(Thryssa kammalensis), 그리고 겨울에는 설양태, 주둥치, 밴댕이 등이 우점종으로 나타났다.어종수, 채집 개체수 및 종다양도지수는 뚜렷한 계절 변동을 보였다. 또한 어종 수 및 채집 개체수는 정점에 따라 차이를 보였는데, 낙동강 하구쪽으로 갈수록 어종수 및 채집 개체수가 감소하였다. 수온은 어류 종조성의 계절변동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이었으며, 염분은 어류의 공간 분포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천수만(淺水灣) 어류(魚類)의 종조성(種組成) 변화(變化) 2. 대천(大川) 해빈(海濱) 쇄파대(碎波帶) 어류(魚類) (Change in Species Composition of Fish in Chonsu Bay (II) Surf Zone fish)

  • 이태원;문형태;최신석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79-90
    • /
    • 1997
  • 1995년 6월부터 1996년 5월 사이 대천 해빈 쇄파대에서 월별로 어류를 채집하여, 종조성, 양적 변동 및 군집구조를 분석하고, 1984~85년의 종조성 자료와 비교하여 두 조사시기 사이의 종조성 변화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재료는 매월 그믐 사리 저조 때 지인망을 5회 예인하여 수집하였다. 본 조사에서는 총 26종의 어류가 출현하였으며, 날개망둑(Favonigobius gymnauchen), 주둥치(Leiognathus nuchalis), 청보리멸(Sillago japonica), 돌가자미(Kareius bicoloratus)가 우점하였다. 봄에는 주거종인 날개망둑의 성어가 우점하였고, 6월부터 내만성 부어류와 저어류의 유어들이 대량 출현하여 여름동안 높은 생물량을 보였으며, 11월 이후 수온이 낮아지며 소수종 만이 출현하였다. 1984~85년 같은 해역에서 수집된 자료와 비교하면, 계절에 따른 종조성 변화 양상은 유사하였으나 군집구조는 차이를 보였다. 돌가자미, 돛양태(Repomucenus lunatus), 흰베도라치(Enedrias fangi), 참서대(Johnius beiengerii), 두줄망둑(Tridentiger trgonocephaalus), 주둥치와 민태(Johnius belengerii)는 1984~85년에 비하여 1995~96년에 수적으로 증가하였고, 곤어리(Thrissa koreana), 밴댕이 (Sardinella zunasi), 학꽁치(Hyporhampus sajori), 숭어(Mugil cephalus), 얼룩망둑 (Chanogobius mororana), 전어(Konosirus punctatus), 줄공치(Hyporhampus intermedius) 및 은어(Plecogtosus altivelis)는 1984~85년에 비하여 1995~90년에 감소하였다. 숫적으로 증가한 종 중 주둥치를 제외하면 저어류들이었고, 감소한 종은 얼룩망둑을 제외하면 부어류들이었다. 이 결과는 천수만 방조제 건설 이후 해수 유동이 약하여지며 세립퇴적물이 증가하여, 세립퇴적물을 선호하는 어류가 증가하였고, 쇄파대에는 탁도가 증가하여 일부 여과식자에게 부적합한 환경이 조성되어 부어류들이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

  • PDF

흑천수계의 어류상 및 군집분석 (Fish Fauna and Community Analysis in Heuck Stream Watershed)

  • 문운기;한정호;안광국
    • 생태와환경
    • /
    • 제43권1호
    • /
    • pp.69-81
    • /
    • 2010
  • 흑천수계를 구성하는 흑천 6개의 본류 및 14개의 지류 하천을 대상으로 어류군집의 분포특성을 분석한 결과, 총 9과 26종의 서식이 확인되었으며, 이 중 Cyprinidae 어류가 15종으로 다양하게 분포하였다. 흑천수계에서 우점종은 갈겨니 (29%), 피라미 (22%), 버들치 (21%) 등의 순으로나타났다. 또한, 흑천 본류에서 이들 우점종의 분포특성은 최상류역은 버들치, 상류역은 갈겨니, 중-상류역은 갈겨니, 피라미, 중-하류역은 피라미에 의해 하천특성이 결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식이 확인된 어류 중 한국고유종은 한강납줄개 등 7과 13종 (50%)로 고유종의 구성비가 높게 나타나 한반도 평균적인 고유종 빈도인 23%에 비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천차수별 어류의 분포특정은 하천차수가 증가할수록 종수 및 개체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경향을 보였는데 이는 하천크기의 영향보다는 지점간의 이격거리 및 지류하천의 지리적 위치에 따른 차이가 어류 분포에 있어서 더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또한, 내성도 빛 트로픽 길드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하천차수가 증가함에 따라 민감종 및 충식종은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였으며, 내성종 빛 잡식종은 하천차수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민감종 및 충식종 비율이 50% 이상 되는 구간들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어 혹천수계가 하천의 자연성 및 서식환경의 보존가치가 높은 수계로 사료된다.

제주도 서부연안 어류군집의 종조성 및 계절변동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Variation of Fish Assemblage of the Western Coastal Waters of Jeju Island, Korea)

  • 이승종;고준철;유준택;임양재;김병엽;김주일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67-176
    • /
    • 2009
  • 제주도 서부 연안에서 출현하는 어종들의 군집구조와 계절변동을 알아보기 위해 2008년에 홑자망, 삼중자망 그리고 통발을 이용하여 어획물의 종조성 및 계절변동을 분석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총 13목 45과 81종이 출현하였으며 농어목과 쏨뱅이목 어종이 전체 출현종수의 69.1%를 차지하고 있었다. 시기별 출현종수는 고수온기인 7월에 54종으로 가장 많이 출현하였고 저수온기인 4월 42종으로 가장 적게 출현하였다. 시기별 출현개체수와 생체량은 9월에 895 개체, 135 kg으로 가장 높았으며 12월에 450 개체, 52 kg로 낮았다. 조사어구 중 어획량이 가장 빈약했던 홑자망을 제외한 삼중자망과 통발의 다양도 지수를 구한 결과 각각 2.88~3.22, 1.31~1.87의 범위로 변화하였고 두 어구 모두 9월에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주요 우점종은 쏨뱅이, 쥐치, 호박돔, 황놀래기 등으로서 이 어종들은 계절에 상관없이 조사해역 내에서 우점 출현하고 있었다.

가막만 모자반 군락지 어류군집의 종조성 및 계절변동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Variation of Fish Assemblages in Sargassum Beds in Gamak Bay, Korea)

  • 윤호섭;안윤근;최상덕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5-21
    • /
    • 2011
  • 가막만 모자반 군락에서 2008년 10월부터 2009년 9월까지 월별로 두릿그물로 어류를 채집하여 어류의 종조성 및 계절변동을 분석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21종 582 개체, 5,345.1 g의 어류가 채집되었으며, 출현한 어종 중 복섬(Takifugu niphobles), 멸치(Engraulis japonicus)와 농어(Lateolabrax japonicus)가 전체 개체수의 55 %를 차지하였다. 12월과 1월에는 어류가 채집되지 않았고, 봄에 수온이 상승하며 증가하여 출현종수와 채집량이 6월에 높았고, 7월과 8월에는 감소하였으나, 9월과 10월에는 높은 값을 보였다. 종간 유사성을 집괴분석한 결과 3개의 무리로 구분되었다. A 그룹에는 출현기간이 비교적 긴 우점종인 주둥치(Leiognathus nuchalis)와 복섬(Takifugu niphobles)이, B 그룹에는 봄에 주로 출현한 볼락(Sebastes inermis), 살망둑(Chaenogobius heptacanthus), 흰줄망둑(Pterogobius zonoleucus), 베도라치(Pholis nebulosa), 거물가시치(Trachyrhamphus serratus), C 그룹에는 가을에 주로 출현한 멸치(Engraulis japonicus), 농어(Lateolabrax japonicus), 학공치(Hyporhamphus sajori)가 포함되었다.

서해 5도 주변해역의 어류군집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fish community in the coastal water of the Five West Sea Islands in Korea)

  • 윤병일;최동혁;임양재;김정년;김맹진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6권3호
    • /
    • pp.213-222
    • /
    • 2020
  •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variations of fish in the Five West Sea Islands in Korea, were investigated by using otter trawls and bongo nets from 2014 to 2015. During the surveyed period using an otter trawl, a total of 53 species, 147,253 ind./㎢ and 2,721,296 g/㎢ of fish were collected by otter trawls. The individual dominant species were Chaeturichthys stigmatias (30.3%), Coilia nasus (18.2%), Engraulis japonicus (12.3%), and Setipinna tenuifilis (12.2%). Moreover, the biomass dominant species in biomass were Liparis tanakae (21.3%), Beringraja pulchra (18.5%), Engraulis japonicus (8.3%) and Okamejei kenojei (8.1%). Eggs by bongo nets included 1,748 ind./1,000 ㎥ of Engraulis japonicus and 64,691 ind./1,000 ㎥ of unidentified species. A total of 15 species and 2,015 ind./1,000 ㎥ of fish larvae were collected, and the dominant species were Johnius belengerii and Pholis fangi.

황해 중부에서 저층 트롤에 어획된 어류의 종조성 및 양적변동 (Quantitative Fluctuation and Species Composition of the Fish by Bottom Trawl in the Middle of Yellow Sea, Korea)

  • 주현;추보라;이성훈;유태식;한경호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59-65
    • /
    • 2020
  • Fish, caught by bottom trawling in the middle of the Yellow sea (east of Korea), in the spring and summer of 2016 were assessed for species composition and fluctuation in their abundance. The fish were studied at four research stations (St.) and were found to be composed of 46 species, 31 families, and 14 orders. The dominant species caught were Engraulis japonicus, Larimichthys polyactis, Johnius grypotus, Liparis tanakae, and Larimicthys crocea. All the species were assessed for their numbers, richness, diversity, and dominance to gain a measure of the biodiversity. The highest number of individuals was recorded at St. 4 (50,053 individuals), while the lowest number of individuals was recorded at St. 1 (44,090 individuals). The evenness index was the highest at St. 2 (E = 0.65) and lowest at St. 3 (E = 0.62). The diversity index was the highest at St. 4 (H' = 2.31) and lowest at St. 3 (H' = 2.23). Furthermore, the dominance index was the highest at St. 3 (D = 54.9%) and lowest at St. 2 (D = 47.7%).

Proximate Composition of Viscera of Major, Common and Some Chinese Carps Under the Effect of Different Fertilization Schemes and Feed Supplementation in Composite Culture System

  • Mahboob, Shahid;Sheri, A.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1권2호
    • /
    • pp.196-200
    • /
    • 1998
  • The proximate composition of viscera of six fish species viz., Catla catla, Labeo, rohita Cirrhina mrigala, Hypophthalmichthys molitrix, Ctenopharyngodon idella and Cyprinus carpio under the influence of artificial feed $(T_1)$, broiler manure $(T_2)$, buffalo manure $(T_3)$, N:P:K (25:25:0 $T_4$) and control pond $(T_5)$ has been studied on final harvest after the end of experimental period of one year. The overall comparison of six fish species under five different treatments showed that Cyprinus carpio remained the best for visceral total protein contents. The maximum visceral protein content was recorded in fishes under $T_2$ except Cirrhina mrigala, while the minimum under $T_5$. The comparison of five treatments showed that maximum (6.69) percentage of fat in viscera of fish was recorded under $T_2$, closely followed by $T_4$ while minimum (4.89) under the effect of $T_5$. Among the six fish species under five treatments Cyprinus carpio showed maximum accumulation/deposition of total fats in viscer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