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Variation of Fish Assemblage of the Western Coastal Waters of Jeju Island, Korea

제주도 서부연안 어류군집의 종조성 및 계절변동

  • 이승종 (국립수산과학원 제주수산연구소) ;
  • 고준철 (국립수산과학원 남해수산연구소) ;
  • 유준택 (국립수산과학원 자원연구과) ;
  • 임양재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 ;
  • 김병엽 (국립수산과학원 제주수산연구소) ;
  • 김주일 (국립수산과학원 제주수산연구소)
  • Received : 2009.08.04
  • Accepted : 2009.09.25
  • Published : 2009.09.30

Abstract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variation of fish assemblages in the western coastal waters of Jeju Island were determined using samples collected by a trammel net, gill net and fish pot in 2008. During the survey period, a total of 81 species (45 families and 13 orders) of fishes were identified, and Perciformes and Scorpaeniformes accounted for 69.1% of the total number. The number of species was higher in warm months than in cold months, showing a peak in July at 54 species and a low in April at 42 species. The number of individuals and the biomass peaked in September at 895 inds. and 135 kg, and were lowest in December at 450 inds. and 52 kg. The diversity indices of fish catches in trammel net and fish pot were 2.88~3.22 and 1.31~1.87, respectively, and were highest in September. Sebastiscus marmoratus, Stephanolepis cirrhifer, Choerodon azurio and Pseudolabrus sieboldi were dominant species, which occurred abundantly during the entire survey period.

제주도 서부 연안에서 출현하는 어종들의 군집구조와 계절변동을 알아보기 위해 2008년에 홑자망, 삼중자망 그리고 통발을 이용하여 어획물의 종조성 및 계절변동을 분석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총 13목 45과 81종이 출현하였으며 농어목과 쏨뱅이목 어종이 전체 출현종수의 69.1%를 차지하고 있었다. 시기별 출현종수는 고수온기인 7월에 54종으로 가장 많이 출현하였고 저수온기인 4월 42종으로 가장 적게 출현하였다. 시기별 출현개체수와 생체량은 9월에 895 개체, 135 kg으로 가장 높았으며 12월에 450 개체, 52 kg로 낮았다. 조사어구 중 어획량이 가장 빈약했던 홑자망을 제외한 삼중자망과 통발의 다양도 지수를 구한 결과 각각 2.88~3.22, 1.31~1.87의 범위로 변화하였고 두 어구 모두 9월에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주요 우점종은 쏨뱅이, 쥐치, 호박돔, 황놀래기 등으로서 이 어종들은 계절에 상관없이 조사해역 내에서 우점 출현하고 있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Grant : 제주바다목장사업-자원조사 및 평가

Supported by : 국립수산과학원

References

  1. 강태연∙최영찬∙고유봉. 1996. 제주도 주변 용승역의 생물생태학적 기초 연구(I)-제주도 남서부 연안해역의 해수화학적 특성과 용승현상. 한국수산학회지, 29: 603-613.
  2. 고유봉∙노홍길∙방익찬∙오봉철∙윤석훈∙윤정수∙이준백.1998. 제주의 바다. 프리랜서 제주, 196pp.
  3. 고유봉∙오봉철∙최영찬. 1996. 제주도 주변 용승역의 생물생태학적 기초 연구-부유성 동물 플랑크톤의 현존량과 분포특성. 한국수산학회지, 29: 271-278.
  4. 김종관∙강용주. 1991. 삼중자망에 의한 삼천포 신수도연안 천해 어류군집의 구조. 한국수산학회지, 24: 99-110.
  5. 김익수∙이완옥. 1994. 제주도의 어류상. 한국의 어류상 연구, 1, 52pp.
  6. 김익수∙최 윤∙이충렬∙이용주∙김병직∙김지현. 2005. 한국어류대도감. 교학사, 615pp.
  7. 노홍길. 1985. 제주도 주변해역의 어장해양환경에 관한 연구. 동경대학 박사학위논문, 215pp.
  8. 방익찬∙김태희. 1993. 제주도 서부 연안역의 용승. 제주대 해양연보, 17: 1-12.
  9. 백문하. 1982. 제주도 연근해의 어류상. 제주대학논문집, 14: 93-108.
  10. 이태원∙김광천. 1992. 아산만 저어류 II. 종조성의 주야 및 계절 변동. 한국수산학회지, 25: 103-114.
  11. 이태원∙황선완. 1995. 아산만 저어류 IV. 종조성의 최근 3년간 (1990~1993) 변화. 한국수산학회지, 28: 67-79.
  12. 정문기. 1977. 한국어도보. 일지사, 727pp.
  13. 조인숙∙최영찬∙고유봉. 2001. 하계 제주도 동∙서해역 해수의 특성과 일주 변화. 한국환경과학회지, 10: 179-185.
  14. 차병열∙박광재. 1997. 저인망에 채집된 광양만 어류의 종조성과 계절변동. 한국어류학회지, 9: 235-243.
  15. 최영찬∙문영석. 1991. 제주도 남방 연안역의 4월달 해수특성. 제주대학교 해양연구소 연구보고, 15: 73-80.
  16. 최 윤∙오정규∙라혜강. 2003. 제주도 남부 해역의 어류상. 한국어류학회지, 15: 120-126.
  17. Bray, J.R. and J.T. Curtis. 1957. An ordination of the upland forest communities of southern Wisconsin. Ecol. Monogr., 27:325-349. https://doi.org/10.2307/1942268
  18. Cha, B.Y. 1999. Species composition of fish in coastal water off Goeje Island. Korean J. Ichthyol., 11: 184-190. (in Korean)
  19. Go, Y.B. and H.S. Shin. 1988. Species occurrence and food chain of fisheries resources, nekton, on the coast of Pukchon, Cheju Island. I. Species composition and diversity. J. Kor. Fish. Soc., 21: 131-138. (in Korean)
  20. Go, Y.B. and H.S. Shin. 1990. Species composition and diversity of fisheries resources, nekton off the coast of Hawsun, Southern part of Cheju Island. Korean J. Ichthyol., 2: 36-46. (in Korean)
  21. Go, Y.B. and S.H. Cho. 1997. Study on the fish community in the seagrass belt around Cheju Island. I.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variations of fish community. Korean J. Ichthyol., 9: 48-60. (in Korean)
  22. Hwang, S.D., Y.J. Park, S.H. Choi and T.W. Lee. 1997. Species composition of fish collected by trammel net off Heunghae, Korea. J. Kor. Fish. Soc., 30: 105-113. (in Korean)
  23. Kim, K. and S.H. Lee. 1982. Vertically homogeneous water along the west coast of Jeju Island. J. Oceanol. Soc. Korea, 17:59-68.
  24. Lee, S.I., S.J. Hwang, J.H. Yang and J.M. Shim. 2008. Season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of gill net and trammel net catches in the coastal waters off Wangdol-cho, Korea. Korea. Korean J. Ichthyol., 20: 291-302. (in Korean)
  25. Myoung, J.G. 1997. The fish fauna of Munsom in Cheju-do, Korea. Korean J. Ichthyol., 9: 5-4. (in Korean)
  26. Nakabo, T. 1993. Fishes of Japan with Pictorial Keys to the Species. Tokai Univ. Press, Tokyo, 1474pp.
  27. Pang, I.C., H.K. Rho and T.H. Kim. 1992. Seasonal variations of water mass distribution and their causes in the Yellow Sea, the East China Sea and the adjacent seas of Cheju Island. Bull. Kor. Fish. Soc., 25: 151-163.
  28. Shannon, C.E. and W. Wiener, 1963.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 Illinois Press, Urbana, 177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