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efighting facilities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24초

헬기에 의한 산불공중간접진화 방법에 관한 연구 (Study of Indirect Attack Method of Aerial Fire Firefighting by Helicopter on Forest Fire)

  • 배택훈;최연철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55-61
    • /
    • 2016
  • Among the method of aerial fire firefighting, the indirect attack is efficiency way to protect main facilities and it is the aerial fire line construction. According to this study is suggested the fire line construction strategy of indirect attack by helicopter suitable Korea forest fire on theory consideration of indirect attack and experience in practical scene. This study defined that main key points of the fire line construction are accuracy, large quantity, and quickness. Main protection facilities are devided as caution area, warning area, danger area and concern area. Also, it suggested stage-by-stsge from 1 step to 3 step for the aerial fire firefighting correspondence strategy and the fire line construction model. I regard that this study's indirect attack method of the aerial fire firefighting of the fire line construction may be understand about indirect attack tactics and application of indirect attack which is assistance to raise of capability of the aerial fire firefighting with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공동주택 관리방식과 소방시설의 점검에 따른 예방활동·화재안전특별조사·소방안전관리의 다변량 분석 (Multivariate Analysis of Fire Prevention Activities, Special Investigations of Fire Safety, and Fire Safety Management by the Apartment Buildings Management Methods and Inspection of Firefighting Facilities)

  • 김종남;공하성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2호
    • /
    • pp.489-502
    • /
    • 2020
  • 이 연구는 공동주택 관리방식과 소방시설의 점검에 따른 화재안전특별조사, 예방활동, 소방안전관리의 다변량분석에 대하여 집단 간의 차이를 규명하였다. 특히, 공동주택 소방안전관리의 중요성 측면에서 집단 간의 비교분석은 필요한 것으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방시설점검에 따라서 예방활동이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소방안전관리자의 소방시설점검능력이 우수하고, 국가 화재안전기준 및 점검표에 따라 적합한 점검을 할수록 화재예방도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관리방식에 따라 화재안전특별조사가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아파트 관리방식이 건축물 규모, 층수에 관계없이 관리주체의 운영메뉴얼, 관리집행이 조직구성별로 신속한 업무수행이 가능할수록 화재안전특별조사에도 만족하는 것을 보여준다. 셋째, 예방활동이 소방시설점검과 관리방식 간에 유의미한 상호작용 효과를 보였다. 이는 소방안전관리자의 소방시설점검능력이 우수하고 국가 화재안전기준에 적합한 점검을 할수록 화재예방도 높고 아파트 관리방식이 건축물 규모, 층수에 관계없이 관리주체의 운영메뉴얼, 관리집행이 조직구성별로 신속한 업무수행이 가능할수록 화재예방에도 만족하는 것으로 보여준다.

법과 제도적 관점에서 본 소방특별조사의 개선방안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Leagal Study on Special Fire Safety Inspection System)

  • 이재욱;정기성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3호
    • /
    • pp.545-552
    • /
    • 2021
  • 2011년 8월 4일에 개정된 법률에 따라 소방특별조사는 소방시설의 유지·관리 등을 관계인(소유자·관리자·점유자)이 하고 이에 대한 책임도 관계인에게 주어졌다. 소방특별조사는 기존의 모든 소방대상물에 직접 출입하여 소방시설의 유지·관리 상태 등을 조사하는 대신에 매년 일부 대상물을 선별하여 방문하고 소방시설의 유지·관리 상태 등을 확인하고 잘못된 부분에 대하여 시정하고 그 책임에 대하여 과태료 등의 처분을 하는 것이다. 이 제도를 도입한 이유가 관계자의 책임을 강화하여 민간자율정정제도의 정착, 소방전문 인력의 부족, 빈번한 대민접촉에 따른 부패의 개연성과 소방검사에 따른 소방기관의 책임 등이 고려되었다. 그러나 소방특별조사제도를 도입하여서도 여러 가지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소방안전을 위한 제도 중 하나인 소방특별조사는 관계 법령에 따라 소방대상물에 설치된 소방시설에 대하여 적합하게 설치·유지·관리되고 있는지를 관계 공무원, 특히 소방공무원이 확인하는 것이다. 소방특별조사는 1958년 소방법이 제정된 당시에 소방검사로 도입되어 최근까지 30여 차례의 개정과정을 거쳐, 현행 소방특별조사는 2003년 기존의 소방법체계가 4개의 법률로 분법화되면서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로 기존의 소방검사 소방특별조사로 변경되어 수용되었다.

화재진압 교육훈련시설 설치기준의 필요성 및 내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ecessity and Contents of the Installation Criteria of the Fire Suppression Education & Training Facilities)

  • 송우승;함승희;윤명오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8권3호
    • /
    • pp.62-71
    • /
    • 2014
  • 소방인력의 전문성 제고 및 역량 강화를 도모함과 동시에 소방인력의 손실 저감을 위하여 소방교육훈련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동시에 소방교육훈련시설의 확충이 추진 중에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방교육훈련시설 확충에 있어서 핵심시설이라 할 수 있는 화재진압 교육훈련시설에 대한 국내외 현황 및 설치기준에 대한 비교연구를 통하여 국내 소방교육훈련시설 설치기준의 필요성 및 내용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향후 추진될 화재진압 교육훈련시설의 설치기준은 국제기준과 동등수준의 성능을 담보하는 내용으로 구성하되, 구체적인 훈련목적 및 구조물 최소요구사항을 규정하여야 하며, 이는 훈련 간 훈련생과 교관의 안전을 최우선적으로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또한 소방 표준작전절차 상에 제시된 시나리오의 적극적인 반영을 통하여 훈련 효과성 제고에 주목하여야 하며, 다른 소방교육훈련시설의 설치기준과 상호 유사성 및 호환성을 확보하여 전체 기준의 균형감을 유지해야 한다.

노인복지시설의 소방안전관리실태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Status of Fire Safety Management in Elderly Welfare Facilities)

  • 고왕열;허만성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2권3호
    • /
    • pp.108-115
    • /
    • 2018
  • 노인복지시설은 입소자들의 신체적, 정신적 능력이 쇠퇴하여 화재 등의 재난시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운영되고 있는 노인복지시설의 건축물 구조적 문제, 소방시설의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문제, 소방안전관리자 업무에 관한 문제점 등 소방안전관리실태에 대해 조사, 분석하였다. 최근 대형화재사고 발생 후 관련법령의 개정에 따른 소방시설의 소급적용 등으로 다소 보완되었으나 전반적으로 소방안전관리실태는 아직도 미비한 상태이다. 따라서 관련법령의 추가적인 정비를 통해 건축물 및 소방시설의 안전성과 소방안전관리실태를 개선해나가야 한다.

시설별 안전점검 중복성에 대한 실태조사 및 개선방안 연구 (A Research on the Improvement & Actual Situation of Duplicated Safety Inspections for Facilities)

  • 박종근;오태근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53-59
    • /
    • 2017
  • Safety inspection activities of the facilities including the electricity, gas, building, and firefighting, etc. are individual checks by the separate law of each government department, comprehensive inspections for the specific managed facilities or during a weak season, and national safety overall diagnostics for the disaster prevention. Thus, types of the inspections are various and they have been carried out repeatedly as well as duplicately. That can make the people or institutes to take such inspections feel great burdens. Therefore, the investigation on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individual inspection by the separate law for the electricity, gas, building, and firefighting, etc. as well as of various others by the government needs to be carried out and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repetitive and duplicated inspections should be reduced and converged to one comprehensive one. In this regard, we proposed solutions to improve the government safety inspection system, function, and role.

화재안전을 위한 BIM기술과 드론 및 IT융복합 기술을 접목시킨 소방안전시스템 구축 (Establishment of Fire-Safety System that combines BIM technology for fire safety with drones and IT convergence technologies)

  • 김대건;이기휘;홍일혁;김민성;이동운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8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75-176
    • /
    • 2018
  • While damage caused by fire increases, awareness of fire is still low. Morever, Small fires often spread into big fires as they fail to keep the golden time due to the delay in initial response. In particular, the initial response is more important in areas where many unauthorized buildings are called " Panjachon " as firefighting facilities are insufficient compared to other residential facilities. Therefore, we will combine BIM technology, drones and IT convergence technologies to develop a firefighting safety information system that can speed up initial response and help combat fires.

  • PDF

소방공사감리원의 업무수행능력이 아파트 소방시설공사의 완공검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Performance of Firefighting Construction Supervision Personnel on the Completion Inspection of Firefighting Facility Construction in Apartments)

  • 김상식;공하성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3호
    • /
    • pp.43-54
    • /
    • 2019
  • 이 연구는 아파트 화재의 대형화를 막기 위해 소방공사감리원의 업무수행능력에 따른 완공검사결과와 소방공사감리원의 성능시험 공기확보의 필요성에 따른 완공검사결과 및 완공검사증명서 발급 후 소방시설 등의 하자 유무상태에 따른 요인을 분석하여 완공검사 결과를 측정하여 소방공사감리원의 업무수행능력을 향상시키 위한 것이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소방공사감리원의 업무수행능력에 따라 아파트 완공검사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직업별로 소방공무원보다 소방시설설계업 및 소방공사감리업 종사자가 소방공사감리원의 업무수행능력에 따라 아파트 완공검사 결과 정도는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아파트에는 아파트 공사감리 경력이 있는 사람을 감리원으로 배치하여 소방공사감리원의 업무수행능력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둘째, 소방공사감리원의 성능시험 공기확보 필요성에 대한 완공검사 결과는 직업별로 소방공무원보다 소방시설설계업 및 소방공사감리업 종사자의 성능시험에 대한 공기확보 필요성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분석 되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건축 준공일까지 완공검사를 할 수 있도록 하며 발주처에서는 완공검사증명서를 건축준공일에 임박하여 발급받도록 강요하지 않도록 장치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완공검사증명서 발급 후 완공검사의 하자가 완공검사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발주자(건축주. 감독관) 종사자보다 소방시설설계업 및 소방공사감리업체 종사자가 유의하게 낮게 분석되었다. 이는 소방시설공사를 마치지 않은 상황에서 발주처. 건설사가 완공검사증명서의 발급을 요구함에 따라 완공검사증명서 발급 후 소방시설 등에 하자가 발생하여 완공검사 결과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연결송수관설비 화재안전기준(NFSC 502) 개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vision of the Fire Safety Standard of the Fire Department Connection)

  • 장경남;백은선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2권5호
    • /
    • pp.67-76
    • /
    • 2018
  • 소화활동설비 중 연결송수관설비는 출동한 소방대가 소화용수를 공급하는데 화재현장 활동에서 그 어떤 설비보다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연결송수관설비 화재안전기준(NFSC 502)을 바탕으로 연결송수관설비가 설치된 아파트에 대한 연결송수구 설치 위치를 조사하였다. 소방대원이 아파트에 설치된 연결송수관설비 송수구를 알고 있는 경우와 모르고 있는 경우 그리고 주간과 야간을 나누어 연결송수관설비 송수구 발견 시간을 측정하여 보았다.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소방대가 출동하여 활용하는 본격 소화설비인 연결송수관설비의 활용 극대화를 위하여 연결송수관 설치 위치에 대한 명확화 및 위치안내도 표지판 설치 등 연결송수관설비 화재안전기준(NFSC 502)에 대한 개선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목조건축유산 화재와 방재에 관한 연구: 당진지역 목조 공소건축을 중심으로 (A Study on Fire and Disaster prevention for Wooden Architecture Heritage: Focusing on the Wooden Catholic Secondary Station in Dangjin)

  • 이상희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15-21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농촌지역에 목구조로 형성된 건축유산의 소방안전대책이 갖는 문제점 파악하고, 개선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문제점 도출을 위하여 연구대상으로 당진지역에 현존하는 목구조로 형성된 천주교 공소의 건물 구조, 주변 환경 등 문화유산의 특수성을 파악하고, 천주교 공소에서 발생 가능한 화재와 안전 요소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목구조 공소가 갖는 역사성과 장소성, 지역의 정체성을 갖는 중요한 문화유산 임에도, 화재 등 안전에 대한 취약성 및 소방 활동을 위한 화재 인지 및 초기 화재 대응에 어려움 등 방재시스템의 문제가 나타났다. 따라서 좀 더 강화된 방화 등에 방재 체제가 필요하며, 목구조 공소의 특성에 적합한 소방 시설을 설치하고 방화활동에 주체를 확보하여 건축유산인 공소의 방재체계를 개선해야 할 필요성이 도출되었으며, 또한 공소는 대부분 농촌지역에 위치하고 있어 산불과 같은 자연재난에서 목구조 공소 방재 활동을 강화하고 화재 시 대응방안과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