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e ignition

검색결과 522건 처리시간 0.021초

그라인딩 작업 중 발생하는 불티의 화재 예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isk of Fire Caused by Sparks during Grinding Operation)

  • 김성은;이근출;박경진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6권5호
    • /
    • pp.751-756
    • /
    • 2023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a fire case and performed an experiment to prevent fire from sparks that is generated during grinding operation. Before conduct the test, confirmed that the generating mechanism of fire-flakes in working grinder and the fire experiment was conducted using commonly tools, flammable materials in industrial field. in result, It could be measured scattering distance, temperature, ignition possibility by type of combustible material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fire prevention in grinding Industry.

민속마을 초가집의 방염에 의한 화재확산방지 (Fire Spreading Prevention of Straw-roofing House in Folk Village by Flame Resistant Treatment)

  • 박호천;김황진;이승현;이성은;오규형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4권3호
    • /
    • pp.52-57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방염에 의한 초가지붕과 목재구조에 대한 화재 예방대책을 고찰하였다. 초가지붕 재료인 볏짚에 함침시간을 달리하여 방염처리를 한 후 물에 침수시켜 세척한 후에도 방염성능을 유지하는지 확인하였다. 목재는 방염처리 방법에 따른 방염효과를 비교분석하기 위하여 상압함침법과 진공가압법, 붓칠 등의 방법으로 방염처리 하였다. 볏짚의 방염성능은 콘 히터를 이용하여 착화지연시간을 측정하였으며 목재의 방염성능은 45도 연소시험과 콘 히터 실험을 통해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 특수 가연물인 볏짚의 경우 방염처리한 볏짚의 착화지연시간이 처리되지 않은 것보다 훨씬 길게 나타났으며 방염처리 후 물에 침수시켜 세척한 경우에도 처리되지 않은 시료에 비하여 착화지연시간이 길게 나타나 방염성능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재의 경우 진공가압법으로 방염처리한 시료의 방염효과가 가장 우수하였고 붓칠이나 상압함침한 경우에도 처리하지 않은 것보다 착화지연시간이 길게 나타나 화재 확산 예방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타올에 흡착된 아마인유와 올리브유의 자연발화에 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Spontaneous Ignition of Flaxseed Oil and Olive Oil Adsorbed on Towels)

  • 김경수;최유정;최재욱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8권2호
    • /
    • pp.324-332
    • /
    • 2022
  • 연구목적: 타올에 흡착된 기름에 의하여 점화원이 없는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되는 자연발화 실험을 하기 위하여 건성유인 아마인유와 불건성유인 올리브유를 사용하여 섬유에 흡착되었을 때 자연발화가 발생되는 현상을 실험을 통하여 화재가 발생되는 현상을 확인하였다. 연구방법: 시료용기를 실험장치에 넣은 후 시료의 중심온도 변화를 관찰하여 중심온도가 설정온도 보다 상승하고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를 「발화」로 판정하여, 시료의 중심온도 최대치를 확인한 후 실험을 중지하였으며, 시료의 중심온도가 설정온도와 유사하게 유지되었을 경우 「비발화」로 판정하고 실험을 중지하였다. 연구결과: 아마인유가 흡착된 타올은 5장, 10장, 15장에서 모두 시료용기 내의 온도가 급상승되고 연소가 발생되었으나, 불건성유인 올리브유는 탄소가 단일결합으로 되어 있어 건조가 어렵고 산소와의 결합이 어렵기 때문에 발화가 되지 않았다. 결론:건성유인 아마인유가 흡착된 타올의 량이 많을수록 설정온도에 도달되는 시간이 길어지는 현상으로 발화가 발생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건축구조물의 설계화재정립을 위한 실규모 화재실험 및 분석 (Experiment and Analysis of Real-Scale Fire Test for Establishment of Design Fire in Building Structures)

  • 서동구;권영진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4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19-120
    • /
    • 2014
  • In this study, we looked into the method to establish fire growth rate by buildings use for growing fire at the beginning of a fire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bles in a performance-based design. Actual conditions survey and literature review were carried out for the fire load and exposed surface area of combustibles to establish design fire by domestic building use. As a results, a simplified prediction equation of fire growth rate which depends on fire load and weight of combustibles could be derived by calculating the relation between the fire load and the fire growth rate of an initial fire through investigation of combustibles by domestic building use.Also,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lacement of combustibles and location of the ignition source, it was found that the influence of the materials of the combustibles and the materials of the combustibles adjacent to the ignition source is big. Though 4 different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for the evaluation, the result of comparing the findings with those of FGR model showed that the fire growth rate was similarly derived.

  • PDF

Ethylene Glycol과 Diethylene Glycol의 자연발화 특성과 활성화에너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Auto Ignition and Activation Energy of Ethylene Glycol and Diethylene Glycol)

  • 김정훈;최재욱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6-22
    • /
    • 2016
  • 자연발화 특성은 가연성물질의 취급 및 화재예방을 위한 중요한 인자이다. 본 연구는 ASTM D2155식 발화온도 측정장치를 사용하여 Ethylene Glycol (EG)과 Diethylene Glycol (DEG)의 자연발화 특성 및 활성화에너지를 고찰하였다. 최소자연발화온도의 경우 EG는 시료량 $75{\sim}160{\mu}{\ell}$의 범위에서 $434^{\circ}C$를 구하였고 DEG는 시료량 $130{\sim}150{\mu}{\ell}$의 범위에서 $387^{\circ}C$를 측정 하였다. 또한 시료량 $140{\mu}{\ell}$에서 순간발화온도를 측정한 결과 EG는 $579^{\circ}C$, DEG는 $569^{\circ}C$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측정된 발화온도와 발화지연시간의 측정값을 Semenov 방정식으로부터 최소자승법에 의하여 활성화 에너지를 구한 결과 EG는 25.41 Kcal/mol, DEG는 14.07 Kcal/mol을 구하였으며 DEG의 최소자연발화온도, 순간발화온도 및 활성화에너지가 EG보다 낮아 자연발화의 위험성이 더 높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Limonene - Expanded Polystyrene 혼합물의 자연발화 특성 (Autoignition Characteristics of Limonene - Expanded Polystyrene Mixture)

  • 송영호;하동명;정국삼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1-6
    • /
    • 2004
  • 감용제 limonene을 이용하는 EPS 자원 재활용 공정에 있어서, limonene - EPS 혼합 액체의 저장$.$취급시의 화재위험성 평가에 대한 기초 자료로 제시하고자 혼합물의 농도 및 시료양의 변화에 따른 최저발화온도를 측정하였고, 발화와 비발화 영역을 비교하였다. 발화온도를 예측하는데 있어서 가장 과학적인 원리로서 이용되고 있는 발화 지연 시간, 활성화 에너지 및 발화온도의 관계식을 선형회귀분석을 이용하여 ln t = 0.704/T-5.819로서 제시하였다. 또, 가연성 혼합물의 농도 변화에 따른 발화위험성을 예측하기 위하여 혼합물의 농도와 발화온도의 관계식을 비선형회귀분석을 이용하여 $T_m=248.32+69.27X+172.60X^2$로서 제시하였다. 그 결과, 발화 지연 시간과 발화온도와의 관계식 및 혼합물의 농도와 발화온도와의 관계식에 의해서 limonene - EPS 혼합물의 발화온도의 추정이 가능하게 되었다.

Vulnerability of Pinus densiflora to forest fire based on ignition characteristics

  • Seo, Hyung-Soo;Choung, Yeon-Sook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3권4호
    • /
    • pp.343-349
    • /
    • 2010
  • In Korea, man-caused forest fires are known originate primarily in coniferous forests. We have hypothesized that the vulnerability of Pinus densiflora forests is principally a consequence of the ignition characteristics of the species. To assess this hypothesis, we conducted two combustion experiments using fallen leaves with a reference species, Quercus variabilis. In the first experiments, in which a cigarette was employed as a primary heat source for the initiation of a forest fire, the Pinus leaves caught fire significantly faster (1'1" at Pinus, 1'31" at Quercus, P < 0.001), and ignition proceeded normally. Quercus leaves, on the other hand, caught fire but did not ignite successfully. In the second set of experiments utilizing different moisture contents and fuel loads, the maximum flame temperature of the Pinus leaves was significantly higher ($421^{\circ}C$ at Pinus, $361^{\circ}C$ at Quercus, P < 0.001) and the combustion persisted for longer than in the Quercus leaves (8'8" at Pinus, 3'38" at Quercus, P < 0.001). The moisture contents of the leaves appeared to be a more important factor in the maximum temperature achieved, where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burning time was the amount of fuel. Overall, these results support the assumption that Pinus leaves can be ignited even by low-heat sources such as cigarettes. Additionally, once ignited, Pinus leaves burn at a relatively high flame temperature and burn for a prolonged period, thus raising the possibility of frequent fire occurrences and spread into crown fires in forests of P. densiflora.

수송기관용 오일의 화재위험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ire Hazard of Transportation Oil)

  • 박영주;황미정;이해평;이승철;이창현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14-120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the study of the combustion and thermal characteristics through transportation oil for the analysis of fire hazard. Transportation oil breaks down into fuels such as diesel for civilian demands, gasoline, DF1(diesel for military), high sulfur diesel(for marine), kerosene and JP1(for aviation), and lubricants like brake fluid, power steering oil, engine oil, and automatic and manual transmission oil. The experiments of flash point, ignition point, flame duration time, heat release rate were carried out using TAG closed cup flash point tester(AFP761), Cleveland open cup auto flash point analyzer(AFP762), KRS-RG-9000 and Dual cone calorimeter. As a result, the fuel's ignition points were lower than lubricants, especially that of gasoline was not conducted as it has below zero one. Gasoline has the highest ignition point of about $600^{\circ}C$, while the other fuels showed $400{\sim}465^{\circ}C$. For flame duration time, lubricants had over 300 seconds, but fuels had less than 300 seconds except high sulfur diesel(350 seconds). Total heat release rate ranged $287{\sim}462kW/m^2$ for lubricants and gasoline showed the highest total heat release rate, $652kW/m^2$.

가연성 액체의 인화점과 화재특성치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Flash Point and Fire Properties of Flammable Liquids)

  • 송영호;하동명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1권2호통권35호
    • /
    • pp.10-14
    • /
    • 2007
  • 인화점은 가연성 액체의 화재 위험성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중요한 특성치 중의 하나이다. 가연성 액체의 상대적인 화재 위험성을 나타낼 수 있는 특성치로서는 열방출속도(HRR), 최대열방출속도(PHRR), 발화지연시간(TTI),질량 감소율, CO및 $CO_2$발생량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연성 액체의 가연성 액체의 인화점과 화재 특성치와의 관계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이를 위하여 질량 감소율과 TTI를 측정하여 화재 특성치를 계산하였다. 그 결과, 가연성 액체의 인화점과 TTI와 관련된 화재 특성치가 상관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로부터 가연성 액체 화재의 상대적인 위험성을 평가할 수 있는 파라미터로 사용할 수 있었다.

  • PDF

철도차량용 레졸계 페놀수지의 내열특성 비교 (Fire Characteristics Comparison of Resol-type Phenolic Resin for Interial Materials of Passenger Train)

  • 이철규;이덕희;정우성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77-283
    • /
    • 2004
  • The time to ignition, heat release rate characteristics and carbon monoxide yield of fiber reinforced and sandwich phenol resin were investigated with cone calorimeter. The fire characteristics of unsaturated polyester, mostly being applied to the existing passenger train, and phenolic resin were compared. Thermal gravimetric analysis(TGA) was used to monitor the degree of thermal decomposition for the phenolic resin. According to the cone calorimeter data, the time to ignition, heat release rate and CO yield was faster and higher as the external heat flux increase. Under the same heat flux, the time to ignition of sandwich type phenolic resin was shorter than that of fiber reinforced. The result of comparison between unsaturated polyester and phenolic resin was that phenolic resin was shown to have better fire resistance than that of unsaturated polyest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