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e Origin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22초

대순진리회 도장 건축물 내정(內庭)에 대한 연구 - 내정의 문헌 출처와 그 맥락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Naejeong (內庭) of Daesoon Jinrihoe Temple Complexes: Focusing on Literary Sources and Context)

  • 차선근
    • 대순사상논총
    • /
    • 제37집
    • /
    • pp.1-52
    • /
    • 2021
  • 대순진리회의 도장 건축물들 가운데 하나인 내정(內庭)은 대순진리회의 통솔·감독·운영을 상징하는 공간이다. 내정의 사전적 의미가 '궁(宮) 안에서 정사(政事)가 이루어지는 곳'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건물의 명칭과 기능은 일치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내정이라는 명칭은 어느 도교 경전의 한 구절과 관련이 있다는 이야기가 종단 내에서 구전으로 전해오고 있다. 그 경전이란 게 실재하는지, 또 어떤 내용과 문맥을 담고 있는지는 밝혀진 바가 없다. 이 글은 이에 주목하여, 대순진리회 내정의 전거(典據)로 알려진 문헌을 추적하고 그것이 『여조전서(呂祖全書)』 속에 휘집(彙集)된 『전팔품선경(前八品仙經)』의 「오행단효(五行端孝)」임을 소개하며, 그 문헌의 내용과 도교사적(道敎史的) 맥락을 고찰한다. 이 문헌의 탄생은 명말 청초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중국의 여러 지역에는 백성을 구제하고 신선술을 가르쳐준다는 이유로 여동빈을 신앙하는 일단의 지식인들이 있었다. 이들은 난단도교(鸞壇道敎) 공동체를 형성하여, 강신술(降神術)로 여동빈을 응하게 하고 강계(降乩)라는 방법을 사용하여 그에게 가르침을 받아 여러 도교 경전을 만들었다. 그들 가운데 몇몇은 1589년부터 1626년 사이에, 중국 광릉(廣陵) 만점(萬店)의 집선루(集仙樓)에서 여동빈으로부터 '오토결중곡(烏兎結中谷: 까마귀와 토끼는 중곡에서 모이고) 구사반내정(龜蛇盤內庭: 거북과 뱀은 내정에서 서로 얽혀있네)'이라는 문구가 든 경전을 강계로써 받아 「오행단효」라고 이름 지었다. 이 문구는 인체 내에 존재하는 음양과 수화(水火)의 두 기(氣)가 교구(交媾)하는 내단(內丹) 수련으로써 신선의 경지에 오름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그 수련은 효행을 극진히 해야만 가능하다고 한다. 구사합체(龜蛇合體)가 이루어지는 '내정'은 바로 그러한 수련으로써 신선으로 변하는 것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용어였다. 「오행단효」는 여동빈의 다른 가르침을 담은 경들과 묶여 『전팔품선경』으로 합본되었고, 1744년에는 32권 분량의 여동빈 전집(全集) 『여조전서』에 포함되어 처음으로 세상에 나오게 되었다. 이처럼 여동빈이 도교 경전을 통해 전한 '내정'이라는 용어에는 백성을 구제하고 신선술을 가르쳐준다는 여조신앙(呂祖信仰)과 난단도교, 효사상, 그리고 수화 교구의 내단술이 배경으로 자리하고 있다.

진사탁(陳士鐸) 임상 이론의 특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Jinsatak(陳士鐸)'s Clinic Theory)

  • 정경호;김기욱;박현국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1-51
    • /
    • 2009
  • The characteristics of Jin's ideas on clinic theory can be arranged as follows. 1. Jin emphasized warming and tonifying[溫補] in treatment and the part that shows this the best is the taking care of[調理] the Vital gate[命門], kidney, liver, and spleen. His ideas were based on his understanding of a human life's origin, and was influenced by Seolgi(薛己), Joheon-ga(趙獻可) and Janggaebin(張介賓)'s Vital gate and source Gi theory(元氣說) so scholastically, he has that in common with them but was later criticized by later doctors such as Oksamjon(玉三尊) as an 'literary doctor(文字醫)' who followed the ideas of "Uigwan(醫貫)". 2. The warming and tonifying school[溫補學派], who were influenced by Taoism, said in their theory of disease outbreak[發病學說] that since one must not hurt one's Yin essence and Yang fire [陰精陽火] there is more deficiency than excess, so that was why they used tonifying methods. Jin was also like them and this point of view is universal in internal medicine, gynecology, pediatric medicine and surgery and so on. 3. Jin, who saw the negative form of pulse diagnosis[診脈] emphasized following symptoms over pulse diagnosis using the spirit of ‘finding truth based on truth[實事求是]' in "Maekgyeolcheonmi(脈訣闡微)", but emphasized 'the combination of pulse and symptoms[脈證合參]'. He understood pulse diagnosis as a defining tool for symptoms, and in "Seoksilbirok(石室秘錄)" simplified pulse diagnosis into 10 methods : floating/sunken(浮沉), slow/fast(遲數), large/fine(大小), vacuous/replete(虛實) and slippery/rough(滑澀). 4. Jin used 'large formulas(大方)' a lot that usually featured a large dose, and in " Bonchosinpyeon(本草新編)" he thought of the seven formulas(七方) and ten preparations(十劑) as the standard when using medicine. He did away with old customs and presented a 'new(新)' and 'extra(奇)' point of view. He especially used a lot of Insam(人蔘) when tonifying Gi and Geumeunhwa(金銀花) when treating sores and ulcers. 5. In the area of surgery Jin gave priority to the early finding and treatment of disease with internal treatment[內治] and was against the overuse of acupuncture. However records of surgical measures in a special situation like lung abscesses(肺癰) and liver abscesses(肝癰), and anesthetic measures using 'Manghyeongju(忘形酒)' and 'Singoiyak(神膏異藥)' and opening the abdomen or skull, and organ transplants using a dog's tongue are important data. 6. Jin stated the diseases of Gi and blood broadly. Especially in the principles of treating blood, blood diseases had to be forwarded[順] and Gi regulation[理氣] was the number one priority and stated the following two treatments. First, in "Jeonggiinhyeolpyeon(精氣引血篇)" of volume 6 of "Oegyeongmieon(外經微言)", for the rules for treating blood he stated the pattern identification of finding Gi in blood and blood in Gi. Second, he emphasized Gi regulation(理氣) in blood diseases and stated that the Gi must be tonifyed after finding the source of the loss of blood.

  • PDF

한국 폐슬에 관한 연구 (A Study of Korean-styled Pasul)

  • 이정옥;이경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37-55
    • /
    • 1987
  • Pasul (Herein after referred to Korean-styled Pasul) to cover up the secrets, which has originated from Bool-an original mode of clothes is to put around a belt with a kind of towel. With the development of culture, it has been handed down the parts of ornamental and symbolic functions, losted its particular and original one. In general, we cannot exactly show when the Pasul has been used as a ritual dress, but, dare to maintain in this thesis, which has been used in Koguryu era. This thesis is summarized as follows: 1. The Bool, which is the first dress of all has its origin in the prehistory, and gradually has developed to a ceremonial dress with the help of man's intelligence. 2. Korean-styled Pasul has continuously been handed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to adding up, from Koguryu era to Yi dynasty). Today, the color of the Pasul is known as a pink one, but I, herein, would like to refer that king Kojong in Yi dynasty had on a yellow-colored Pasul. 3. With becoming to be a form of ceremonial dress, the Bool has become to be complicated in style. For example, in the Koguryu era, the style is in the form of 'U,' and in Koryu era, it is the echelon formation tinting a pink color and weaving a mountain and flare shaped designs, and its dimension, the upper is one ja (a ja means a unit of length, 0.33 M), the lower, two ja, its length three ja. The Bool of Yi dynasty tints a pink color, and weaves a seaweeds, rices, axes and shaped designs. The Pasul which King Kojong in Yi dynasty put in, was a yellow-colored one weaving dragons and fire shaped design. 4. The Pasul is a ceremonial dress used a ritual or court dress. The purposes of wearing it are to distinguish the upper from the lower classes, to make them abide by regulations, and to respect courtesy. Accordingly, the Pasul. as the dress for special occassions does make us review the old and learn the new. 5. The reason that Pasul has been handed down are: 1) richness and fecundity. 2) symbol mark to represent classicalism. 3) to symbolize the authority by putting on it, for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the upper from the lower classes along with the class consciousness in society. 6. On the basis of the study, the Pasul transition is to be handed down the function of the ornament and symbol. after losted its original functions, with the development of culture.

  • PDF

침구소난요지(鍼灸素難要旨)에 대한 연구(硏究) (A study on zhenjiusunanyaozhi(鍼灸素難要旨))

  • 심철웅;김재중;김장생;이시형
    • 대한한의정보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30-287
    • /
    • 2011
  • "zhenjiusunanyaozhi(鍼灸素難要旨)" is composed of three volumes and published in 1529 by Gao Wu(高武). Gao Wu(高武) is skillful in astronomy, the art of war and the law as well as a medical practitioner in Ming Dynasty. The books he wrote "zhenjiujuying(鍼灸聚英)", "zhizhi(直指)", "douzhenzhengzong(痘疹正宗)", "shexuezhinan(射學指南)", "zhenjiujieyao(鍼灸節要)". "zhenjiusunanyaozhi鍼灸素難要旨" is written by classifying the origin of acupuncture and moxibustion. In other words, it is edited by classifying the contents related to acupuncture and moxibustion out of the ancient Chinese medical book "yellow emperor's canon of medicine and yellow emperor eighty-one difficult" in which are composed of 3 volumes as follows, Volume 1 says the main diseases on "the nine acupuncture needles figure" (九針圖), "the reinforcing and reducing the meridian" (補瀉), "the needle depth" (針刺深淺), "the five shu points - metal, wood, water, fire, earth" (正,滎,輸,經,合) based on 18 chapters in terms of acupuncture in "yellow emperor eighty-one Difficult "難經"", in which it quotes the annotation of "the difficulty by the original meaning "難經本義"" written by Hua Shou(滑壽) in Yuan Dynasty. Volume 2 is composed of 2 parts. Part 1 says the method of treatment on 36 Chapters, the method of acupuncture use in the Linshu "靈樞" and the Suwen "素問" such as "the rule of acupuncture use" (用針方宜), "the nine-pin method" (九針式) and "the nine-pin to only use the time appropriate to consider nature of Heaven, Earth and person" (九針應天地人時以起用) etc., Part 2 says "the five difficult acupuncture(五亂刺)", "the rise and fall of energy and blood(氣血盛衰)". "the pain tolerance(耐痛)" and ect., in which are in terms of method of treatment collected the original texts of 59 chapters on acupuncture to each disease and of 8 chapters on moxibustion in the Linshu "靈樞" and the Suwen "素問". Volume 3 includes 10 chapters in which consist of "the stabbing to disease in 12 meridians (十二經病刺)", "the eight extra meridian disease (寄經八脈病)", "the twelve meridians(十二經脈)", "the fifteen collaterals (十五絡脈), the twelve meridian muscles (十二經筋)", "the acupoint (孔穴)" and etc. This is the book edited comprehensively by classifying the contents on the theory of acupuncture and moxibustion and the circulations of meridians in "yellow emperor's canon of medicine and yellow emperor eighty-one difficult" and there is no case story in particular except his comments in person. This study is for the purpose of helping researching and developing acupuncture and moxibustion and applying their clinical training.

  • PDF

강릉지역 산사태의 기하학적 특성과 절리특성에 관한 연구 (The Geometric Characteristics of Landslides and Joint Characteristics in Gangneung Area)

  • 조용찬;장태우
    • 지질공학
    • /
    • 제16권4호
    • /
    • pp.437-453
    • /
    • 2006
  • 2002년 태풍 '루사'로 인하여 집중호우가 내린 강릉지역에는 3,000개가 넘는 토석류 산사태가 발생하였다. 그 중에서도 산사태가 가장 집중적으로 발생한 강릉시 사천지역과 주문진-연곡지역의 산사태를 대상으로 야외조사를 통해 1,365개소의 산사태 자료를 수집하여 산사태 발생 원인과 기하학적 특징에 관해 분석하였다. 연구지역에 발생한 산사태의 평균규모는 폭 10 m, 길이 30 m, 사면경사는 $21^{\circ}{\sim}35^{\circ}$로 분석되었고, 산사태의 평면형상은 사태의 상단부보다 하단부의 폭이 넓은 'A'형태가 50.5%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그리고 사천면의 산불피해 지역은 산사태의 발생 빈도가 더 높게 나타나고 있다. 산사태가 발생한 사면의 방향은 일정한 경향을 보여주는데, 그 원인은 풍화에 의한 지형적 특징과 집중호우가 내릴 때 동반된 강한 바람의 영향인 것으로 해석되었다. 연구지역에서 249개의 절리를 측정하여 방향성을 분석하였으며, 절리밀도를 산정하기 위하여 51개소에서 창틀 조사방법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절리 밀도가 $0.05{\sim}0.1$ 범위에 해당하는 지역에서 산사태가 많이 발생하였다.

인원용사(人元用事)의 연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rigin of Human Governance Periods in the Hidden Stems)

  • 최원호;김나현;김기승
    • 산업진흥연구
    • /
    • 제9권1호
    • /
    • pp.203-212
    • /
    • 2024
  • 이 연구는 명리학에서 지장간(支藏干) 이론의 인원용사(人元用事)에 대한 타당성을 고찰해 보는 연구이다. 첫째는 지장간의 날짜를 배속해서 사령(司令)을 적용하는 이론이 있다. 둘째로는 월지 지장간에서 투출(透出)한 간(干)으로 취격(取格)하는 이론이 있다. 이 두 이론이 서로 상충 되어 혼란스러워하는 문제가 있기에 이 연구는 고전에서 나타난 지장간 이론을 살펴 인원용사의 변천 과정과 적용에 대한 타당성을 고찰했다. 연구 결과 첫째, 지장간의 변천 과정은 배속된 날짜 수가 역법에 맞지 않고, 간(干)의 배속도 명리 고서마다 일치하지 않는다. 둘째, 고전에는 오행을 72일 씩 분배한다 했으나, 오행 배속은 목(木)은 65일, 화(火)는 55일, 토(土)는 100일, 금(金)은 65일, 수(水)는 65일이다. 셋째, 인(寅), 신(申), 사(巳), 해(亥)월은 여기를 무토(戊土) 7일로 정했지만, 인(寅)월의 전 달은 축(丑)월이므로 여기는 기토(己土)가 되고, 신(申)월의 전 달은 미(未)월이므로 여기는 기토(己土)가 되는 것이 더 논리적이라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자(子), 오(午), 묘(卯), 유(酉)월은 오(午)월만 기토(己土)가 있지만, 그 근거가 합당하지 않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오행들의 월별 날짜 배속의 정확성 때문에, 사령을 적용하는 이론보다는 투간(透干)으로 취격(取格)하는 이론이 논리적으로 합당한 것이라고 사료된다.

한국의 세계기록유산 보존 현황 및 과제 (Preservation of World Records Heritage in Korea and Further Registry)

  • 김성수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27-48
    • /
    • 2005
  • 이 논문은 한국의 세계기록유산에 대하여 먼저 그 의미와 가치를 재확인하고, 이들 세계기록유산에 대한 보존 관리 및 그 현황을 조사하며, 한국의 기록유산을 디지털화 하는데 있어서의 문제점과 해결책을 모색하고, 추후 한국의 기록유산 중 세계기록유산으로 등록되기를 희망하는 4종의 기록물들에 대한 가치와 의의를 고찰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상세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제2장에서는 한국의 세계기록유산에 대한 가치와 의의를 고찰하였다. 먼저 세계기록유산의 선정기준과 절차 등을 먼저 파악하고, 한국의 세계기록유산인 "훈민정음" "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 "직지(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白雲和尙抄錄佛祖直指心體要節))"에 대하여 각각 그 가치와 의미를 분석하였다. 둘째, 제3장에서는 '한국의 세계기록유산 보존 관리 현황'에서는 세계기록유산을 보존하고 있는 <서울대학교 규장각> <국가기록원 부산기록정보센터> <간송미술관>의 기관별로 그 보존 관리 현황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이 3기관 모두 세계기록유산 보존 관리 현황은 '매우 우수하다'고 평가할 수 있었다. 즉, 1)그 세부적인 보안대책이 완벽하다. 2)그 보존방법에 있어서도 항온 항습의 특별한 서고를 별도로 마련하고, 이 서고 내에서 다시 '오동나무 상자 서장(書欌)'을 설치한 후, 이들 상자와 서장 속에 세계기록유산을 납입하여 보존하고 있다. 3)방화장치와 서고조명 및 소독 등에도 철저를 기하고 있음 등을 파악하였다. 셋째, 제4장에서는 '한국의 기록유산 디지털화 과제'에 대하여 개괄적으로 고찰하였다. 그 결과, 한국 기록유산의 디지털작업 및 DB구축에서 '디지털화 표준'이 가장 중요한 문제이며, 이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디지털화(Digitization)에 대한 총체적이고 표준적인 시스템의 개발이 시급함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국가기록관리시스템을 개발한 경험이 있는 <국가기록원>과 한국학 고기록물의 디지털화에 많은 관심을 가진 <문화재청>이 공동으로 노력하여, 한국학 관련 기록유산의 디지타이제이션(Digitization)에 대한 총체적이고 표준적인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됨을 파악하였다. 넷째, 제5장 '세계기록유산 등록을 추후 희망하는 한국의 기록유산'에서는 한민족의 기록유산 중에서 차후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기를 희망하는 4종 즉, 1)<해인사 고려대장경 경판>, 2)"동의보감", 3)"삼국유사", 4)"무구정광대다라니경"의 기록물에 국한하여, 그 어떤 의미에서 세계적인 가치와 의의가 있는가를 고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