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e Modeling

검색결과 339건 처리시간 0.035초

절차적 함수를 이용한 연기 모델링 및 렌더링 기법 (Smoke Modeling and Rendering Techniques using Procedural Functions)

  • 박상현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905-912
    • /
    • 2022
  •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 중 하나인 가상현실은 오큘러스로 대표되는 저가의 웨어러블 장치의 보급으로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 현실적인 위험성 문제로 실질적인 훈련이 거의 불가능한 재난 대피 훈련의 경우 가상현실은 효과적인 훈련을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대안이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가상현실로 구현되는 화재 대피 훈련 콘텐츠에 적용될 수 있는 연기 모델링 방법을 제안한다. 화재 발생 시 연기는 통로를 따라 확산되고 시간에 따라 연기의 밀도가 변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시뮬레이션을 통해 계산한 연기의 밀도값을 실시간으로 모델에 반영할 수 있는 절차적 함수를 적용하여 연기를 모델링한다. 공장을 배경으로 구현한 결과를 보면 제안하는 방법이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연기의 변화를 사실적으로 표현하는 것을 볼 수 있다.

Analysis of Changes in NDVI Annual Cycle Models Caused by Forest Fire in Yangyang-gun, Gangwon-do Using Time Series of Landsat Images

  • Choi, Yoon Jo;Cho, Han Jin;Hong, Seung Hwan;Lee, Su Jin;Sohn, Hong Gyoo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11
    • /
    • 2016
  • Sixty four percent of Korean territory consists of forest which is fragile for forest fire. However, it is difficult to detect the disaster-induced damages due to topographic complexity in mountainous areas and harsh weather conditions. For this reason, satellite imaging systems have been widely utilized to detect the damage caused by forest fire. In particular, ground vegetation condition can be estimated from multi-spectral satellite images and change detection technique has been used to detect forest fire damages. However, since Korea has clear four seasons, simple change detection technique has limitation. In this regard, this study applied the NDVI(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annual cycle modeling technique on time-series of Landsat images from 1991 to 2007 to analyze influence of forest fire of Yangyang-gun, Gangwon-do in 2005 on vegetation condition. The encouraging result was obtained when comparing the areas where forest fire occurs with non-damaged areas. The mean value of NDVI was decreased by 0.07 before and after the forest fire. On the other hand, annual variability of NDVI had been increasing and peak value of NDVI was stationary after the forest fire. It is interpreted that understory vegetation was seriously damaged from the forest fire occurred in 2005.

개구부를 통한 동시다발적인 화재성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ncurrent Fire Appearance through Openings)

  • 민세홍;이재문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6권2호
    • /
    • pp.90-96
    • /
    • 2012
  • 외장재에 의한 수직화재확산은 확산속도가 구획화재에 비해 매우 빨라 이에 대한 화재의 특성 분석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건물 외부에서 발생한 화재가 연소 확대되면서 수직으로 상승하여 개구부를 통해 유입되는 화재의 성상에 대해서 외장재로 널리 사용되는 심재가 폴리에틸렌인 일반 알루미늄복합패널에 대해 화재시뮬레이션을 적용하여 연구하였다. 그 결과, 수직확산화염은 화재초기에 2층까지 상승하는 데는 약 135초가 걸렸지만 10층까지는 470초, 최고층인 30층까지 상승하는 데는 711초에 도달하는 것으로 분석되어 고층부로 갈수록 난류 및 외장재 설치공간의 연돌효과에 의해서 급격히 확대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 외장재가 설치된 건축물의 화재 시 개구부를 통한 화재는 동시다발적으로 그 건물의 내부에 확대되는 심각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3D Laser Scanning을 활용한 화재 손상 부위의 보수·보강 물량 산출 방식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Repair and Reinforcement Quantity Take-off in Fire-damaged Area Using 3D Laser Scanning)

  • 정희재;함남혁;이병도;박광민;김재준
    • 한국BIM학회 논문집
    • /
    • 제9권1호
    • /
    • pp.11-21
    • /
    • 2019
  • Recently, there is an increase in fire incidents in building structures. Due to this, the importance of fire-damaged buildings' safety diagnosis and evaluation after fire is growing. However, the existing fire-damaged safety diagnosis and evaluation methods are personnel-oriented, so the diagnostic results are intervened by investigators' subjectivity and unquantified. Thus, improper repair and reinforcement can result in secondary damage accidents and economic losses. In order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this study proposes using 3D laser scanning technology. The case analysis of fire-damaged building structure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accuracy and manpowering by comparing the existing method and the proposed method. The proposed method using 3D laser scanning technology to obtain point cloud data of fire-damaged field. The point cloud data and BIM model is combined to inspect the fire-damaged area and depth. From inspection, quantified repair and reinforcement quantity take-off can be acquired. Also, the proposed method saves half of the manpowering within same time period compared to the existing method. Therefore, it seems that using 3D laser scanning technology in fire-damaged safety diagnosis and evaluation will improve in accuracy and saving time and manpowering.

Evaluation on Sensitivity and Approximate Modeling of Fire-Resistance Performance for A60 Class Deck Penetration Piece Using Heat-Transfer Analysis and Fire Test

  • Park, Woo Chang;Song, Chang Yong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41-149
    • /
    • 2021
  • The A60 class deck penetration piece is a fire-resistance apparatus installed on the deck compartment to protect lives and to prevent flame diffusion in the case of a fire accident in a ship or offshore plant. In this study, the sensitivity of the fire-resistance performance and approximation characteristics for the A60 class penetration piece was evaluated by conducting a transient heat-transfer analysis and fire test. The transient heat-transfer analysis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fire-resistance design of the A60 class deck penetration piece, and the analysis results were verified via the fire test. The penetration-piece length, diameter, material type, and insulation density were used as the design factors (DFs), and the output responses were the weight, temperature, cost, and productivity. The quantitative effects of each DF on the output responses were evaluated using the design-of-experiments method. Additionally, an optimum design case was identified to minimize the weight of the A60 class deck penetration piece while satisfying the allowable limits of the output responses. According to the design-of-experiments results, various approximate models, e.g., a Kriging model, the response surface method, and a radial basis function-based neural network (RBFN), were generated. The design-of-experiments results were verified by the approximation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among the approximate models, the RBFN was able to explore the design space of the A60 class deck penetration piece with the highest accuracy.

소방공무원들이 인지하는 소방장비 보급으로 소방장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소방장비 신뢰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Influence on the Satisfaction of Fire Fighting Equipment by Distribution of Fire Fighting Equipment: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Reliability of Fire Fighting Equipment)

  • 이선범;김양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677-684
    • /
    • 2017
  • 본 연구는 소방장비의 발전을 위해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소방공무원들이 인지한 소방장비 보급이 소방장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 두변수 사이에서 소방장비 신뢰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기도 7개 소방서의 소방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자료는 AMOS 18.0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방장비 보급량의 적절성과 보급의 적시성은 소방장비 신뢰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소방장비 신뢰성은 소방장비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소방장비 보급량의 적절성은 소방장비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소방장비 신뢰성은 소방장비 보급량의 적절성과 소방장비 만족도와의 관계에 있어서 부분매개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유해화학물질의 종합위해등급 알고리즘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otal Hazard Level Algorithm Development for Hazardous Chemical Substances)

  • 고재선;김광일;정상태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7-16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대상물질을 선점한 후 그에 따른 세 가지 기준 즉 독성, 화재폭발, 환경기준과 각각의 피해예측기법을 설정하고 이 기준들을 알고리즘을 통한 통합한 종합위해등급으로서 선정된 대상물질에 적용하였다. 특히, 환경기준은 포괄적인 개념으로서 USCG 및 MSDS의 환경기준 분류와 NFPA의 건강위해성(Nh) 중 환경관련 부분을 조합하여 환경지수 모델화를 하였다. 또한 각 기준에 따른 피해예측 기법을 선택하여 지역별 인의에 위치한 화학물질 관련업체에 사용 또는 저장 중인 유해화학물질에 대해 적용하여 사용물질에 대한 종합위해등급 설정(단일물질에 대한 가연성, 독성, 반응성, 환경성에 대한 Hazard level 및 표시 모델화) 및 그에 따른 사고시 피해예측 강도산정 (CPQRA, IAEA, VZ eq), Risk contour를 구할 수 있었다. 이 결과 모든 화학공정 및 저장 등에서 발생할 수 있는 독성 누출, 화재폭발의 잠재적 위험성산정을 통한 안전성 평가의 Tool로 활용이 가능하다.

  • PDF

PLS-SEM을 이용한 강원도 산불 발생의 영향 요인 평가 : 가뭄 및 기상학적 요인을 중심으로 (Evaluating Impact Factors of Forest Fire Occurrences in Gangwon Province Using PLS-SEM: A Focus on Drought and Meteorological Factors)

  • 유지영;한정우;김동욱;김태웅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1권3호
    • /
    • pp.209-217
    • /
    • 2021
  • 산불은 대부분 인위적인 원인에 의해 발생되지만, 산불의 피해가 대규모로 확산하는 연소 조건은 자연현상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인자 사이의 의존 및 인과관계를 분석할 수 있는 부분최소제곱 구조방정식 모형(PLS-SEM)을 이용하여 기상 및 가뭄이 산불 발생에 미치는 인과관계와 영향 정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지난 2015년부터 약 5년 기간 동안 발생한 강원도 산불에 미치는 가뭄의 영향은 27 %, 기상학적 영향은 38 %로 확인되었다. 또한, 강원도에서 발생한 산불 중에서 봄철에 발생한 산불은 약 60 %의 비율을 차지하며, 이는 기상학적 요인과 더불어 이전 연도의 가을과 겨울철 가뭄이 산불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된다. 산불 발생위험을 평가하는 데 있어 극심한 기상학적 가뭄이 가을과 겨울철에 발생했다면, 이듬해 봄에는 산불의 발생확률은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

BIM 기반의 인간행동 시뮬레이션이 건축설계교육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무장애와 안전 및 피난설계의 성능탐구와 평가를 중심으로- (Effectiveness of BIM-based Human Behavior Simulation on Architectural Design Education -Focused on Exploration and Evaluation of Barrier-Free and Fire Evacuation Performances-)

  • 홍승완;박지영
    • 한국BIM학회 논문집
    • /
    • 제10권4호
    • /
    • pp.1-10
    • /
    • 2020
  • While the importance of barrier-free and fire evacuation design is highlighted in architectural design education, systemic analysis, and examination on such performances are still challenging due to methodological lacks.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iveness of BIM-based human behavior simulation for architecture major students' analytical examinations to promote barrier-free and fire evacuation performances. To achieve such an aim, quasi-experiments were conducted, which compare 50 students' analysis and examination scores according to the use and non-use of the simulation, and the data were collected via participants' survey and interview. As a result, T-Test and MANOVA analyses indicate that, compared with its non-use counterpart, the use of human behavior simulation better facilitates the students' (1) examination of the physical properties and dimensions for the disabled's accessibility and evacuation, (2) understanding of the bodily capacity and handicap of the disabled, (3) examination on the spatial layouts and locations of exits, (4) understanding on evacuees' urgent behaviors, and (5) responsibility as an architect. Based on previous studies, the reasons of statistical results are interpreted as the explicit observation and analytical measures of multiple numbers of virtual-evacuees and direct-experience from body range of the disabled responding to the populated occupants as what they face in authentic reality.

아트륨 빌딩에서의 사무실과 아트륨간의 화재확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ire Spread between Office Room and Atrium in the Atrium Building)

  • 이수경;김종훈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78-83
    • /
    • 2000
  • 일반적으로 국내에서는 아트륨과 사무실 공간 사이를 내화구조로 하거나 방화셔터를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선진외국에서는 이미 아트륨과 사무실 공간 사이에 유리벽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단, 유리벽면을 따라 방호용 스프링클러를 설치한다는 조건에서 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 각 시나리오에 대하여 화재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인 FASTLite와 BREAK1을 사용하여 화재 전파 및 위험성을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아트륨과 사무실간에는 아트륨의 규모가 크고 상부가 충분한 연기와 열기의 조정이 가능하고, 창문을 사이에 두고 일정간격으로 스프링클러 헤드를 설치하여 충분히 화재로부터 유리를 보호할 수 있는 경우 방화구획으로 인정 해주어야 할 것이다. 또한 충분한 연기와 열의 제어가 가능한 것이 공학적인 화재분석방법을 통해 인정받은 경우에는 아트륨과 주변 사무실간의 완전개방도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