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e Hazard

검색결과 552건 처리시간 0.029초

플라스틱 부유 분진의 폭발특성과 화염전파속도 (Explosion Characteristics and Flame Velocity of Suspended Plastic Powders)

  • 한우섭;이근원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4권3호
    • /
    • pp.367-373
    • /
    • 2016
  • 산업분야에서 사용되는 플라스틱 분진은 대부분 가연성이며 화재폭발사고 위험성이 있다. 그러나 산업현장에서 안전한 취급을 위해 활용할 수 있는 폭발특성 자료는 매우 적다. 본 연구에서는 사업장에서 취급하는 다양한 플라스틱 분진 의 폭발특성을 실험적으로 조사하여 관련 자료와 안전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20 L 분진폭발시험장치를 사용하여 각종 폭발특성값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ABS ($209.8{\mu}m$), PE ($81.8{\mu}m$), PBT ($21.3{\mu}m$), MBS ($26.7{\mu}m$) 및 PMMA ($14.3{\mu}m$)시료의 분진폭발지수($K_{st}$)는 각각 62.4, 59.4, 70.3, 303, 203.6[$bar{\cdot}m/s$]의 값이 얻어졌다. 또한 플라스틱 분진폭발에 의한 피해예측을 위하여 분진폭발압력에서 분진의 연소속도가 일정하다고 가정하고 최대압력소요시간 및 화염도달시간을 고려한 화염전파속도모델을 통하여 분진폭발시의 화염전파속도를 추정하였다.

실리콘/펄라이트 복합체의 난연 특성 (Fire-Retardation Properties of Silicone/Perlite Composites)

  • 이병갑;원종필;장일영;방대석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11년도 정기 학술발표대회
    • /
    • pp.154-154
    • /
    • 2011
  • 최근 세계 각지에서 발생하는 대규모 터널 화재사고는 많은 사상자를 동반하고 이에 따른 경제적, 사회적 손실 또한 방대하게 진행되는 실정이다. 터널 구조물의 화재 특성상 외부에 쉽게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화재 발생 시 화재에 노출된 표층이 박리되거나 비산해서 단면결손이 생기는 폭렬 현상(explosive spalling)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폭렬 현상은 붕괴와 같은 대형 참사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터널 내 화재 발생 시 콘크리트 구조물의 폭렬에 의한 붕괴를 예방하기 위하여 이액형 상온경화 실리콘 고무와 인체에 무해한 친환경 첨가제인 펄라이트를 일정한 혼합비(5wt%, 10wt%, 15wt%, 20wt%)로 혼합하여 고성능 난연 복합체를 제조하고, 열적 특성과 난연 특성을 연구를 진행하였다. 열적 특성에 관한 시험으로 TGA를 측정하였으며, 난연 특성에 관한 시험으로는 화염 시험, 내화로 시험, 탄화로 시험을 진행하였다. 우선 TGA 시험은 $20^{\circ}C/min$ 승온 속도로 $800^{\circ}C$까지 실험을 하였고, 화염 시험은 제작한 시편과 gas torch($1200^{\circ}C$)의 화염 거리를 약 10cm로 하여 약 1시간 동안 시험을 하였다. 내화로 시험은 내화로 장치를 이용하여 RABT curve(5분만에 $1200^{\circ}C$도달 후 한 시간 동안 유지 후 냉각, 총 시험 시간 180분) 조건을 만족하는 환경에서 제작한 시편을 콘크리트에 부착하여 콘크리트의 내부온도를 측정하였다. 탄화로 시험은 탄화로 장치를 이용하여 $2^{\circ}C/min$ 승온속도로 $900^{\circ}C$까지 실험을 하여 외부 형태 변화를 관찰하였다. 각각의 시험 결과 TGA 열분해 결과 순수한 실리콘 고무보다 난연제인 펄라이트를 첨가했을 때 더 높은 온도에서 초기 분해 거동을 보였으며, 최종 잔류량은 80%를 보였고, 5 wt%의 펄라이트가 혼합된 시편의 최종 잔류량이 높은 것으로 보아 열분해에 가장 강한 조성임을 알 수 있었다. 화염 시험 결과 펄라이트가 혼합된 모든 시편에서 $300^{\circ}C$가 넘지 않은 결과를 보였다. 이는 제조된 복합체가 화염에 직접적으로 장시간 노출이 되어도 안전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내화로 및 탄화로 시험 결과 펄라이트가 15wt%와 20wt%가 첨가된 시편들보다 5wt%와 10wt% 첨가된 시편들이 고온에서 안정하다는 것을 보였다.

  • PDF

일부 산업보건관련 기관의 분석실험실 안전보건에 관한 실태와 대책 (A Survey and Recommendation on Safety and Health for Occupational Health Laboratories)

  • 유계묵;노영만;한진구;원정일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50-164
    • /
    • 2000
  • This study was conducted at occupational health laboratories in Seoul and Gyunggi district area from December, 1999 to January, 2000.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actual condition of safety and health by questionnaire and checklist and to assess the performance of fume hoods and the airborne exposures to chemicals in the laboratories. The chemicals in the cabinet were not classified by hazardous properties and the compressed gases were not stored safely. The prevalences of laboratories having first aid kits, fire extinguishers, and safety showers were found to be 18%, 55%, and 9%, respectively. Most laboratory workers were not educated for safety and health. Also, there was no performance evaluation for hazards and risks. The fume hoods in laboratories had not been annually inspected by checklist and the face velocity had been checked more than one time in the previous year for only 18% of them. Five percent of fume hoods had the face velocity more than 4.0 m/sec and 17% had no capture performance. Detected organic solvents were methylenechloride, acetone, ethylbenzene, isopropanol, xylene, methylisobutylketone, trichloroethylene, and toluene. The concentrations of organic solvents were much less than the occupational exposure limits proposed by the Ministry of Labor in Korea. This study showed that the actual condition of safety and health was not appropriate for laboratory workers. It is recommended that laboratory workers should be educated for the treatment and storage of hazardous chemicals and compressed gases to improve the working environment of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laboratories.

  • PDF

화산재대응시스템을 위한 항공교통정보 프레임워크 (The Framework of Aeronautical Information System for Volcanic Ash Hazard Management)

  • 남두희;이진선;이상수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166-175
    • /
    • 2017
  • 최근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항공교통량이 증가하는 가운데 한반도 주변국의 화산분화로 인하여 항공로에 많은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화산분화로 인한 항공산업의 손실을 줄이기 위하여 국내의 항공현황 및 항공로를 분석하고, 한반도 주변국의 화산분화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항공교통에 대한 피해정도를 예측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한 관련 화산재, 항공정보를 수집하고 처리하는 프레임워크가 필요하다. 항공로와 공항의 폐쇄에 따른 항공교통 피해를 계산하기 위해 GIS geometry analysis기법을 사용하여 항로, waypoints, 공항의 화재 영향 여부를 판별하는 체계를 제시하였다. 화산이 분화하였을 때 타 분야와는 달리 항공에 대한 영향은 바로 집계가 가능한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해 실시간 항공정보의 수집과 저장은 매우 중요한 요소로 화산재대응시스템의 구성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생강 저장굴에서 발생한 건강 피해의 원인 조사 (Investigation of Health Hazards in the Underground Storage Facilities of Ginger Roots)

  • 배근량;임현술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5권1호
    • /
    • pp.72-75
    • /
    • 2002
  • Objectives : To evaluate the health hazards in the underground storage facilities of ginger roots. Methods : The authors reviewed the emergency rescue records from the Seosan fire department over the period Jan 1, 1996 to Aug 31, 1999. The atmospheres in 3 different underground storage locations were analyzed for $O_2,\;CO_2,\;CO,\;H_2S\;and\;NH_4$. Results : From the emergency records, we were able to identify 20 individuals that had been exposed to occupational hazards in the underground storage facilities. Among these 20 cases, 13 were due to asphyxiation (resulting in f deaths) and 7 were due to falls. In the first atmospheric tests, peformed on Feb 25, 1998, the O2 level inside the underground storage facility, located about $5{\sim}6$ meters below the surface, was 20.6% and the $CO_2$ level was about 1,000 ppm. CO, $H_2S\;and\;NH_4$ were not detected. In the second tests on Jul 6, 1999, measurements of the $O_2$ level at 3 meters below the surface in two different storage locations were 15.3 and 15.1%. And the $O_2$ levels inside the storage facilities were 12.2 and 12.1%. The $CO_2$ level was above 5,000 ppm (beyond upper limits of measurement). CO, $H_2S\;and\;NH_4$ were not detected. Conclusions : We conclude that asphyxiation in the underground storage facilities for ginger roots was not due to the presence of toxic gases such as CO, $H_2S\;and\;NH_4$, but rather the exclusion of oxygen by carbon dioxide was responsible for causing casualties. For the development of a hazard free working environment, safety education as well as improvements in storage methods are needed.

열매체유의 인화성과 열안정성 (Flammability and Thermal Stabilities of Heat Transfer Oils)

  • 이근원;이정석;최이락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82-87
    • /
    • 2011
  • 열매체유는 화학공장의 가열시스템, 열교환 시스템, 가스플랜트 공정, 사출성형 시스템 및 펄프제지 공정 등에 사용된다. 열매체유는 고열이나 산화분해에 아주 안정하고 저항성이 있으며, 누출이나 방출의 경우 점화원을 만나면 쉽게 발화한다. 본 논문은 열메체유의 신유와 사용유에 대해 인화성과 열적 안정성을 고찰하였다. 열매체유의 인화성은 인화점과 자연발화점을 측정하여 평가하였고, 열적안정성은 열안정성시험기와 시차주사열량기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실험결과로부터 열매체유의 적절한 사용과 취급과 관련된 안전대책 수립을 위해 화재 위험 특성을 제시하였다.

위험물 저장시설의 무기질 바닥마감재와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and Construction Methods of the Inorganic Floor Finishing Material of Hazardous Material Storage Facilities)

  • 오동석;유철희;김병덕;김흠;박상민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5-43
    • /
    • 2014
  • 무기질 바닥마감재로 기존 위험물 저장시설의 유기질계 바닥재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다. 하지만 기존 시공된 바닥재를 제거하는데 있어서 제거기와 바닥재의 물리적 충돌에 의해 불꽃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위험물 저장시설에서의 폭발에 의한 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요소를 억제하도록 기존 바닥재를 제거하지 않고 시공할 수 있다. 또한, 상도제는 대전방지제가 함유되어 있어 위험물 저장시설에 있어서 바닥마감재 시공 후 발생될 수 있는 정전기에 의한 2차적 피해를 억제 할 수 있어 효과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무기질 바닥마감재는 점검자의 안전 관리적 측면과 경제적 측면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e-CA(e-Consequence Analysis)를 활용한 위험설비의 비용 분석에 관한 연구 : 강관제조업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st Analysis of risk facilities using e-Consequence Analysis - Focusing Steel pipe Industry)

  • 권혁민;황용우;이익모;천영우;최영훈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7-36
    • /
    • 2018
  • The steel pipe manufacturing industry deals with facilities and materials. Especially thermal facilities are close to vapor cloud explosion (VCE) and may cause secondary damage to facilities because they deal with corrosive substances such as hydrofluoric acid, sulfuric acid and acid, fire, explosion, leakage etc. It is in danger. In this study, hazard identification method was conducted using HAZOP techniques and quantitative risk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e-CA, a program that supports accident impact analysis. Equipment in the influence range of ERPG - 3 was determined to be a facility requiring replacement. It was decided that neutralization is necessary using slaked lime. Based on the cost of loss, We presented the proper replacement which is the timing of the dangerous facility. As a result, It was ideal to replace the facilities with 20 years of heat treatment facilities, one year of hydrofluoric acid storage tank, 20 years of sulfuric acid storage tank, and 5 years of hydrochloric acid storage tank.

쿼드콥터형 드론에 설치된 가스총 결합유닛의 개발 (Development of the Connection Unit with a Gas Gun Installed in a Quadcopter-type Drone)

  • 전준하;강기준;권현진;장세명;정재복;백재구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6권9호
    • /
    • pp.774-781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쿼드콥터형 소형 무인 드론에 이산화탄소를 작동 기체로 하는 가스총을 설치하여 가축 방역에 응용할 수 있는 발사체 및 결합 유닛을 개발하였다. 시스템은 상용 드론과 가스총, 솔레노이드 밸브, 무선 통신 제어기 등으로 구성된다. 발사된 탄환의 속도를 측정하고, 지상 시험, 실제 비행체에의 탑재 시험 등을 거쳐 최종 검증하였다. 본 연구 개발을 통하여 농업, 소방 등의 다양한 방역 및 방재 분야에 발사체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분진발생지역의 현장실측과 분석을 통한 위험성 평가 (A Risk Assessment in According to Spot Measures and Analysis in Dust Generation Area)

  • 송길목;김영석;김종민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2권9호
    • /
    • pp.103-110
    • /
    • 2008
  • 전기안전 측면에서 전기설비의 환경영향을 평가하고 국내규정에 맞도록 개선하기 위한 검토가 필요하다. 본 논문은 분진발생지역에서 현장실측과 분석을 통해 위험성을 평가하였다. 분진은 절연재료 표면에 부착되어 사고의 원인이 된다. 분진에 의한 전기사고의 메커니즘에 있어서 분진이 전기설비에 쌓이던, 누설전류가 흐르고, 표면이 탄화된다. 이후 줄열에 의해 전기화재가 발생한다. 실태조사결과, 보호 장치 또는 분전함에서 분진이 발견되었으며, 포집된 분진은 포집량과 도전율이 각각 달랐다. ICP-AES에 있어서 대체로 나트륨성분이 검출되었고 고무재생공장의 경우에는 아연과 칼슘성분이 검출되었다. 하수처리장에서는 나트륨, 마그네슘, 철, 칼슘, 알루미늄 등의 성분이 검출되었다. 따라서, 현장실측과 분진의 분석은 분진발생지역에서의 전기적 위험성 평가의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