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e Exit

검색결과 146건 처리시간 0.023초

ㄷ자형 초등학교의 비상구를 중심으로 한 정량적 배치방법 (Systematic Emergency Exit Planning Method in School Design)

  • 이승선;권준범;정인재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35-42
    • /
    • 2011
  • This study examined emergency exit location with the most representing school floor type with a mathematical model that applied optimized algorithm in the field of engineering. Recent school buildings became much more diverse in floor planning than the old days. Nevertheless, architect's approach to building prevention against fire related emergency planning still relies on an personal experience and knowledge. Therefore, since school buildings are much more likely to be exposed to any fire related events, emergency exit planning has to be seriously evaluated with a scientific method. The algorithm, which acquires the number of persons in each spatial type(node) and the minimum physical distance between spatial types(arc), can propose the most optimized emergency exit locations. Consequently, this study compared an architect's fire exit planning with the scientific outcome of this study and suggested the most reliable emergency exit locations.

  • PDF

폐기물 처리시설 홍보실내 화재 및 피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ire and Evacuation in the Public Relations Room of Waste Treatment Facilities)

  • 이재영;전용한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7-22
    • /
    • 2021
  • The public relations room of the waste disposal facility is a space that can be visited by a large number of unevaluated personnel.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design against fire, and research on fire and evacuation is essential. In this study, in order to evaluate the safety of the occupants in the event of fire and evacuation based on the life safety standards of occupants, the increase in risk due to heat, visible distance, and toxic gases on a plane 1.8m from the floor, which is the limit of breathing of the evacuee, over time. It was analyzed by location. As a result, the RSET of the P-01 exit was 93.0 seconds and the ASET was 272.6 seconds, the RSET of the P-02 exit was 45.8 seconds, the ASET was 147.7 seconds, the RSET of the P-03 exit was 106 seconds, and the ASET was 182.9 seconds.

휘도비 측정을 통한 유도등의 경년변화 연구 (A Study on the Aging Change of Exit Light by Measuring the Ratio of Luminance)

  • 정종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3권6호
    • /
    • pp.181-185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유도등의 광원과 경년변화에 따른 휘도성능을 분석하기 위하여 사무실, 상가, 병원, 공장 등에 설치된 유도등을 발취하여 CCFL, LED광원별 경년변화에 따른 휘도성능을 분석하였다. 이는 유도등과 같은 전기적 특성을 갖는 소방제품은 설치된 곳의 주위온도나 습도, 먼지 등이 그 성능에 변화를 줄 수 있기 때문에 설치장소별로 발취하여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CCFL유도등은 대형, 중형, 소형 모두 '휘도비 2'정도의 값을 나타내었다. 기술기준 규정값이 '휘도비 9이하'인 점을 감안할 때 매우 양호한 값을 나타냈으며, 경년변화에 의한 휘도비 변화도 거의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LED유도등은 '휘도비 5'정도의 값을 나타냈으며, 이는 표시면의 빛이 균일하지 못함을 뜻한다. 또한 경년변화에 의한 휘도비 변화는 거의 없으나, 휘도비의 값은 LED유도등보다 크게 나타났다. 이는 시각적인 측면에서는 만족스럽지 못한 결과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LED광원의 빛 분산이 필요하며 휘도비 관련 규정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지하상가 출입구 방풍문 설치에 따른 피난안전해석 (Evacuation Simulation for the Exit with a Windbreak Door in Underground Arcade)

  • 최영상;전흥균;추홍록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3권3호
    • /
    • pp.1-10
    • /
    • 2009
  • 지하상가는 특성상 출입구에 문을 설치할 경우 피난안전에 미치는 영향을 더 면밀하게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미 사용 중에 있는 지하상가의 출입구 중 일부 출입구에 문을 설치하는 경우에 대해 CFAST로 화재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building EXODUS 피난시뮬레이션의 위험인자로 활용하여 화재위험을 고려한 피난해석을 하였다. 지하상가의 6개 출입구 중에 2곳에 문을 설치할 경우에 대해 화재피난과 일반피난으로 나누어 1,088명에 대해 피난해석을 하였다. 일반피난의 경우는 문 설치에 따른 영향이 거의 없었으나 화재피난의 경우는 문 설치로 인해 약 110초의 피난지연이 발생하였다. 또 자동문이 설치된 경우는 자동문이 열리지 않을 때가 문 설치 전보다 670초 피난지연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자동문은 화재감지기와 연동하여 개방된 상태로 정지하도록 설치되어야 하고, 문을 설치할 경우 피난안전을 위해 피난유도표시를 보강하는 것도 필요하다.

선박 화재 시 선내의 연기농도가 승객의 피난시간에 미치는 영향 (A Case Study on the Passengers' Evacuation Times according to the Fire Smoke Density On a Ship)

  • 황광일;신동걸;김유진;윤정하;이상일;홍원화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3권2호
    • /
    • pp.336-343
    • /
    • 2009
  • Because ships are very isolated and independent objects when sailing on the ocean, if a fire and smoke occurs, nobody can be sure to escape safely from ship at the moment. On the focu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ight transmissivity by fire smoke density and the life safety, this study performs simulations and experiments, respectively. To evaluate the theoretical evacuation time, CFAST software which is known as a 2 zone model analysis tool is used, and the result is 54 seconds from ECR(Engine Control Room) exit to upper deck exit and 34 seconds from bosun store to upper deck exit. And totally 12 types of experiments are performed with other 10 persons per experiment. As the result, it is cleared that the low sight transmissivity leads to the low life safety and the obstruction which can be happen unexpectedly on the evacuation way on fire makes it worse. At the condition of the smoke density 0%, over 90% people arrive at upper deck exit safely. But with the transmissivity of 8%, 70%(from ECR) and 30%(from bosun store) among experiment persons of each can survive, and with same density and unexpected obstruction, the survival ratio goes down to only 20% and 10%.

건물화재의 정전시 축광유도표지가 피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hotoluminescent Exit Signs in Evacuation in the Event of Failure of the Power from the Building Fire)

  • 허만성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69-74
    • /
    • 2005
  • 본 연구는 건물화재의 정전시 완전 암흑상태에서 축광유도표지가 피난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기 위하여 조사하였다 실험조사는 대구 Fire EXPO '05에 실험 장치를 전시하여 엑스포 관람자 520명을 대상으로 2005년 5월 26일부터 29일까지 실시되었다. 실험 조사결과 안전 암흑상태일 때 피난자세는 남자의 경우 $70\%$, 여자는 $72\%$가 벽을 더듬으며 피난한 반면에 축광유도표지가 설치된 경우에는 남자의 경우 $88\%$, 여자의 경우 $83\%$가 선채로 피난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나이별, 신장별, 시력별로 53초에서 64초까지 피난시간이 단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건물의 바닥에 축광유도표지를 설치하면 화재시 정전이 되더라도 평소와 다름없이 피난을 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Radio Frequency Based Emergency Exit Node Technology

  • Choi, Youngwoo;Kim, Dong Kyoo;Kang, Do Wook;Choi, Wan Sik
    • Journal of Positioning, Navigation, and Timing
    • /
    • 제2권1호
    • /
    • pp.91-100
    • /
    • 2013
  • This paper introduces an indoor sensor fusio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hich provides the Location Based Service (LBS) using fire prevention facility. The proposed system can provide information in real time by optimizing the hardware of Wi-Fi technology. The proposed system can be applied to a fire prevention facility (i.e., emergency exit) and provide information such as escape way, emergency exit location, and accident alarm to smart phone users, dedicated terminal holders, or other related organizations including guardians, which makes them respond instantly with lifesaving, emergency mobilization, etc. Also, the proposed system can be used as a composite fire detection sensor node with additional fire and motion detect sensors.

유도등 설치유형 및 피난구 출입문 개폐방향에 따른 재실자의 피난경로 선택패턴분석 (Analysis of Evacuation Route Selection Pattern of Occupant according to Installation Type of Exit Light and Opening/Closing Direction of Door)

  • 정종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3권6호
    • /
    • pp.28-34
    • /
    • 2019
  • 본 연구는 공간의 형태와 출입문의 개폐방향, 유도등 픽토그램의 형상에 따라 재실자(피실험자)들의 경로선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기 위한 것으로 컴퓨터 가상현실을 활용한 시뮬레이션 실험을 통해 수행하였다. T형 복도와 +형 복도를 대상으로 하여 시나리오별로 피난구유도등, 복도통로유도등을 배치하고 이를 컴퓨터 그래픽화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피난구유도등 픽토그램의 2가지 방향(좌, 우)에 대한 인간 행동의 반응(응답)과 출입구의 열리는 방향에 따른 영향 등을 분석하였다. 또한 통로유도등의 존재 유무에 따른 의사결정의 변화 등을 확인하였다. 실험결과, 방향선택 응답률을 살펴보면 첫째, T자형 복도에서 출입문에 유도등이 없을 경우, 출입문이 열리는 방향에 의해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출입문 상단에 유도등이 있을 경우에는 유도등 픽토그램의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의 응답률이 높게 나타나 유도등의 픽토그램의 방향이 재실자의 피난경로선택에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출입문용 자동개폐장치를 설치한 실내체육관의 피난안전성 분석 (Analysis of the Evacuation Safety of Indoor Stadiums with Automatic Opening/Closing Exit Installations)

  • 안재천;공하성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5-21
    • /
    • 2020
  • This study analyzed the evacuation time in indoor stadiums when exits that automatically open/close when the fire sensor is triggered are installed as a means to improve the problem of closing certain exits. Firstly, when spectators on the 2nd floor stands exit through the 1st floor exits, the RSET of all inhabitants was 529.8 seconds when the automatic opening/closing exits are broken and employees are not present. Secondly, when spectators on the 2nd floor stands exit through the 1st floor exits, the RSET of all inhabitants was 445 seconds when the automatic opening/closing exits with 750mm width are working but employees are not present. Lastly, when spectators on the 2nd floor stands exit through the 1st floor exits, the RSET of all spectators was 337 seconds when the automatic opening/closing exits with 1,500mm width are working and employees are present. As a result, it was revealed that the evacuation time is shortened when the automatic opening/closing exits are working. Additional comparative studies with actual simulations of people evacuating an indoor stadium and firefighting simulations considering smoke flow are necessary.

건축물 내에서 축광유도타일이 피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hotoluminescent Exit Path Markings in Evacuation from Buildings)

  • 허만성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5권3호
    • /
    • pp.67-72
    • /
    • 2005
  • 본 연구는 건축물내의 완전 암흑상태에서 축광유도타일이 피난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기 위하여 조사하였다. 실험조사는 대구 Fire EXPO '05에 실험 장치를 전시하여 엑스포 관람자 520명을 대상으로 2005년 5월 26일부터 29일까지 실시되었다. 실험 조사결과 안전 암흑상태일 때 피난자세는 남자의 경우 70%, 여자는 72%가 벽을 더듬으며 피난한 반면에 축광유도타일이 설치된 경우에는 남자의 경우 88%, 여자의 경우 83%가 선채로 피난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건물의 바닥에 축광유도타일을 설치하면 화재시 정전이 되더라고 평소와 다름없이 피난을 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